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환자에서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의 정확성 비교

목적: 당뇨환자와 비당뇨 환자에서 안구 장축 길이에 따라 부분결합간섭계(IOL Master(R))와 접촉식 초음파를 이용한 인공수정체 도수계산의 정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수술을 받은 총 205안 중 당뇨병이 있는 환자의 64안과 당뇨병이 없는 환자의 141안에 대해 각각 IOL Master(R)와 접촉식 초음파를 활용하여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예측하였다. 결과: 당뇨 환자군의 각각의 공식에 따른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안구 장축길이에 따라 5개의 군으로 나누어 IOL Master(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1; no. 2; pp. 188 - 194
Main Authors 최주현, Joo Hyun Choi, 최상경, Sang Kyung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2.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당뇨환자와 비당뇨 환자에서 안구 장축 길이에 따라 부분결합간섭계(IOL Master(R))와 접촉식 초음파를 이용한 인공수정체 도수계산의 정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수술을 받은 총 205안 중 당뇨병이 있는 환자의 64안과 당뇨병이 없는 환자의 141안에 대해 각각 IOL Master(R)와 접촉식 초음파를 활용하여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예측하였다. 결과: 당뇨 환자군의 각각의 공식에 따른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안구 장축길이에 따라 5개의 군으로 나누어 IOL Master(R)과 접촉식 초음파로 예측 굴절력과 술 후 실제 굴절력의 오차를 비교하였을 때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당뇨 환자군에 있어서도 IOL Master(R)과 접촉식 초음파로 굴절력의 예측에 있어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IOL Master(R)과 접촉식초음파를 사용한 방법이 안구 장축의 길이에 관계없이 유용한 술 전 계측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IOL Master(R)의 각 공식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없이 정확하게 술 후 굴절치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안과학회지 2010;51(2):188-194> Purpose: To assess the refractive outcome of cataract surgery employing IOL master and A-scans in diabetic and non-diabetic patients Methods: The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included 205 eyes of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uneventful cataract surgery implanting I-Flex IOL. Axial length was measured with IOL master and A-scan and IOL power was calculated using various formulas (SRK II, SRK/T, Haigis, Holladay). Subjects was separat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axial length, and then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diabetic and non-diabetic subgroups. Differences between the predicted refraction and the actual refrac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at two months after the operation. Results: The mean absolute errors (MAE) of ten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ing diabetic groups and non-diabetic group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the result of the two modalities, IOL master and A-scan, were not different in statistical analysis. Conclusions: In diabetic and non-diabetic patients, IOL master and A-scan may be the accurate methods for calculating IOL power regardless of the axial length.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2):188-194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G704-001025.2010.51.2.015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