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막열상 수술 후 겐타마이신 독성으로 의심되는 허혈성 망막병증 1예

목적: 외상에 의한 공막열상 수술후 겐타마이신 독성으로 의심되는 허혈성 망막병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8세 남자환자가 작업도중 못이 부러지며 우안에 튀어 발생한 공막열상으로 내원하였다. 우안최대교정시력은 0.02였으며 전안부 검사상 공막열상이 관찰되었다. 항생제 정맥주사, 10% 세파졸린점안액과 2% 겐타마이신 점안액을 1시간 간격으로 3회 점안하였다. 수술 전 겐타마이신을 이용하여 상처부위 세척을 시행 후 공막열상 일차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3일째 비측으로 망막열공 이 있어 장벽레이저술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4; no. 7; pp. 1126 - 1129
Main Authors 김종민, Jong Min Kim, 김운형, Woon Hyung Ghim, 조우형, Woo Hyung Cho, 경성은, Sung Eun Kyung, 장무환, Moo Hwan Ch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7.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외상에 의한 공막열상 수술후 겐타마이신 독성으로 의심되는 허혈성 망막병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8세 남자환자가 작업도중 못이 부러지며 우안에 튀어 발생한 공막열상으로 내원하였다. 우안최대교정시력은 0.02였으며 전안부 검사상 공막열상이 관찰되었다. 항생제 정맥주사, 10% 세파졸린점안액과 2% 겐타마이신 점안액을 1시간 간격으로 3회 점안하였다. 수술 전 겐타마이신을 이용하여 상처부위 세척을 시행 후 공막열상 일차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3일째 비측으로 망막열공 이 있어 장벽레이저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4일째 망막출혈, 전반적인 망막부종과 유령혈관이 관찰되었다. 형광안저혈관조영검사상동맥기충만지연, 망막주혈관의 형광누출과 주변부 망막의 비관류 소견이 있었다. 수술 후 8일째 유리체혼탁이 심해져 우안 유리체절제술, 안내레이저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1개월 후 우안나안시력은 0.2로 회복되었다. 결론: 외상에 의한 공막열상의 수술 전 처치에서 감염 예방을 위한 겐타마이신 안약점안이나 수술 중 겐타마이신 세척으로 망막의겐타마이신 독성이 나타날 가능성에 대하여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ischemic retinopathy due to suspicious gentamicin retinal toxicity after primary repair of a scleral laceration. Case summary: A 45-year-old man presented to our department with decreasing vision in his right eye after ocular traum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0.02 in the right eye and slit lamp examination revealed scleral laceration. Both in-travenous and topical antibiotics (10% cefazolin and 2% gentamicin) were immediately administered. On intraoperative examination, a scleral laceration located 5 mm to 11 mm from nasal limbus, prolapsed vitreous body and partial division of medial rectus muscle were observed. After irrigation with gentamincin 0.2% around the wound, primary repair was performed. On postoperative day 3, fundus examination revealed a retinal break, barrier laser was performed. On postoperative day 4, diffuse retinal edema with intraretinal hemorrhage was observed as well as, superonasal ghost vessels. Subsequently, fluorescein angiography showed diffuse leakage of retinal vessels and a nonperfusion area at the periphery, especially on the nasal side. As vitreous opacity became worse, the patient underwent pars plana vitrectomy with endolaser. One month later, vitreous cavity was clearer and best visual acuity was 0.2.Conclusions: Large doses of intraocular gentamicin ccan cause retinal toxicity. Increased gentamicin application througha scleral laceration may lead to toxic antibiotic levels. When a scleral laceration wound irrigation is performed, precautions are necessary to prevent retinal ischemia associated with gentamicin toxicity.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3.54.7.022
http://dx.doi.org/10.3341/jkos.2013.54.7.1126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