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천공성 안외상의 통계적 고찰
목적: 비천공성 안외상의 지역적인 특징과 임상양상을 알아보아 치료와 예방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안외상으로 응급실과 외래로 내원한 안외상 환자 중 비천공성 안외상 환자421명 468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조회를 통해 발생빈도, 성별, 연령, 수상안, 외상원인, 음주여부, 진단명, 월별분포, 치료전후 시력 등에 관한 통계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안과 전체 환자 중 비천공성 안외상 환자의 발생빈도는 4.9%였다. 남자가 82.9%로 많았고, 20대 환자가 23.5%로 가장...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4; no. 6; pp. 938 - 944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6.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비천공성 안외상의 지역적인 특징과 임상양상을 알아보아 치료와 예방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안외상으로 응급실과 외래로 내원한 안외상 환자 중 비천공성 안외상 환자421명 468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조회를 통해 발생빈도, 성별, 연령, 수상안, 외상원인, 음주여부, 진단명, 월별분포, 치료전후 시력 등에 관한 통계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안과 전체 환자 중 비천공성 안외상 환자의 발생빈도는 4.9%였다. 남자가 82.9%로 많았고, 20대 환자가 23.5%로 가장 많았으며, 여름에 가장 많은 환자가 내원하였다(30.8%). 외상의 원인으로는 경미한 외상(손가락, 손톱, 미세이물 등)이 36.1%로 가장 많았으며, 폭행(16.4%), 교통사고(14.7%)의 순이었으며, 음주와 연관된 외상은 12.6%를 차지하였다. 진단은 안와좌상, 각막찰과상이 가장 많았으며, 첫 내원시 20/200 이하의 저시력을 보인 경우는 9.4%였고 치료 후 20/200 이하를 보인 경우는 3.0%였다. 결론: 비천공성 안외상의 최근 경향과 지역적 특징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비천공성 안외상의 예방과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3; 54(6):938-944>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non-penetrating ocular injuries and use the result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Methods: A retrospective survey was performed on 468 eyes of 421 patients, who visited our clinic due to non penetrating ocular injurie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0. The incidence of ocular injuries, sex, age, monthly and seasonal distribution, side, cause, influence of alcohol, and change in visual acuity were reviewed statistically. Results: The incidence of non-penetrating ocular injuries was 4.9%. The incidence was more common in males (82.9%), in the 3rd decade of life (23.5%) and in summer (30.8%). Minor injuries (36.1%) were the most common caused by scratches, finger pricks, nails, or small foreign bodies. The second common cause was violence (16.4%), followed by traffic accidents (14.7%). The injuries related to alcohol represented 12.6% of all cases. When considering initial diagnoses, periorbital contusion and corneal abrasion were the most common. The initial visual acuity was less than 20/200 in 9.4% of the eyes and the final acuity after a 6-months of treatment was less than 20/200 in 3.0% of the eyes. Conclusions: This survey gathered the clin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new insights into non penetrating ocular injuries which can be used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3; 54(6):938-944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3.54.6.018 http://dx.doi.org/10.3341/jkos.2013.54.6.938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