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텍스트의 표현과 의미전달과정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있어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표현과 의미전달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인간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고 이와 더불어 커뮤니케이션디자인에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입지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하이브리드텍스트는 다중의 감각과 기호 그리고 다중매체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인간커뮤니케이션의 총체적 수단으로 단순한 의미의 전달만이 아닌 생산주체의 경험과 사고를 공유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텍스트는 일반형, 잠복형, 변이형의 3 가지 표현 유형을 가지며 감각을 통한 각 매체들의 통합을 활용한 사실적이고 즉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6; no. 4; pp. 113 - 122
Main Authors 김영호, Young H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있어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표현과 의미전달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인간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고 이와 더불어 커뮤니케이션디자인에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입지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하이브리드텍스트는 다중의 감각과 기호 그리고 다중매체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인간커뮤니케이션의 총체적 수단으로 단순한 의미의 전달만이 아닌 생산주체의 경험과 사고를 공유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텍스트는 일반형, 잠복형, 변이형의 3 가지 표현 유형을 가지며 감각을 통한 각 매체들의 통합을 활용한 사실적이고 즉시적재현 커뮤니케이션을 추구함으로써 의미전달에 있어 현장성을 확보한다. 하이브리드텍스트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인간의 감각을 통한 조형적 경험과 주체의 지식에 근거하는 의미론적 체계를 동시에 탐구하게 하는 학문적 대상인 동시에 다양한 전공 분야와의 학제간 연구로 이어질 수 있는 교량적 위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학문과 기호체계 그리고 매체에 대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연구는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을 위한 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제도적 기틀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expression and delivery of meaning in hybrid text in terms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human communication processes.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paper confirms the position of hybrid text in the field of design in order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design edu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As a method of human communication creat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synesthesia, symbols, and mediums, hybrid text provides an optimum environment not only for the delivery of meaning but the sharing of the subject``s experiences and thinking process. The three types of expression . combined, latent, transfigured - allows hybrid text to acquire an authenticity in the delivery of meaning by its ability for realistic and immediate recreation using the combination of synesthesia, symbols, and mediums. The interest in and study of hybrid text has resulted in an area of research that allows one to explore both our sensual aesthetic experiences and intellectual activities based on human senses at the same time. This area of research can also perform the role of connecting various fields of study. In terms of design education, the study of hybrid texts allows the simultaneous exploration of various areas of design, semiotics processes, and mediums. Further study of hybrid text will contribute in the formation of a systema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uman experience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for developing a more human-centered design.
AbstractList 본 연구는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있어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표현과 의미전달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인간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고 이와 더불어 커뮤니케이션디자인에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입지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하이브리드텍스트는 다중의 감각과 기호 그리고 다중매체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인간커뮤니케이션의 총체적 수단으로 단순한 의미의 전달만이 아닌 생산주체의 경험과 사고를 공유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텍스트는 일반형, 잠복형, 변이형의 3 가지 표현 유형을 가지며 감각을 통한 각 매체들의 통합을 활용한 사실적이고 즉시적재현 커뮤니케이션을 추구함으로써 의미전달에 있어 현장성을 확보한다. 하이브리드텍스트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인간의 감각을 통한 조형적 경험과 주체의 지식에 근거하는 의미론적 체계를 동시에 탐구하게 하는 학문적 대상인 동시에 다양한 전공 분야와의 학제간 연구로 이어질 수 있는 교량적 위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학문과 기호체계 그리고 매체에 대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연구는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을 위한 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제도적 기틀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expression and delivery of meaning in hybrid text in terms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human communication processes.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paper confirms the position of hybrid text in the field of design in order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design edu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As a method of human communication creat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synesthesia, symbols, and mediums, hybrid text provides an optimum environment not only for the delivery of meaning but the sharing of the subject``s experiences and thinking process. The three types of expression . combined, latent, transfigured - allows hybrid text to acquire an authenticity in the delivery of meaning by its ability for realistic and immediate recreation using the combination of synesthesia, symbols, and mediums. The interest in and study of hybrid text has resulted in an area of research that allows one to explore both our sensual aesthetic experiences and intellectual activities based on human senses at the same time. This area of research can also perform the role of connecting various fields of study. In terms of design education, the study of hybrid texts allows the simultaneous exploration of various areas of design, semiotics processes, and mediums. Further study of hybrid text will contribute in the formation of a systema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uman experience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for developing a more human-centered design.
본 연구는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있어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표현과 의미전달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인간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고 이와 더불어 커뮤니케이션디자인에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입지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하이브리드텍스트는 다중의 감각과 기호 그리고 다중매체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인간커뮤니케이션의 총체적 수단으로 단순한 의미의 전달만이 아닌 생산주체의 경험과 사고를 공유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텍스트는 일반형, 잠복형, 변이형의 3 가지 표현 유형을 가지며 감각을 통한 각 매체들의 통합을 활용한 사실적이고 즉시적재현 커뮤니케이션을 추구함으로써 의미전달에 있어 현장성을 확보한다. 하이브리드텍스트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인간의 감각을 통한 조형적 경험과 주체의 지식에 근거하는 의미론적 체계를 동시에 탐구하게 하는 학문적 대상인 동시에 다양한 전공 분야와의 학제간 연구로 이어질 수 있는 교량적 위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학문과 기호체계 그리고 매체에 대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연구는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을 위한 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제도적 기틀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expression and delivery of meaning in hybrid text in terms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human communication processes.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paper confirms the position of hybrid text in the field of design in order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design edu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As a method of human communication creat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synesthesia, symbols, and mediums, hybrid text provides an optimum environment not only for the delivery of meaning but the sharing of the subject's experiences and thinking process. The three types of expression – combined, latent, transfigured - allows hybrid text to acquire an authenticity in the delivery of meaning by its ability for realistic and immediate recreation using the combination of synesthesia, symbols, and mediums. The interest in and study of hybrid text has resulted in an area of research that allows one to explore both our sensual aesthetic experiences and intellectual activities based on human senses at the same time. This area of research can also perform the role of connecting various fields of study. In terms of design education, the study of hybrid texts allows the simultaneous exploration of various areas of design, semiotics processes, and mediums. Further study of hybrid text will contribute in the formation of a systema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uman experience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for developing a more human-centered design. KCI Citation Count: 1
Author 김영호
Young Ho Kim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영호
– sequence: 2
  fullname: Young Ho K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2771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DFLw0AAhQ-pYK39BS5ZxCmQu0t6d2OpVQvFgnQ_7nIXCdFWEhzcHOpSFRQJ7dBCB3EqKFihg7-oufwHgy1O7z3exxveLij1-j29BcqIQGx7jOESKEOPUZvWsLcDqkkSSsd1CSbEZWXQytOxmS6y5WP2Ps9eJ_n9kxm-5cOlmY6t_GWSjwerrx-rSNnH0swG2cO8yGaWmtGztVrc5enEMqPP1fd8D2wH4jLR1Y1WQPe42W2c2u3OSatRb9sRRcQmklGfCOw5WjDGatQVEvoqoI5WQYAciaCAKoAKYikdBjXRBCHtS0F8RZSHK-BwPduLAx75Ie-L8E8v-jyKef282-LYoZQV5MGGvInDK61Cwa8LI-JbftY5akJIMSLFERWwv-aiMEn-EYw9jIv2F8X8epI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하이브리드텍스트의 표현과 의미전달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ression of Hybrid Text and Delivery Process of the Meaning
DocumentTitle_FL A Study on Expression of Hybrid Text and Delivery Process of the Meaning
EISSN 2713-5993
EndPage 12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0889
NODE11832747
3353347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27-7b98c7a350ea999684ab1cdf80edff20b21a1df1d13bb091e7e722ecba7cd7d53
ISSN 1598-8635
IngestDate Tue Nov 21 21:01:58 EST 2023
Thu Mar 13 19:39:47 EDT 2025
Tue Aug 13 02:12:05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하이브리드텍스트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hybrid text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sign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27-7b98c7a350ea999684ab1cdf80edff20b21a1df1d13bb091e7e722ecba7cd7d5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23&idx=290
G704-001069.2015.16.4.007
PageCount 1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0889
nurimedia_primary_NODE11832747
kiss_primary_3353347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08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5-08-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15
  text: 201508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571606
Snippet 본 연구는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있어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표현과 의미전달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인간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고 이와 더불어 커뮤니케이션디자인에서 하이브리드텍스트의 입지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하이브리드텍스트는 다중의 감각과 기호 그리고 다중매체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13
SubjectTerms hybrid text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sign
예술일반
하이브리드텍스트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Title 하이브리드텍스트의 표현과 의미전달과정에 관한 연구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353347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274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27719
Volume 1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기초조형학연구, 2015, 16(4), 70, pp.113-122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Oj2ohdRqlg_Sg7OaUnJJJNk5phkU1qh9bJCbyGfogu7Zd29eBAP9VIVFFnaQws9iKcFBSv04C_qZv-DbybTNIii9ZKdefPem5d5szPvhXlvEHpAncxMspjpVp4W4KBQU-dpQnQwtV3bSVNeyCP_m1vO-mP6cNveXmi1GqeWxqNkNX3x27iS_9EqwECvIkr2EpqtmQIAyqBfeIKG4flPOsZhB3Mbc4bDAPMO9ikOfewzzAJR8BzsyQK3MA8EMrMx6whk5mGPSogn8CtyztqSI1HYwJcBEmBY2A_aNZbkvaboPEMi-Zj5sjeFrZpAOkHlYm60ZRsVRyuU2Iqli31DttlYJYJ8dv56UjjRGkjKqkMiIVIQwb7ixf_ACuaSBHDZbyDfiShq4G0yudy11wdtea80b34FIfb5Z101b2vBz_voXFJEKHignOZOwJnOnCqXymouYSZ49LrNqysd6-3DafxNaGMvIFWQrTIrSBV-_Uty761HnZCIVRW8uhZqWUQs1ZsvwwuLlsiUiHWdi1jjiyWUUtcCA57LrMBKYDAuwPd4DsZSfwg21pX-WFwUAatNw3DqXkfXlMejedX0vYEWeoMltDGfHJRHJ7PTt7PP09nHw_nrd-Xep_neaXl0oM0_HM4Pds--_dCgNvtyWh7vzt5MoV4eT8r999rZyav55FAr97-efZ_eRN21sBus6-pWD73HTFd3E85SN7ZsI4-Fs81onJA0K5iRZ0VhGolJYpIVJCNWkoAxm7u5a5p5msRumrmZbd1Ci_1BP7-NNBlGnbA4dQpKuRHH4A4kpMhpTqDMzWW0JAYi2qnytkSWJeLO3WWkwcBEvfRpJHKri98ng6g3jMCD3Igsce5vGa3Uo1aTN3V1528Id9HVi2l6Dy2OhuP8Ppivo2RFKvgnRUt_qw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5%98%EC%9D%B4%EB%B8%8C%EB%A6%AC%EB%93%9C%ED%85%8D%EC%8A%A4%ED%8A%B8%EC%9D%98+%ED%91%9C%ED%98%84%EA%B3%BC+%EC%9D%98%EB%AF%B8%EC%A0%84%EB%8B%AC%EA%B3%BC%EC%A0%95%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A%B9%80%EC%98%81%ED%98%B8%28Young+Ho+Kim%29&rft.date=2015-08-31&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eissn=2713-5993&rft.volume=16&rft.issue=4&rft.spage=113&rft.epage=122&rft.externalDocID=NODE11832747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