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창업기업의 내부적 요인과 외부협력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제품 개발성과의 매개효과

In today's rapidly changing and hyper-competitive environment, it is essential for technology startups to maintain sustainable competitiveness and achieve growth not only by strengthening their internal capabilities but also through external collaboration.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m...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벤처창업연구 Vol. 20; no. 2; pp. 1 - 22
Main Authors 김형준, 이원일, Kim Hyung Jun, Lee Won Il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벤처창업학회 01.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7557
2671-9509
DOI10.16972/apjbve.20.2.202504.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In today's rapidly changing and hyper-competitive environment, it is essential for technology startups to maintain sustainable competitiveness and achieve growth not only by strengthening their internal capabilities but also through external collaboration.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internal factors(entrepreneurial capabilities, individual creativity) and external collaboration factors(open innovation, the ability to utilize startup support systems)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examines whether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plays a mediating role. The empirical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Second, individual creativity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Third, open innov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Fourth, the ability to utilize startup support system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Fifth,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revealed that, regarding financial performance, technological capabilities demonstra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while managerial capabilities, open innovation, and the ability to utilize startup support systems exhibited full mediating effects. Sixth, regarding non-financial performance,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open innovation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through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while the ability to utilize startup support systems exhibited a ful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eparately, this study contributes academically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both sets of factors and empirically verifying their relationships with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the study confirms that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serves as a critical link between technological capabilities, open innovation, the utilization of startup support systems, and management performance, emphasizing that strengthening and effectively leveraging new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ies is essential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technology startups. Notably, this study differentiates itself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echnology startup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and empirically examining the impacts of open innovation and the utilization of startup support systems on business outcomes. Through this, the study provides strategic directions for the growth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technology startups and offers empirical foundations for the formulation of guidelines to promote new product development and startup support policies. Ultimatel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ensuring the sustainable growth of technology startups and for supporting the broader startup ecosystem. 현대 급변하는 초경쟁 환경에서 기술창업기업이 지속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내부 역량의 강화뿐만 아니라 외부 협력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기술창업기업의 내부적 요인(창업가 역량, 개인 창의성)과 외부 협력 요인(개방형 혁신, 창업지원제도 활용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신제품 개발 성과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 역량의 하위 요소 중 기술적 역량은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창의성은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개방형 혁신은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지원제도 활용 역량 역시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신제품 개발 성과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재무적 성과의 경우 기술적 역량은 신제품 개발 성과를 통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관리적 역량, 개방형 혁신 및 창업지원제도 활용 역량은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여섯째, 비재무적 성과의 경우 기술적 역량, 개방형 혁신은 신제품 개발 성과를 매개로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했으며, 창업지원제도 활용 역량은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내부 요인과 외부 요인을 개별적으로 분석한 것과 달리, 두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기여가 있다. 둘째, 신제품 개발 성과가 기술적 역량, 개방형 혁신, 창업지원제도 활용 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핵심적인 연결고리로 작용한다는 점을 확인하여, 기술창업기업이 신제품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경영성과 향상에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특히, 본 연구는 신제품 개발 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술창업기업의 경영성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개방형 혁신과 창업지원제도 활용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이를 통해 기술창업기업의 성장과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며, 신제품 개발 촉진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창업 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기술창업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및 창업생태계 지원방안 마련에 유용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516050403239
ISSN:1975-7557
2671-9509
DOI:10.16972/apjbve.20.2.2025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