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화과정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이 위점막 세포 역동학과 아포토시스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목적: H. pylori는 위암의 명확한 발암인자로 인정되었으나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저자들은 위암화과정 각 단계에 있어 H. pylori 감염으로 인한 위점막 세포 역동학의 변화 및 아포토시스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검진 혹은 소화불량증으로 내시경검사를 받은 59명을 H. pylori 음성군 11명, H. pylori 양성인 만성 위염군 20명, 만성 위염+장상피화생군 10명, 이형성군 11명, 위암군 7명으로 나누었다. 만성 위염군은 updated Sydney system에 따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42; no. 1; pp. 12 - 19
Main Authors 이강문, Lee Gang Mun, 이동수, Lee Dong Su, 양진모, Yang Jin Mo, 안병민, An Byeong Min, 이은희, Lee Eun Hui, 유진영, Yu Jin Yeong, 김유정, Kim Yu Jeong, 정인식, Jeong In Sig, 선희식, Seon Hui Sig, 박두호, Park Du 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화기학회 30.07.200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992
2233-6869

Cover

Abstract 목적: H. pylori는 위암의 명확한 발암인자로 인정되었으나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저자들은 위암화과정 각 단계에 있어 H. pylori 감염으로 인한 위점막 세포 역동학의 변화 및 아포토시스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검진 혹은 소화불량증으로 내시경검사를 받은 59명을 H. pylori 음성군 11명, H. pylori 양성인 만성 위염군 20명, 만성 위염+장상피화생군 10명, 이형성군 11명, 위암군 7명으로 나누었다. 만성 위염군은 updated Sydney system에 따라 경한 위염, 중등도 위염, 심한 위염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내시경 생검 혹은 절제 표본을 이용하여, 아포토시스는 TUNEL 방법으로, 세포증식은 Ki-67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검사하였다. 아포토시스 지수(AI) 및 세포증식 지수(PI)로 그 정도를 나타냈으며, 상대적인 증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AI/PI를 구하였다. 아포토시스 및 세포증식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p53, Bcl-2, Bcl-XL, Bax 단백질의 발현 정도는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알아보았고 각 군에서의 양성도(%) 및 발현 강도(0, 1, 2)를 알아보았다. 결과: H. pylori 음성군에 비해 양성군에서 아포토시스 및 세포증식이 증가되었으며, 만성 위염, 장상피화생, 이형성, 위암군으로 진행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AI, p<0.005, PI, p<0.0001). 그러나 아포토시스와 세포증식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내는 AI/PI는 H. pylori 양성인 만성 위염군에서 음성군에 비해 높았으나 장상피화생, 이형성, 위암으로 진행하면서 오히려 점차 감소하였다. 만성 위염군에서 AI와 PI는 염증이 심할수록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AI/PI는 경한 위염에서 중등도 위염까지 증가하다가 심한 위염에서는 감소하였다. p53은 이형성군(18.2%) 및 위암군(28.6%)에서 주로 발현되었다. Bax의 발현은 H. pylori 음성군(36.7%)에 비해 만성 위염군(70%) 및 만성 위염+상피화생군(80%)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그 발현 강도도 증가되었다(p<0.05). 결론: H. pylori 감염은 위점막의 아포토시스 및 세포증식을 증가시키며, 위암화과정이 진행할수록 상대적으로 과도한 세포증식을 유발하여 아포토시스-세포증식 간의 불균형을 초래함으로써 위암 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We investigated apoptosis, cell proliferation and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in the gastric epithelial cells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negative and positive patients. Methods: TUNEL stain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Ki-67, p53, Bcl-2, Bcl-XL and Bax were performed on paraffin-embedded specimens obtained from 11 H. pylori-negative controls, 20 H. pylori-positive chronic gastritis, 10 chronic gastritis with intestinal metaplasia (IM), 11 adenoma, and 7 adenocarcinoma patients. Apoptosis and proliferation were expressed as apoptosis index (AI) and proliferation index (PI). Results: In H. pylori-positive groups, apoptosis and proliferation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s. However, an AI/PI ratio was highest in chronic gastritis cases and then gradually reduced according to the progress from IM to cancer. p53 was expressed in 28.6% of adenocarcinoma cases. Expression of Bax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hronic gastritis and IM patients compared with controls. Conclusions: H. pylori infection induces marked increase in apoptosis and proliferation of gastric mucosa. In the premalignant lesions, the balance between apoptosis and proliferation is altered, and this imbalance may play a key role in the gastric carcinogenesis. (Korean J Gastroenterol 2003;42:12-19)
AbstractList 목적: H. pylori는 위암의 명확한 발암인자로 인정되었으나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저자들은 위암화과정 각 단계에 있어 H. pylori 감염으로 인한 위점막 세포 역동학의 변화 및 아포토시스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검진 혹은 소화불량증으로 내시경검사를 받은 59명을 H. pylori 음성군 11명, H. pylori 양성인 만성 위염군 20명, 만성 위염+장상피화생군 10명, 이형성군 11명, 위암군 7명으로 나누었다. 만성 위염군은 updated Sydney system에 따라 경한 위염, 중등도 위염, 심한 위염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내시경 생검 혹은 절제 표본을 이용하여, 아포토시스는 TUNEL 방법으로, 세포증식은 Ki-67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검사하였다. 아포토시스 지수(AI) 및 세포증식 지수(PI)로 그 정도를 나타냈으며, 상대적인 증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AI/PI를 구하였다. 아포토시스 및 세포증식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p53, Bcl-2, Bcl-XL, Bax 단백질의 발현 정도는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알아보았고 각 군에서의 양성도(%) 및 발현 강도(0, 1, 2)를 알아보았다. 결과: H. pylori 음성군에 비해 양성군에서 아포토시스 및 세포증식이 증가되었으며, 만성 위염, 장상피화생, 이형성, 위암군으로 진행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AI, p<0.005, PI, p<0.0001). 그러나 아포토시스와 세포증식의 상대적 증가를 나타내는 AI/PI는 H. pylori 양성인 만성 위염군에서 음성군에 비해 높았으나 장상피화생, 이형성, 위암으로 진행하면서 오히려 점차 감소하였다. 만성 위염군에서 AI와 PI는 염증이 심할수록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AI/PI는 경한 위염에서 중등도 위염까지 증가하다가 심한 위염에서는 감소하였다. p53은 이형성군(18.2%) 및 위암군(28.6%)에서 주로 발현되었다. Bax의 발현은 H. pylori 음성군(36.7%)에 비해 만성 위염군(70%) 및 만성 위염+상피화생군(80%)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그 발현 강도도 증가되었다(p<0.05). 결론: H. pylori 감염은 위점막의 아포토시스 및 세포증식을 증가시키며, 위암화과정이 진행할수록 상대적으로 과도한 세포증식을 유발하여 아포토시스-세포증식 간의 불균형을 초래함으로써 위암 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We investigated apoptosis, cell proliferation and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in the gastric epithelial cells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negative and positive patients. Methods: TUNEL stain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Ki-67, p53, Bcl-2, Bcl-XL and Bax were performed on paraffin-embedded specimens obtained from 11 H. pylori-negative controls, 20 H. pylori-positive chronic gastritis, 10 chronic gastritis with intestinal metaplasia (IM), 11 adenoma, and 7 adenocarcinoma patients. Apoptosis and proliferation were expressed as apoptosis index (AI) and proliferation index (PI). Results: In H. pylori-positive groups, apoptosis and proliferation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s. However, an AI/PI ratio was highest in chronic gastritis cases and then gradually reduced according to the progress from IM to cancer. p53 was expressed in 28.6% of adenocarcinoma cases. Expression of Bax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hronic gastritis and IM patients compared with controls. Conclusions: H. pylori infection induces marked increase in apoptosis and proliferation of gastric mucosa. In the premalignant lesions, the balance between apoptosis and proliferation is altered, and this imbalance may play a key role in the gastric carcinogenesis. (Korean J Gastroenterol 2003;42:12-19)
KCI Citation Count: 1
Author 이은희
박두호
Seon Hui Sig
양진모
Yang Jin Mo
An Byeong Min
Jeong In Sig
안병민
이동수
Lee Eun Hui
Kim Yu Jeong
Park Du Ho
Lee Gang Mun
김유정
정인식
이강문
Lee Dong Su
유진영
선희식
Yu Jin Yeong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강문
– sequence: 2
  fullname: Lee Gang Mun
– sequence: 3
  fullname: 이동수
– sequence: 4
  fullname: Lee Dong Su
– sequence: 5
  fullname: 양진모
– sequence: 6
  fullname: Yang Jin Mo
– sequence: 7
  fullname: 안병민
– sequence: 8
  fullname: An Byeong Min
– sequence: 9
  fullname: 이은희
– sequence: 10
  fullname: Lee Eun Hui
– sequence: 11
  fullname: 유진영
– sequence: 12
  fullname: Yu Jin Yeong
– sequence: 13
  fullname: 김유정
– sequence: 14
  fullname: Kim Yu Jeong
– sequence: 15
  fullname: 정인식
– sequence: 16
  fullname: Jeong In Sig
– sequence: 17
  fullname: 선희식
– sequence: 18
  fullname: Seon Hui Sig
– sequence: 19
  fullname: 박두호
– sequence: 20
  fullname: Park Du Ho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0405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T9Lw0AAxYNUsNZ-ApcbXQLJ5c_lxlLUCgVBuofcJZWQ2pTEpZtCEG2RdmhsCxEyKO2gWLFDhX6i3uU7GK3TDx7v_d6-UGj7bWdHKEKoKKJu6LggFGUNGyLGGO4J5TB0iZQHsi5LclF45EnE41E2HW2-1jyN-XjIowTUnJZLfWLRaycAnW7LD1ywWQz5eM2fl-B3kw7Z7AHwaJUN3gAfv7PBNIunuQTwOMqz7C7l_YT3XsBmecPSOWD9OVt88tk9YIskm0T5E2AfK_49Yb0R4JPb7On1QNhtWq3QKf-zJDROjhvVmlg_Pz2rVuqihzRDRBDbBMmGjbGFKSKQGpQSKBOdGpqCsaQiR0MqsRWqIxtLEnUotVQsEYgUybGUknC01baDpulR1_Qt94-XvukFZuWicWaqKkTYyKuH26rnhqHZCdwrK-iaUNKhjFXlB9QDk7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atabaseName 한국학술정보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위암화과정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이 위점막 세포 역동학과 아포토시스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ISSN 2233-686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442798
2062194
GroupedDBID 5-W
8JR
9ZL
ADBBV
ALMA_UNASSIGNED_HOLDINGS
BCNDV
EF.
F5P
GROUPED_DOAJ
HZB
OK1
Q5X
8XY
ACYCR
EBD
EMOBN
SV3
ID FETCH-LOGICAL-k758-729db718d99a9c7b2c8ccb21b6c85399047e574bd3c67d900cecca490b2730ea3
ISSN 1598-9992
IngestDate Sun Jan 26 10:32:42 EST 2025
Sat Apr 26 02:22:40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1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758-729db718d99a9c7b2c8ccb21b6c85399047e574bd3c67d900cecca490b2730ea3
Notes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G704-000307.2003.42.2.001
PageCount 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442798
kiss_primary_206219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30730
PublicationDateYYYYMMDD 2003-07-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7
  year: 2003
  text: 200307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PublicationTitleAlternate 대한소화기학회지
PublicationYear 2003
Publisher 대한소화기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소화기학회
SSID ssib015916101
ssib003110202
ssib059854591
ssj0064443
ssib050734789
Score 1.5581182
Snippet 목적: H. pylori는 위암의 명확한 발암인자로 인정되었으나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저자들은 위암화과정 각 단계에 있어 H. pylori 감염으로 인한 위점막 세포 역동학의 변화 및 아포토시스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검진 혹은...
KCI Citation Count: 1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2
SubjectTerms Apoptosis
Bax
Gastric carcinogenesis
Helicobacter pylori
p53
Protein p53
내과학
세포증식
아포토시스
Title 위암화과정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이 위점막 세포 역동학과 아포토시스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206219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04058
Volume 4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대한소화기학회지, 2003, 42(2)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axNBFF_anryIUsX6jxGcU0jZZCe7M8fdTUtV6qnF3sLOJikl0JQ0vXgQhSDaIu2hsS1EyEFpD4oVe6jQT9SdfAffm9mmWVFQL8vLzJs3b9-bnfm92ewby3pY9zD_pWD5GizvEKBAwMqjgszLYsTsuA6IQ-_pzj915xbZ46XS0tj44si_ljbacjp-_tvvSv7Hq1AGfsWvZP_Bs0OhUAA0-Beu4GG4_pWP6UxIRUg500SJCiDKVAhN-DRwaBBilW9jLfJ4VNhIQBOh1xwYCFInbM6tYei-ktMN7ZQN-I0EUaYBy2X68w1TQH2PcpFLpQYcVeCz1A9zqQS_jFxQBIqheiVNpOrlUtU5G7bThIvyUWSAPSLhU58Z7Rj-PQM7tqnPc1o4_OBIgOZBQWsHSpk6vBktU_ALS6EVdJ0_qxUOaSCwGiX5YDyjFLAXdDvQpTQK4vHRetJsXbzDSPH8crTebjUxxWkr86oi64By2iHeVzmz5eLovVx7-JBobUJ9q8ZoxgwuFma8zPEWLw0LhA88o6uNgNVGmMMAp2u6DOCak3e5Ob8mmx_8l3U7kyG8Ea9UlpuVRqsCcdCjCmNFT_Bxa9wp6I2s_LORSRww5WXON9ABQL89nOQhPnCYPoLAwBnAy-YrlQtdAbtAaLMOWGy1VR_BYgvXrKtpEEV880Rct8YazUnrnep1VHd3cLB7_v1M9btqb0d1emR0jBMzxsn58Y7aO1MfTgi26e8kh2-J6pwOtj8Ttfcl2T4YdA9ACFHdDpQNXvfVVk9tfiTnJy-T_hFJto6S42_q8A1JjnuD_Q70RJKvp-rHfrK5S9T-q8H7TzeshdmZhXAunx42km9AyIwnOlcl4LSqEJGIPVmMeRzLYkG6McfkzTbzaiWPyaoTu15V2HaMcx8TtgT8b9ci56Y1sdpcrd2yiAdBUZ0zDtMdYOdISrdUj2SRR8KtugA-pqxJNGBlzaSTqRRtF2ADm7IegEG1I__o0Nt_wXPHunI5Zu9aE-3WRu0eAOe2vK8HAlznX8z8BCrXs2M
linkProvider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C%84%EC%95%94%ED%99%94%EA%B3%BC%EC%A0%95%EC%97%90%EC%84%9C+Helicobacter+pylori+%EA%B0%90%EC%97%BC%EC%9D%B4+%EC%9C%84%EC%A0%90%EB%A7%89+%EC%84%B8%ED%8F%AC+%EC%97%AD%EB%8F%99%ED%95%99%EA%B3%BC+%EC%95%84%ED%8F%AC%ED%86%A0%EC%8B%9C%EC%8A%A4+%EA%B4%80%EB%A0%A8+%EB%8B%A8%EB%B0%B1%EC%A7%88+%EB%B0%9C%ED%98%84%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rft.jtitle=The+Korean+journal+of+gastroenterology&rft.au=%EC%A0%95%EC%9D%B8%EC%8B%9D&rft.date=2003-07-30&rft.pub=%EB%8C%80%ED%95%9C%EC%86%8C%ED%99%94%EA%B8%B0%ED%95%99%ED%9A%8C&rft.issn=1598-9992&rft.eissn=2233-686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44279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999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999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999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