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클리탁셀과 시스플라틴에 의한 수정체상피세포의 섬유아세포로의 전환분화억제효과
목적: 수정체 상피세포를 후낭내 직접 배양시키는 capsular bag model에서 DNA 합성억제인 paclitaxel (Taxol(R))과 cisplatin (Cisplan(R))이 수정체상피세포의 섬유아세포로의 전환분화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DMEM에 우태혈청과 항생항균제를 첨가한 배양액만으로 배양한 대조군과 각각 1, 10, 100 nM 농도의 paclitaxel로 3분간 노출한 실험군 I, 각각 1, 10, 100 μM 농도의 cisplatin 으로 3분간 노출한 실험군 II로 나누어 돼...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9; no. 2; pp. 319 - 332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29.02.200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수정체 상피세포를 후낭내 직접 배양시키는 capsular bag model에서 DNA 합성억제인 paclitaxel (Taxol(R))과 cisplatin (Cisplan(R))이 수정체상피세포의 섬유아세포로의 전환분화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DMEM에 우태혈청과 항생항균제를 첨가한 배양액만으로 배양한 대조군과 각각 1, 10, 100 nM 농도의 paclitaxel로 3분간 노출한 실험군 I, 각각 1, 10, 100 μM 농도의 cisplatin 으로 3분간 노출한 실험군 II로 나누어 돼지수정체상피세포를 capsular bag model에 1주일간 배양한 후 형태학적변화와 전환분화 된 섬유아세포 수를 위상차현미경으로 비교하였다. 세포의 증식정도를 BrdU, PCNA를 이용하여 알아보고, 섬유아세포로의 전환분화를 확인하기위해 콜라겐 Type IV을 Western blot으로 분석을 하였다. 또한 TUNEL method로 세포고사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100 nM 농도의 paclitaxel과 100 μM 농도의 cisplatin에서 후낭내에 섬유아세포로 전환분화된 세포들의 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BrdU 및 PCNA 양성 표지세포와 Western blot 분석에서의 콜라겐 Type IV 발현이 투여한 paclitaxel과 cisplatin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TUNEL 염색에서 보이는 세포고사체는 Paclitaxel과 Cisplatin의 농도증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결론: Capsular bag model에서 Paclitaxel과 Cisplatin은 수정체상피세포의 섬유아세포로의 전환분화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한안지 49(2):319-332, 2008>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Paclitaxel by altering tubulin assembly and cisplatin exposure by binding DNA of the lens epithelial cells (LECs) during epithelial cell cultures in the capsular bag model. Methods: In the capsular bag model, the LECs were cultured with exposure to Paclitaxel (1, 10, 100 nM) and Cisplatin (1, 10, 100 μM) for 3 min. The effect of Paclitaxel and Cisplatin was analyzed by observing the cell number of fibroblasts per field, Western blots for type IV collagen, TUNEL assay and the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and Bromodeoxyuridine (BrdU) incorporated proliferating cells. Results: An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Paclitaxel and Cisplatin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number of fibroblasts and spindle-shaped cells. The number of proliferating cells showing PCNA positivity and BrdU incorporation in the nuclei was de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by treatments of Paclitaxel and Cisplatin. Expression of type IV collagen also decreased after treatment with these two agents. Results of the TUNEL assay showed no change in the apoptosis of cells with regard to an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Paclitaxel and Cisplatin.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Paclitaxel and Cisplatin on the proliferation and transdifferentiation of LECs into fibroblasts using the capsular bag model. J Korean Ophthalmol Soc 49(2):319-332, 2008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08.49.2.019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