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내원 환자들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따른 삶의 질

본 연구는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따른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2013년 3월부터 7개월간 일부지역의 치과병ㆍ의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검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84명을 분석하였다. OHIP-14는 일반진료를 받은 환자에서 가장 높았고, 하위영역으로 기능제한 교정치료 8.27점, 신체적 동통 7.24점, 정신적 불편감 7.90점, 신체적 능력저하 7.79점, 정신적 능력저하 8.14점, 사회적 능력저하 8.24점 모두 일반진료에서 높았고, 사회적 불리에서는 교정치료(8.7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iwisaeng gwahakoeji Vol. 15; no. 5; pp. 594 - 602
Main Authors 윤현서, Hyun Seo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치위생과학회 30.10.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478
2233-767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따른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2013년 3월부터 7개월간 일부지역의 치과병ㆍ의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검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84명을 분석하였다. OHIP-14는 일반진료를 받은 환자에서 가장 높았고, 하위영역으로 기능제한 교정치료 8.27점, 신체적 동통 7.24점, 정신적 불편감 7.90점, 신체적 능력저하 7.79점, 정신적 능력저하 8.14점, 사회적 능력저하 8.24점 모두 일반진료에서 높았고, 사회적 불리에서는 교정치료(8.7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서는 모두 남자에서 높았고, 연령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나빠졌으며, 직업은 주부에서 대부분 낮게 나타났고, 전신질환이 없는 경우 삶의 질이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강건강관리 행태에서는 정기검진을 받지 않고, 통증 시 치과내원이 가능한 경우 삶의 질이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실란트 시술을 받은 치아, 충전치료를 받은 치아와 상실치아, 보철치료를 받은 치아, 임플란트 식립 치아가 없는 경우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구강건강관리 시스템 구축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예방진료와 구강보건교육을 바탕으로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자연치아를 오래 보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care to lif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patients who visited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several regions for seven months from March 2013. They got dental checkup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he patients who received general treatment scored highest in Oral Health Impact Profile-14. Among the subfactors, the patients who received general treatment scored higher in functional limitation (8.27), physical pain (7.24), physical restrictions (7.90), social restrictions (7.79), physical limitations (8.14) and social difficulties (8.24). The patients who received orthodontic treatment scored higher in handicap (8.78). All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or gender gaps, the men scored higher in every factor. By age group, the older patients led a worse quality of .life. By occupation, the homemakers mostly led a worse quality of life, and the patients who had no systemic diseases lived a better quality of life. All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Concerning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elf-rated oral health state, the patients who found themselves to be in better health and in better oral health led a better quality of life.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Regarding oral health care, the patients who didn``t get regular dental checkups and who could visit a dental clinic whenever they had a pain lived a better quality of life.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terms of oral health status, a higher quality of life was found among the patients who had sound teeth, whose teeth received no sealant treatment, whose teeth received no filling therapy, who had no missing tooth, whose teeth received no prosthetic treatment and who had no dental implants teeth.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KISTI1.1003/JNL.JAKO201534853187883
G704-002151.2015.15.5.004
ISSN:1598-4478
2233-7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