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발견된 황반부 국소 맥락막함몰 3예

목적: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황반부 국소 맥락막함몰이 발견된 3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국소 맥락막함몰이 관찰되었던 3명, 5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3명 모두 근시를 동반하였고(평균 굴절력 -5.60디옵터) 2명은양안성이었다. 안저검사에서 5안 모두 망막색소상피의 변화 소견을 나타내었다. 맥락막함몰 부위는 자가형광촬영에서 저형광, 형광안저촬영에서 정상 또는 다양한 정도의 과형광, 인도사이아닌그린 혈관조영술에서는 저형광으로 나타났다.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국소 맥락막함몰은 망막색소상피층에서부터 외경계막 혹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5; no. 6; pp. 941 - 946
Main Authors 박주홍, Ju Hong Park, 사공민, Min Sagong, 장우혁, Woo Hyok Ch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6.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황반부 국소 맥락막함몰이 발견된 3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국소 맥락막함몰이 관찰되었던 3명, 5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3명 모두 근시를 동반하였고(평균 굴절력 -5.60디옵터) 2명은양안성이었다. 안저검사에서 5안 모두 망막색소상피의 변화 소견을 나타내었다. 맥락막함몰 부위는 자가형광촬영에서 저형광, 형광안저촬영에서 정상 또는 다양한 정도의 과형광, 인도사이아닌그린 혈관조영술에서는 저형광으로 나타났다.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국소 맥락막함몰은 망막색소상피층에서부터 외경계막 혹은 외과립층까지 함몰을 동반하였으며 함몰부위의 평균 맥락막 두께는 함몰 바깥부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았다(p=0.002). 3안에서 망막층간분리, 장액 망막색소상피박리, 맥락막신생혈관이 각각 동반되었고 나머지 2안에서 특이소견은 없었다. 결론: 국소 맥락막함몰은 경과관찰기간 동안 5안 중 4안에서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되었으나 1안에서 맥락막신생혈관이 발생하여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을 주입하였다. 앞으로 국소 맥락막함몰의 원인, 임상경과, 예후를 알기 위한 장기적인 관찰연구가 필요할 것으로생각한다. Purpose: To report the clinical finding of 3 patients with focal choroidal excavation in the macula detected by spectral-domain opticalcoherence tomography (SD-OCT). Case summary: Five eyes of 3 patients with focal choroidal excavation detected by SD-OCT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All patients had myopia (average refractive power -5.60 diopter). Two of the 3 patients had focal choroidal excavation in botheyes. All 5 eyes revealed foveal pigmentary changes on fundus examination. The excavation area in the autofluorescence imagewas hypofluorescent. Fluorescein angiographic finding was normal to various degrees of hyperfluoresence. Indocyaninegreen angiography revealed hypofluoresence at the excavation area. The excavation involoved from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layer to the external limiting membrane or outer nuclear layer and average choroidal thickness at excavation were statisticallythinner than the uninvolved area based on SD-OCT (p = 0.002). Retinoschisis, serous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and choroidal neovascularziation (CNV) were detected individually in 3 eyes. The other 2 eyes had no specific abnormalities. Conclusions: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choroidal excavation remained relatively stable in 4 of 5 eyes, but CNV developedin 1 eye. Therefore,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was performed. Longer follow-up periods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etiology, clinical course and visual prognosis of eyes with focal choroidal excavation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4.55.6.025
http://dx.doi.org/10.3341/jkos.2014.55.6.941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