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마 켄고의 건축 사상으로 본 "자연스러운 건축" 연구

일본의 건축가 쿠마 켄고(Kengo Kuma, 1954~ )는 ‘자연스러운 건축’을 요구하는 현 시기에 가장 중요한 건축가 중에 한 명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자연스러운 건축을 자신만의 철학과 개념으로 규정하고 실제 작품을 통해 구현하고 있는 건축가이며, 동양의 자연관인 자연과 인간의 대립이 아닌 자연에 순응하고 자연을 최대한 수용하면서 자연과 융합하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사상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건축가 쿠마 켄고의 저서를 바탕으로 그가 말하는 ‘자연스러운 건축’의 건축적 언어는 무엇이며, 어떠한 공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6; no. 1; pp. 671 - 683
Main Authors 최수민, Su Min Choi, 김지은, Ji Eu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일본의 건축가 쿠마 켄고(Kengo Kuma, 1954~ )는 ‘자연스러운 건축’을 요구하는 현 시기에 가장 중요한 건축가 중에 한 명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자연스러운 건축을 자신만의 철학과 개념으로 규정하고 실제 작품을 통해 구현하고 있는 건축가이며, 동양의 자연관인 자연과 인간의 대립이 아닌 자연에 순응하고 자연을 최대한 수용하면서 자연과 융합하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사상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건축가 쿠마 켄고의 저서를 바탕으로 그가 말하는 ‘자연스러운 건축’의 건축적 언어는 무엇이며, 어떠한 공간적 특성을 갖고 있는지 그의 작품을 통해 분석하고 건축에서의 자연스러움의 의미를 논의해보았다. 그는 고정된 것에 대한 거부, 전통의 재해석을 통한 현대화, 건축의 부정적 요소 극복, 자연과 인간의 유기적 만남이라는 자신의 건축사상을 바탕으로 약한 건축, 입자의 건축, 접합의 건축, 소통의 건축으로 ‘자연스러운 건축’이 되는 방법을 구체화한다. 약한 건축의 표현은 공간의 자연화, 서서히 점진적인 변화, 수평적 연속이며, 입자의 건축은 틈새 내기, 유연한 구조, 풍부한 질감, 접합의 건축은 시간을 수용하는 지속되는 공간, 다양한 사건의 매개, 경계의 소멸로 표현된다. 또한 소통의 건축의 표현은 생생한 삶이 구현된 공간의 일상화, 서로 다른 관계의 확장, 시공간의 초월로 각각 도출되었다. 이상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이 쿠마 켄코의 건축적사고인 ‘자연스러운 건축’은 건축 스스로가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는 자세를 지니고, 건축과 관계되어지는 수많은 요소들과 유연한 소통을 통해 무한한 가능성으로 열려있는 건축이라 할 수 있다. Kengo Kuma(1954~), a Japanese architec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chitect in this era that requires "natural architecture." He is an architect who defines natural architecture with his own philosophy and concept and he tries to modernly reinterpret the thought of Unity of Heaven and Human, the oriental view of nature which adapts nature, accommodates nature to the most and mixes with nature, not the conflict of nature and human. Based on his thought of architecture which is the denial of something fixed, modernization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 overcoming negative factors of architecture, organic meeting of nature and human, he gives shape to the way of being "natural architecture" as weak architecture, architecture of particles, architecture of connection and architecture of communication. The expression of weak architecture is the naturalization of space, gradual change and horizontal succession. The architecture of particles is expressed by making a crack, flexible structure and rich texture. The architecture of connection is continued spaces accommodating time, media of various incidents and extinction of border. And the expression of the architecture of communication is the space of lively daily life, expansion of different relationships and the transcendence of space and time. Likewise, "Natural Architecture," the architectural thought of Kengo Kuma, is the architecture that has the possibility of freely change, and it is an open architecture with unlimited possibility through flexible communication with various factors related to architecture.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18&idx=68
G704-001069.2015.16.1.021
ISSN:1598-8635
2713-5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