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체형 아크릴재질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공막봉합 이차 인공수정체 삽입술
목적: 수정체낭 지지가 없는 경우에서 접히는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일체형 아크릴 재질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공막봉합 이차 인공수정체 삽입술의 새로운 술기를 소개하고 임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인공수정체를 홍채 위에 올려놓은 다음, 한쪽 지지부를 교대로 후방으로 밀어 넣으면서 바늘을 인공수정체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통과시켜 공막에 고정한다. 본원에서 이러한 술기로 시행 받은 28명 28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후 6개월되는 시점 이후에 최대교정 시력을 측정하였고,...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3; no. 12; pp. 1794 - 180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12.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Abstract | 목적: 수정체낭 지지가 없는 경우에서 접히는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일체형 아크릴 재질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공막봉합 이차 인공수정체 삽입술의 새로운 술기를 소개하고 임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인공수정체를 홍채 위에 올려놓은 다음, 한쪽 지지부를 교대로 후방으로 밀어 넣으면서 바늘을 인공수정체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통과시켜 공막에 고정한다. 본원에서 이러한 술기로 시행 받은 28명 28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후 6개월되는 시점 이후에 최대교정 시력을 측정하였고,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27명의 환자에서 술후 최대 교정 시력이 0.5 이상으로 시력 회복 양상을 보였다. 1명의 환자에서 맥락막박리(3.6%) 소견을 보였으나 다른 합병증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수정체낭 지지가 없는 경우에 접히는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일체형 아크릴 재질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공막봉합 이차 인공수정체삽입술은 술기가 쉽고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인공수정체의 위치 안정성이 탁월하여 빠른 시력 회복에 유용한 수술 방법이며 비교적 안전한 수술법이라고 생각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2;53(12):1794-1800>
Purpose: To introduce a new surgical method of transscleral intraocular lens (IOL) fixation using a foldable, single-piece acrylic IOL with 4 loop haptics and to report the surgical results. Methods: After a single-piece acrylic IOL with 4 loop haptics was injected into the anterior chamber and positioned on top of the iris diaphragm, a 10-0 Prolene STC-6 straight needle and a 27-gauge needle were used to string the prolene thread through the haptic openings from front to back fixating the IOL to the sclera, resulting in a transscleral “1 loop 4 points” fixation. Twenty-eight eyes of 28 patients who had received transscleral fixation via this new technique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best corrected vision acuity (BCVA) was measured after a postoperative period of at least 6 months.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27 out of 28 eyes (96.4%), the postoperative BCVA was better than 0.5 (Snellen chart). The only complication found was 1 case of choroidal detachment (3.6%). Conclusions: The new transscleral “1 loop 4 points” fixation technique of a foldable, single-piece acrylic IOL in the absence of capsular support is an easy procedure and reduces surgical time and hastens visual rehabilitation due to excellent IOL positioning stability. Additionally,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present study may be a safe procedure with minimal complications.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2):1794-1800 |
---|---|
AbstractList | 목적: 수정체낭 지지가 없는 경우에서 접히는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일체형 아크릴 재질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공막봉합 이차 인공수정체 삽입술의 새로운 술기를 소개하고 임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인공수정체를 홍채 위에 올려놓은 다음, 한쪽 지지부를 교대로 후방으로 밀어 넣으면서 바늘을 인공수정체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통과시켜 공막에 고정한다. 본원에서 이러한 술기로 시행 받은 28명 28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후 6개월되는 시점 이후에 최대교정 시력을 측정하였고,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27명의 환자에서 술후 최대 교정 시력이 0.5 이상으로 시력 회복 양상을 보였다. 1명의 환자에서 맥락막박리(3.6%) 소견을 보였으나 다른 합병증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수정체낭 지지가 없는 경우에 접히는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일체형 아크릴 재질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공막봉합 이차 인공수정체삽입술은 술기가 쉽고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인공수정체의 위치 안정성이 탁월하여 빠른 시력 회복에 유용한 수술 방법이며비교적 안전한 수술법이라고 생각한다. Purpose: To introduce a new surgical method of transscleral intraocular lens (IOL) fixation using a foldable, single-piece acrylic IOL with 4 loop haptics and to report the surgical results.
Methods: After a single-piece acrylic IOL with 4 loop haptics was injected into the anterior chamber and positioned on top of the iris diaphragm, a 10-0 Prolene STC-6 straight needle and a 27-gauge needle were used to string the prolene thread through the haptic openings from front to back fixating the IOL to the sclera, resulting in a transscleral “1 loop 4 points”fixation. Twenty-eight eyes of 28 patients who had received transscleral fixation via this new technique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best corrected vision acuity (BCVA) was measured after a postoperative period of at least 6months.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27 out of 28 eyes (96.4%), the postoperative BCVA was better than 0.5 (Snellen chart). The only complication found was 1 case of choroidal detachment (3.6%).
Conclusions: The new transscleral “1 loop 4 points” fixation technique of a foldable, single-piece acrylic IOL in the absence of capsular support is an easy procedure and reduces surgical time and hastens visual rehabilitation due to excellent IOL positioning stability. Additionally,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present study may be a safe procedure with minimal complications. KCI Citation Count: 2 목적: 수정체낭 지지가 없는 경우에서 접히는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일체형 아크릴 재질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공막봉합 이차 인공수정체 삽입술의 새로운 술기를 소개하고 임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인공수정체를 홍채 위에 올려놓은 다음, 한쪽 지지부를 교대로 후방으로 밀어 넣으면서 바늘을 인공수정체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통과시켜 공막에 고정한다. 본원에서 이러한 술기로 시행 받은 28명 28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후 6개월되는 시점 이후에 최대교정 시력을 측정하였고,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27명의 환자에서 술후 최대 교정 시력이 0.5 이상으로 시력 회복 양상을 보였다. 1명의 환자에서 맥락막박리(3.6%) 소견을 보였으나 다른 합병증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수정체낭 지지가 없는 경우에 접히는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일체형 아크릴 재질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공막봉합 이차 인공수정체삽입술은 술기가 쉽고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인공수정체의 위치 안정성이 탁월하여 빠른 시력 회복에 유용한 수술 방법이며 비교적 안전한 수술법이라고 생각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2;53(12):1794-1800> Purpose: To introduce a new surgical method of transscleral intraocular lens (IOL) fixation using a foldable, single-piece acrylic IOL with 4 loop haptics and to report the surgical results. Methods: After a single-piece acrylic IOL with 4 loop haptics was injected into the anterior chamber and positioned on top of the iris diaphragm, a 10-0 Prolene STC-6 straight needle and a 27-gauge needle were used to string the prolene thread through the haptic openings from front to back fixating the IOL to the sclera, resulting in a transscleral “1 loop 4 points” fixation. Twenty-eight eyes of 28 patients who had received transscleral fixation via this new technique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best corrected vision acuity (BCVA) was measured after a postoperative period of at least 6 months.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27 out of 28 eyes (96.4%), the postoperative BCVA was better than 0.5 (Snellen chart). The only complication found was 1 case of choroidal detachment (3.6%). Conclusions: The new transscleral “1 loop 4 points” fixation technique of a foldable, single-piece acrylic IOL in the absence of capsular support is an easy procedure and reduces surgical time and hastens visual rehabilitation due to excellent IOL positioning stability. Additionally,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present study may be a safe procedure with minimal complications.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12):1794-1800 |
Author | Jong Yun Yang Young Kwang Chu 양종윤 주영광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양종윤 – sequence: 2 fullname: Jong Yun Yang – sequence: 3 fullname: 주영광 – sequence: 4 fullname: Young Kwang Chu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1861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pdzMtKw0AYBeAgFay1T-AmG8FNYG65LUvxUigI0v0wk8yUEE0kcdOlotA-QKCILd1oLXQhGsFFfSEzeQdD25WrA-f_zr-v1aI4EjtaHQEXGS62SU2rA2w7hkVsuKc10zTgAEBIHMeFda2vJiv1kZfjTFfZQ3m3LF5zNV2q-VBNxrqafP9-fqnhWM2yShUvq6rK1dOizJ716lLMR0U-KrPFun5_-z_Q1f2Pmj6q4exA25XsKhXNbTa03ulJr31udC_OOu1W1wgdjAwhfM_jDsSA28BDHEmfu4wz6XjI800iJceQcOgy7ElHCoAQx0gw32QCA8vCDe148zZKJA29gMYsWGc_pmFCW5e9DrWJZZmookcbGg5iHlMex6EnoluRUAIgAIhgE2MXVO5w64I0pTdJcM2SAcUQusiF-A9nNo-D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Copyright |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
Copyright_xml |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
DBID | HZB Q5X P5Y SSSTE ACYCR |
DatabaseName |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일체형 아크릴재질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공막봉합 이차 인공수정체 삽입술 Modified Surgical Technique for Transscleral Fixation of a Single-Piece Acrylic Intraocular Lens in the Absence of Capsular Support |
EISSN | 2092-9374 |
EndPage | 1800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746652 4010024353390 3119291 |
GroupedDBID | 5-W 5GY 8JR 8XY ALMA_UNASSIGNED_HOLDINGS CS3 HZB Q5X P5Y SSSTE ACYCR |
ID | FETCH-LOGICAL-k832-eedccb8130b70c2b2fdb9abaf8c2cd54ffb314b19a3cf8fe022b32ead5ae30663 |
ISSN | 0378-6471 |
IngestDate | Tue Nov 21 21:38:40 EST 2023 Thu Jun 19 02:12:22 EDT 2025 Fri Dec 20 02:16:26 EST 2024 |
IsPeerReviewed | true |
IsScholarly | true |
Issue | 12 |
Keywords | Scleral fixation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832-eedccb8130b70c2b2fdb9abaf8c2cd54ffb314b19a3cf8fe022b32ead5ae30663 |
Notes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http://dx.doi.org/10.3341/jkos.2012.53.12.1794 G704-001025.2012.53.12.001 |
PageCount | 7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746652 kyobo_bookcenter_4010024353390 kiss_primary_3119291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2-12-15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2-12-15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12 year: 2012 text: 2012-12-15 day: 15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Daihan angwa haghoi jabji |
PublicationTitleAlternate | 대한안과학회지 |
PublicationYear | 2012 |
Publisher | 대한안과학회 |
Publisher_xml | – name: 대한안과학회 |
SSID | ssib001148891 ssj0064407 |
Score | 1.8175801 |
Snippet | 목적: 수정체낭 지지가 없는 경우에서 접히는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일체형 아크릴 재질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공막봉합 이차 인공수정체 삽입술의 새로운 술기를 소개하고 임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인공수정체를 홍채 위에 올려놓은 다음, 한쪽... 목적: 수정체낭 지지가 없는 경우에서 접히는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일체형 아크릴 재질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공막봉합 이차 인공수정체 삽입술의 새로운 술기를 소개하고 임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4개의 지지부를 가진 인공수정체를 홍채 위에 올려놓은 다음, 한쪽... |
SourceID | nrf kyobo kiss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1794 |
SubjectTerms |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Scleral fixation 안과학 |
Title | 일체형 아크릴재질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공막봉합 이차 인공수정체 삽입술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119291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435339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18610 |
Volume | 53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대한안과학회지, 2012, 53(12), , pp.1794-1800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NBFB_anryIUsX6USI4pyWy35k5ye4mUiv1VLE9LTOT3SQNJBIbit4UhfYPCBSxpRethR5EI3io_5CZ_A--mc0mWxH8uGxm37x5M3lvPn5veTOD0B2PsVQIoT5U-X7ZTdSYM9NKGVYWRrhHGbPUfue1R_7KY3d1w9uYm79XiFrqb_O74sVv95X8j1WBBnZVu2T_wbJToUCANNgXnmBheP6VjXEtwrSKw0glQhuHLq5VMSWYeobO8zDRJGLhAJhCHPiaCbJqmhLhoIIJmQiixMhFAinAoYNDT1GAg2qmwFRCZ7WBRA_qnxbLZAc4oLolHqYqbyop1NVRlQBWkjMF9LyA0MTBPzZFcxNIVSf_juTcgVkE4FXWajIVgN3YYUaTNZrdlrHF-FYr73m6uI-ppeuwJ3IopF3VHTXVmagcGgKaVa1zocCqurZps98xNkG6sVY19ExqPNxRr1GzD6TiNxZLX_eS7TLVo0JphUQq9CRXXW7DqQaiPCvTXAD8hZncAVfdd7O7ZvJlJzsjOR9edmERUXNkAZBYxDRnq_U0hhIcY32cJOB1as6jecfSn6zKT2ZoGFxdQqcRT4B8s9MD8tYACgEn5Rm4Ze3nXd4FdNXppQV0tX4JXZy4RaUg6-OX0Vy7u4ga8uBMfh6O9wclOXg9fnk6-jCUh6fyeFce7JfkwbcfX77K3X15NACu0fszIA3l25Px4F0JckbHe6Ph3nhwosmfPv5aoCRffZeHb-Tu0RW0fr-2Hq2UJxeDlNuwAJUB1gnBCaAvXjGFze20zinjLCXCFnXPTVPuWC63KHNESlKYf2zu2DBleixxFMS-ihY63U5yDZUqTNRTr-6aKWiH2wlRdxsK5TbVk7ojvCW0qFQUP82OfokdCzwiai2hZa2yWHnCKoo66cXn7LGEboMu47Zoxer8dvXb6MbtXgxe6oO44vq-Z1__k5Ab6MKsM95EC9u9fnILIPA2X9aG_gkko58F |
linkProvider |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D%BC%EC%B2%B4%ED%98%95+%EC%95%84%ED%81%AC%EB%A6%B4%EC%9E%AC%EC%A7%88%EC%9D%98+%EC%9D%B8%EA%B3%B5%EC%88%98%EC%A0%95%EC%B2%B4%EB%A5%BC+%EC%9D%B4%EC%9A%A9%ED%95%9C+%EA%B3%B5%EB%A7%89%EB%B4%89%ED%95%A9+%EC%9D%B4%EC%B0%A8+%EC%9D%B8%EA%B3%B5%EC%88%98%EC%A0%95%EC%B2%B4+%EC%82%BD%EC%9E%85%EC%88%A0&rft.jtitle=Daihan+angwa+haghoi+jabji&rft.au=%EC%96%91%EC%A2%85%EC%9C%A4%2C+%EC%A3%BC%EC%98%81%EA%B4%91Jong+Yun+Yang+MD+Young+Kwang+Chu+MD&rft.date=2012-12-15&rft.pub=%EB%8C%80%ED%95%9C%EC%95%88%EA%B3%BC%ED%95%99%ED%9A%8C&rft.issn=0378-6471&rft.volume=53&rft.issue=12&rft.spage=1794&rft.epage=1800&rft.externalDocID=4010024353390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0378-6471&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0378-6471&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0378-6471&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