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기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에 관한 고찰 -거울작업을 중심으로

본고의 목적은 작가 박현기의 거울작업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에 담긴 함의를 밝히고, 그의 이러한 영상작업이 미디어의 본질에 대한 고찰을 통해 등장하였음을 논증하는 것에 있다. 그의 작업들은 단순히 비디오아트로서 구분할 수 없는 지점들이 다수 존재한다. 그것은 그의 작업들이 서구에서 시작된 현대적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한 예술적 시도들과는 차별화된 것으로서 ``예술적 창작에 있어 자연과 세계가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테크놀로지가 추구되어야 한다``는 작가의 철학적 의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17; no. 2; pp. 113 - 127
Main Authors 민희정, Hi Jung M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Cover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작가 박현기의 거울작업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에 담긴 함의를 밝히고, 그의 이러한 영상작업이 미디어의 본질에 대한 고찰을 통해 등장하였음을 논증하는 것에 있다. 그의 작업들은 단순히 비디오아트로서 구분할 수 없는 지점들이 다수 존재한다. 그것은 그의 작업들이 서구에서 시작된 현대적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한 예술적 시도들과는 차별화된 것으로서 ``예술적 창작에 있어 자연과 세계가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테크놀로지가 추구되어야 한다``는 작가의 철학적 의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은 그가 미디어의 본질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이것과 우리의 관계성에 대한 고찰을 작품의 중심에 둔 작업방식이자 그의 미디어 철학과 미학적 지향을 드러내는 조형논리이다. 이것은 그 형식에 있어 자연 혹은 비인공적 사물과 테크놀로지 미디어가 결합된 이중구조를 지니는 것이 특징으로, 거울작업에는 그가 미디어의 본질에 대하여 통찰한 과정이 잘 드러나 있다. 박현기는 거울이 대상을 매개하는 수동적인 사물이 아닌 영상을 구현하는 능동적인 미디어로서 바라보고 설치작업을 통해 거울에 움직이는 영상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거울의 영상을 비디오로 재매개 함으로써 거울과 우리의 관계성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자 했다. 그는 우리가 재생되지 않는 거울의 영상과 일시적 관계를 맺으며 분절하여 기억했던 이미지들을 비디오를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우리가 거울의 영상과 상호작용하여 의식을 새롭게 전환하고 있다는 사실을 일깨웠다. 그는 미디어를 통해 우리의 의식을 구축하는 방식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미디어가 우리의 존재성을 깨닫게 하는 도구임을 증명하고자 했다. 박현기는 탈테크놀로지 영상을 통해 물질에 대한 관념에 얽매인 우리 의식의 전환을 유도하고 다양한 방식의 소통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mirror works of Park Hyun-Ki as a media artist, in order to determine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se pieces in transcendental technology art, and to demonstrate that his moving image work has emerged through insight into the nature of the media. There are many points in his works that cannot be classified as simple video art. This is because the works are differentiated from artistic effort based on a contemporary technology started in the West, and they contain the philosophical intention of the artist that the works have been pursuing technology with harmony between Nature and the world in these artistic creations. In these transcendental technology works, he put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and the audience into the motives of the work, and selected not only the way to gain insight into the media in general, but also injected the visual logic revealing his media philosophy and aesthetic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have a dual structure, a combination of natural or non-artificial objects, with the technological media. Especially in the mirror works, he revealed clear insight about the nature of the media. Through the installation work, he implemented a temporal moving image in the mirror, not considering it a passive thing mediating objects, but as an active medium realizing the moving image. In addition, he explored obj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rror and audience perception by remediating the moving image of the mirror with video. He enabled us to link the segmentally memorized images having a temporal relationship, with the moving image of the mirror that does not replay. As a result, he awoke to the fact that we are becoming newly conscious by interacting with the moving image of the mirror. He examined the way we build our awareness through the media, and tried to prove that the media is a tool for achieving our existence. In the transcendental technology art, he induced the transformation of our consciousness that has been tied to the substance and the idea, and proposed various new ways of communication.
AbstractList 본고의 목적은 작가 박현기의 거울작업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에 담긴 함의를 밝히고, 그의 이러한 영상작업이 미디어의 본질에 대한 고찰을 통해 등장하였음을 논증하는 것에 있다. 그의 작업들은 단순히 비디오아트로서 구분할 수 없는 지점들이 다수 존재한다. 그것은 그의 작업들이 서구에서 시작된 현대적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한 예술적 시도들과는 차별화된 것으로서 ``예술적 창작에 있어 자연과 세계가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테크놀로지가 추구되어야 한다``는 작가의 철학적 의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은 그가 미디어의 본질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이것과 우리의 관계성에 대한 고찰을 작품의 중심에 둔 작업방식이자 그의 미디어 철학과 미학적 지향을 드러내는 조형논리이다. 이것은 그 형식에 있어 자연 혹은 비인공적 사물과 테크놀로지 미디어가 결합된 이중구조를 지니는 것이 특징으로, 거울작업에는 그가 미디어의 본질에 대하여 통찰한 과정이 잘 드러나 있다. 박현기는 거울이 대상을 매개하는 수동적인 사물이 아닌 영상을 구현하는 능동적인 미디어로서 바라보고 설치작업을 통해 거울에 움직이는 영상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거울의 영상을 비디오로 재매개 함으로써 거울과 우리의 관계성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자 했다. 그는 우리가 재생되지 않는 거울의 영상과 일시적 관계를 맺으며 분절하여 기억했던 이미지들을 비디오를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우리가 거울의 영상과 상호작용하여 의식을 새롭게 전환하고 있다는 사실을 일깨웠다. 그는 미디어를 통해 우리의 의식을 구축하는 방식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미디어가 우리의 존재성을 깨닫게 하는 도구임을 증명하고자 했다. 박현기는 탈테크놀로지 영상을 통해 물질에 대한 관념에 얽매인 우리 의식의 전환을 유도하고 다양한 방식의 소통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mirror works of Park Hyun-Ki as a media artist, in order to determine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se pieces in transcendental technology art, and to demonstrate that his moving image work has emerged through insight into the nature of the media. There are many points in his works that cannot be classified as simple video art. This is because the works are differentiated from artistic effort based on a contemporary technology started in the West, and they contain the philosophical intention of the artist that the works have been pursuing technology with harmony between Nature and the world in these artistic creations. In these transcendental technology works, he put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and the audience into the motives of the work, and selected not only the way to gain insight into the media in general, but also injected the visual logic revealing his media philosophy and aesthetic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have a dual structure, a combination of natural or non-artificial objects, with the technological media. Especially in the mirror works, he revealed clear insight about the nature of the media. Through the installation work, he implemented a temporal moving image in the mirror, not considering it a passive thing mediating objects, but as an active medium realizing the moving image. In addition, he explored obj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rror and audience perception by remediating the moving image of the mirror with video. He enabled us to link the segmentally memorized images having a temporal relationship, with the moving image of the mirror that does not replay. As a result, he awoke to the fact that we are becoming newly conscious by interacting with the moving image of the mirror. He examined the way we build our awareness through the media, and tried to prove that the media is a tool for achieving our existence. In the transcendental technology art, he induced the transformation of our consciousness that has been tied to the substance and the idea, and proposed various new ways of communication.
본고의 목적은 작가 박현기의 거울작업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에 담긴 함의를 밝히고, 그의 이러한영상작업이 미디어의 본질에 대한 고찰을 통해 등장하였음을 논증하는 것에 있다. 그의 작업들은 단순히 비디오아트로서구분할 수 없는 지점들이 다수 존재한다. 그것은 그의 작업들이 서구에서 시작된 현대적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한 예술적 시도들과는 차별화된 것으로서 ‘예술적 창작에 있어 자연과 세계가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테크놀로지가 추구되어야한다’는 작가의 철학적 의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은 그가 미디어의 본질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이것과 우리의 관계성에 대한 고찰을 작품의 중심에 둔 작업방식이자 그의 미디어 철학과 미학적 지향을 드러내는 조형논리이다. 이것은 그 형식에 있어 자연 혹은 비인공적 사물과 테크놀로지 미디어가 결합된 이중구조를 지니는 것이 특징으로, 거울작업에는 그가 미디어의 본질에 대하여 통찰한 과정이 잘 드러나 있다. 박현기는 거울이 대상을 매개하는 수동적인 사물이 아닌 영상을 구현하는 능동적인 미디어로서 바라보고 설치작업을 통해 거울에 움직이는 영상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거울의 영상을 비디오로 재매개 함으로써 거울과 우리의 관계성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자 했다. 그는 우리가재생되지 않는 거울의 영상과 일시적 관계를 맺으며 분절하여 기억했던 이미지들을 비디오를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우리가 거울의 영상과 상호작용하여 의식을 새롭게 전환하고 있다는 사실을 일깨웠다. 그는 미디어를 통해 우리의 의식을 구축하는 방식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미디어가 우리의 존재성을 깨닫게 하는 도구임을 증명하고자 했다. 박현기는 탈테크놀로지 영상을 통해 물질에 대한 관념에 얽매인 우리 의식의 전환을 유도하고 다양한 방식의 소통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mirror works of Park Hyun-Ki as a media artist, in order to determine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se pieces in transcendental technology art, and to demonstrate that his moving image work has emerged through insight into the nature of the media. There are many points in his works that cannot be classified as simple video art. This is because the works are differentiated from artistic effort based on a contemporary technology started in the West, and they contain the philosophical intention of the artist that the works have been pursuing technology with harmony between Nature and the world in these artistic creations. In these transcendental technology works, he put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and the audience into the motives of the work, and selected not only the way to gain insight into the media in general, but also injected the visual logic revealing his media philosophy and aesthetic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have a dual structure, a combination of natural or non-artificial objects, with the technological media. Especially in the mirror works, he revealed clear insight about the nature of the media. Through the installation work, he implemented a temporal moving image in the mirror, not considering it a passive thing mediating objects, but as an active medium realizing the moving image. In addition, he explored obj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rror and audience perception by remediating the moving image of the mirror with video. He enabled us to link the segmentally memorized images having a temporal relationship, with the moving image of the mirror that does not replay. As a result, he awoke to the fact that we are becoming newly conscious by interacting with the moving image of the mirror. He examined the way we build our awareness through the media, and tried to prove that the media is a tool for achieving our existence. In the transcendental technology art, he induced the transformation of our consciousness that has been tied to the substance and the idea, and proposed various new ways of communication. KCI Citation Count: 1
Author 민희정
Hi Jung Mi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민희정
– sequence: 2
  fullname: Hi Jung Mi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0643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z9Lw0AYBvBDKlhrP4FLFnEKXO695O7GUqsWigWpc8hfCdFWEhzcWtqKoIMdSou0oiC4dIjo0MFPlF6-g0GL0_MMv_eFZxsV2p22t4GKhGmg6kJAARU1XXCVG6BvoXIcBzamlAFjVBTR2SoZZ9NBukzkfKpk_bts-JD1Fqvb7up1Jt-7ipz2ZL8nJ49K-tXNxjMl_XyRSaKo6Ucin5byeSQnQzkfKPJtJO8XcvadH-6gTd-6iL3yOkuodVhrVY_VRvOoXq001JATrNoe5bZOfcPxbZcB9hxfMEM4lsMs4tpMJ2CDgznDDnBKmEGExsAQwrcJdi0OJbT_97Yd-WboBGbHCn7zvGOGkVk5bdVNwPnOXO6t5XUUXHpuYJlXebGiG_OkeVDTNA5EUJy73T8XBnH8T4CCRgWGH8w-f14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atabaseName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Korean Database (DBpia)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박현기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에 관한 고찰 -거울작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rk Hyun - Ki’s Transcendental Technology Art - Focused on His Mirror Works
DocumentTitle_FL A Study on Park Hyun-Ki`s Transcendental Technology Art -Focused on His Mirror Works
EISSN 2713-5993
EndPage 127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0749
NODE11832940
3431490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20-be48b54f6cfbd730ecf9769cac7a2db7523b3c0870c38427629173699fb20da83
ISSN 1598-8635
IngestDate Tue Nov 21 21:42:27 EST 2023
Thu Mar 13 19:39:47 EDT 2025
Tue Aug 13 02:12:05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Keywords Moving Image
Transcendental
탈테크놀로지
Technology
영상
Media Art
거울
미디어아트
박현기
Mirror
Park hyun-ki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20-be48b54f6cfbd730ecf9769cac7a2db7523b3c0870c38427629173699fb20da8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27&idx=511
G704-001069.2016.17.2.049
PageCount 15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0749
nurimedia_primary_NODE11832940
kiss_primary_343149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604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6-04-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16
  text: 201604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16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5901039
Snippet 본고의 목적은 작가 박현기의 거울작업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에 담긴 함의를 밝히고, 그의 이러한 영상작업이 미디어의 본질에 대한 고찰을 통해 등장하였음을 논증하는 것에 있다. 그의 작업들은 단순히 비디오아트로서 구분할 수 없는 지점들이 다수 존재한다. 그것은 그의...
본고의 목적은 작가 박현기의 거울작업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에 담긴 함의를 밝히고, 그의 이러한영상작업이 미디어의 본질에 대한 고찰을 통해 등장하였음을 논증하는 것에 있다. 그의 작업들은 단순히 비디오아트로서구분할 수 없는 지점들이 다수 존재한다. 그것은 그의...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13
SubjectTerms Media Art
Mirror
Moving Image
Park hyun-ki
Technology
Transcendental
거울
미디어아트
박현기
영상
예술일반
탈테크놀로지
Title 박현기의 탈테크놀로지 영상에 관한 고찰 -거울작업을 중심으로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431490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294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06437
Volume 1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기초조형학연구, 2016, 17(2), 74, pp.113-127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NAEF61vcAFgQqiPCof2FPkyo-1vXt0HFelUsullXqzvLaDqkgpCu2FA2rVFiHBgR6qRihFICFx6SEIDj3wi1LnPzCzdh2DkKBcksmsZ2cy48x863jHhDyCdaxlMpnqTjtxdGbFiS6YTHQva8cuE0Zbqo3CK6vu0jpb3nA2pqa12l1LO9tyIXnxx30l_xNV4EFccZfsFSJbTQoMoCG-8AoRhtd_ijENm7RpUOHQsEUFp5zR0KdNjswwoAKZDRzjNuVcEQ7lgSJM6gcoz1282QEI36QiQDHfA05DTcDxOCBQXhHCowLHQAtTci3ULoKCZVNfKQb1TaOhK555aYwyDImQisu5wJzCTs6UQp-VY7ypzAvQpGZQmVeH0r98VbRGze4X-pQ7Sr-AfaLUh0Mg5dBJx0k196JS0kJLCrW-8qrFlzYby5AOGyvq-kn9Eonp1v7twZO68sWlitYVLWyhj3hQLxOC69wtGq0sZIpnwXJfd0TxvMeqtni135BVKxRmsQO3xBxm0R_ht87fq09aoYkpVzBjmkzbJubxlZfhBO6aql9i9VngRuRJfmXMswHdC9UyuDQYkAcsTJ4Dkur2AIBd6-7gUyQgFdVQ1dpNcqNcDml-cW7fIlOdrVmyfjE8HvcPRufD_LSvjfdfjw_fjvfOLl7tXnwa5F92tby_l-_v5SfvtNH33fHxQBt9-5gPh5o--jrM35_nH47yk8P89EDLPx_lb87ywQ8QvE3WFsO1YEkvH_-hdwCW6jJjXDqs7SZtmUIdypI2QGeRxIkXW6n0HMuWdmJAvUlsziwo6sL0bFcISC9GGnP7DpnpbnWzu0SLOYtTYaRuyjLmWExmQmZSWlaaxIhP58gsOiV6VjR4iWxA1ZCn5ogGToo6yWaETdjx_elW1OlFsNR8HEFxZGKOzFcerMTrcbv3twPuk-uTU_YBmdnu7WQPAeduy3kV7J-0roqu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0%95%ED%98%84%EA%B8%B0%EC%9D%98+%ED%83%88%ED%85%8C%ED%81%AC%EB%86%80%EB%A1%9C%EC%A7%80+%EC%98%81%EC%83%81%EC%97%90+%EA%B4%80%ED%95%9C+%EA%B3%A0%EC%B0%B0+-%EA%B1%B0%EC%9A%B8%EC%9E%91%EC%97%85%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B%AF%BC%ED%9D%AC%EC%A0%95%28Hi+Jung+Min%29&rft.date=2016-04-30&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eissn=2713-5993&rft.volume=17&rft.issue=2&rft.spage=113&rft.epage=127&rft.externalDocID=NODE1183294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