계층적 분석기법(AHP)에 의한 제주 돌문화경관자원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제주 문화경관 관리방안의 일종으로 돌문화경관자원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그 중요도를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주의 대표적 돌문화경관에 대해 한·중 전문가를 대상으로 각 자원의 중요 우선순위를 평가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AHP 기법을 사용하였다. 평가기준에 대한 중요도 분석결과, 한·중 전문가 모두 탁월한 보편적 가치(ⅲ_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를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자원의 중요도 및 전체에 대한 종합중요도에서는 양국 전문가 모두 밭담을 가장 중요한 경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경학회지 Vol. 45; no. 1; pp. 16 - 27
Main Authors 임진강, Lim Jin Kang, 김동찬, Kim Dongchan, 민병욱, Min Byungwo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경학회 28.02.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제주 문화경관 관리방안의 일종으로 돌문화경관자원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그 중요도를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주의 대표적 돌문화경관에 대해 한·중 전문가를 대상으로 각 자원의 중요 우선순위를 평가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AHP 기법을 사용하였다. 평가기준에 대한 중요도 분석결과, 한·중 전문가 모두 탁월한 보편적 가치(ⅲ_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를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자원의 중요도 및 전체에 대한 종합중요도에서는 양국 전문가 모두 밭담을 가장 중요한 경관 자원이라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토자원의 중요도에 관한 비교 및 보전 관리 입장에서의 자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제주경관 관리 측면에서의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제주 돌문화경관자원의 보전 및 문화유산관리 측면에서 기초적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하지만 한중 비교연구로서 세계적 보편적 가치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며, 이는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the stone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is a kind of management of Jeju cultural landscape. For typical stone cultural landscape of Jeju, to target South Korea and China experts,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each resource. Using the AHP technique in the method of analysis.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analysis of evaluation criteria, Korean and Chinese experts evaluated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ⅲ_To bear a unique or at least exceptional testimony to a cultural tradition or to a civilization which is living or which has disappeared) as the most important. and Experts from both countries evaluated the field walls as the most important landscape resource in importance of resources about each evaluation criteria and overall impor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able to provide quantitative information in terms of landscape management of Jeju by deriving the priority of the resources from the standpoint of comparison and conservation management on the importance of local resources, which is the basis useful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ervation and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bout stone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in Jeju. However, as South Korea and China in the comparative study, to generalize the global universal value it is seen that there is a limit, seems to limit point of this study.
Bibliography: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STI1.1003/JNL.JAKO201711656576558
G704-000407.2017.45.1.011
ISSN:1225-1755
2288-9566
DOI:10.9715/KILA.2017.45.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