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에서 과정 중심의 동료 평가 모델 제안 및 사례 연구

본 연구는 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에서 논증 기반 글쓰기의 이론적 지식과 실질적 적용 사이의 간극을 해소하기 위한 “과정 중심의 동료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대학 교양 글쓰기는 학생들의 비판적⋅논리적 사고력 함양을 목표로 하지만, 형식적 지식 전달만으로는 실질적인 정당화 능력을 키우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동료 평가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결과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는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과정 중심 동료 평가 모델”이라는 이름으로 제시한다. 이 모델은 학습자들에게 결과물이 아닌 글쓰기 과정에 집...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Vol. 19; no. 2; pp. 17 - 37
Main Authors 백송이(Song Ee Baek), 정희현(Hee Hyun J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30.04.2025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에서 논증 기반 글쓰기의 이론적 지식과 실질적 적용 사이의 간극을 해소하기 위한 “과정 중심의 동료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대학 교양 글쓰기는 학생들의 비판적⋅논리적 사고력 함양을 목표로 하지만, 형식적 지식 전달만으로는 실질적인 정당화 능력을 키우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동료 평가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결과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는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과정 중심 동료 평가 모델”이라는 이름으로 제시한다. 이 모델은 학습자들에게 결과물이 아닌 글쓰기 과정에 집중하고, 다른 사람들의 글을 평가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글쓰기 선호를 드러내고, 그 선호에 대한 인식이 불명확함을 깨닫게 하며, 자신의 방식에 대해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그것을 반성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이를 적용한 S 대학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이 모델의 효용 및 개선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 중심의 동료 평가 모델이 기존의 교수자 평가중심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과 논증 능력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proposes a “Process-Oriented Peer Review Model”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argument-based writing in university liberal arts writing courses. Although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ims to cultivate students'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skills, there is a limitation in developing substantial justification abilities through formal knowledge transfer alone.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eer review studies that have primarily focused on final products, and presents an alternative approach called the ‘Process-Oriented Peer Review Model.’ This model encourages learners to focus on the writing process rather than the final product, and by evaluating others' writing, it helps them reveal their own writing preferences, recognize the ambiguity of these preferences, and reflect on their writing methods through the process of justification. By reporting a case study implemented at S University, this research presents both the effectiveness and areas for improvement of this model.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rocess-oriented peer review model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instructor-centered evaluation models and substantially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argumentation skills.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본 연구는 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에서 논증 기반 글쓰기의 이론적 지식과 실질적 적용 사이의 간극을 해소하기 위한 “과정 중심의 동료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대학 교양 글쓰기는 학생들의 비판적⋅논리적 사고력 함양을 목표로 하지만, 형식적 지식 전달만으로는 실질적인 정당화 능력을 키우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동료 평가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결과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는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과정 중심 동료 평가 모델”이라는 이름으로 제시한다. 이 모델은 학습자들에게 결과물이 아닌 글쓰기 과정에 집중하고, 다른 사람들의 글을 평가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글쓰기 선호를 드러내고, 그 선호에 대한 인식이 불명확함을 깨닫게 하며, 자신의 방식에 대해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그것을 반성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이를 적용한 S 대학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이 모델의 효용 및 개선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 중심의 동료 평가 모델이 기존의 교수자 평가중심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과 논증 능력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proposes a “Process-Oriented Peer Review Model”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argument-based writing in university liberal arts writing courses. Although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ims to cultivate students'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skills, there is a limitation in developing substantial justification abilities through formal knowledge transfer alone.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eer review studies that have primarily focused on final products, and presents an alternative approach called the ‘Process-Oriented Peer Review Model.’ This model encourages learners to focus on the writing process rather than the final product, and by evaluating others' writing, it helps them reveal their own writing preferences, recognize the ambiguity of these preferences, and reflect on their writing methods through the process of justification. By reporting a case study implemented at S University, this research presents both the effectiveness and areas for improvement of this model.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rocess-oriented peer review model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instructor-centered evaluation models and substantially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argumentation skill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정희현(Hee Hyun Jung)
백송이(Song Ee Baek)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백송이(Song Ee Baek)
– sequence: 2
  fullname: 정희현(Hee Hyun Ju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124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kEtLAlEAhS9hkJn_4W7aBAP3fWeWIj0EIQj3F-88QiZmQNu0G6JFkaEiZoKBUYsIFwMhuOgXzVz_Q5qtvsPh4yzOPihEceTvgCKRmFkYI1wARexIYVGCyR4odzotjRATjrQ5LgI37yar0QRmi755HsBsmZhhmi3TTZF9_5hx39xN4SbNRtB8DMzj3Ly-wLw3yd-7cNV7yNIE5l-f-dMSmtnUjO5hnvaguZ3nbwk04zRbzA_AbtC86vjlf5ZA4-S4UT2z6uentWqlboWCc4swxAIsXO0wRmwuAs_Tnq29ZiAdKijHhPgk0Axr7WuJXCqZK_w1iSSU2JqWwNF2NmoHKnRbKm62_ngZq7CtKheNmsJIYsQ4X8uHWzm8iXWsdByHrh9d-23FEEZIIlvY64foL7kdfg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atabaseName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 Proposal and Case Study of Process-Oriented Peer Review Model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EISSN 2714-1101
EndPage 37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710455
4010070868785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k655-2404f16cb9442856fddbd8bdaf793635122e2fb41bbeb70c374c6e0c3272328b3
ISSN 1976-3212
IngestDate Sat May 10 03:10:52 EDT 2025
Sat May 10 02:10:19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Keywords Process-Oriented Evaluation
조별 평가
Peer Review
동료 평가
논증적 글쓰기
Group Assessment
Argumentative Writing
과정 중심 글쓰기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55-2404f16cb9442856fddbd8bdaf793635122e2fb41bbeb70c374c6e0c3272328b3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1241
PageCount 2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10455
kyobo_bookcenter_4010070868785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4-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4-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25
  text: 2025-04-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교양교육연구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한국교양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Publisher_xml – name: 한국교양교육학회
– nam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SID ssib004697851
ssib009345133
ssib044738157
Score 1.9064239
Snippet 본 연구는 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에서 논증 기반 글쓰기의 이론적 지식과 실질적 적용 사이의 간극을 해소하기 위한 “과정 중심의 동료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대학 교양 글쓰기는 학생들의 비판적⋅논리적 사고력 함양을 목표로 하지만, 형식적 지식 전달만으로는 실질적인 정당화 능력을 키우기...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7
SubjectTerms 학제간연구
TableOfContents 1. 서론 2.글쓰기 수업 내 동료 평가활동 도입의 필요성 3. 과정 중심 동료 평가의 목표와 그 수행을 위한 제언 4. 동료 평가 학습 모형: S 대학 학술적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5. 결론
Title 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에서 과정 중심의 동료 평가 모델 제안 및 사례 연구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7086878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1241
Volume 1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양교육연구, 2025, 19(2), 84, pp.17-37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Gh78iKKivWjDOicQiQfk2TmmGS3rIV6sUI9hZ18iC7swtIe6kEW8aBYaYvUWqhQ0YNIDwtS6MFftEn_g28m2W1WCn5ckrdvXt68eW-y773MF0J3LSNx24mT6uALuU6ZleqCxabOM4Mn8ETsZDJRXH7gth7RpVVndWb2cW3W0vqauBc_P3ddyf9YFXBgV7lK9h8sO2EKCIDBvnAFC8P1r2xMmgFhoZys0GwQ7hAOGX7TJwFAgAoJdwk3SxRTVICySWBUmMCokwMAZaEi8ioGjBIealNlvgE1aQqCQlNRBcQvnwMpmKakWgRhJODbIKEm5QMU44qVAbIoKt8nPlPkDZBHG7MveTmElbwk_aIqZJaqCB40SxZK1Ko9Dqm2kXw2Vs7vmpjGhJLL-RygA1YVB2UD3TEtyEkhJn8oT2hqplrQTju1bykT_Sh7NJSwUiVSjxZrpanW2ljvakvqD5bXP7hYTm3sSL4iY4uGY8kaf9eeqh8owAfV15wOhIS6bZnTXonX3j6r5mLKpa5VsGJ7Z358MrsSUma5ixNzmcecWTRrm9IBLL9o1oazuVcfDuY2HZ_zI39T6kEgp3bJncgGyVtnoyd6EIN1-1ktBlu5hC5WyRP2yzfhMprp9K6gON8cnO7u49HxdvFhB49OBsX74ehkKBGjHz-Lve3i1QGW0OEuLr7uFG-Pik8fcb61n3_ZxKdbb0bDAc6_f8vfneDi8KDYfY3z4RYuXh7lnwe42BuOjo-uopXF5krY0qujQ_SO6zhyyJBmphsLTiG9dtwsSUTCRNLOwB1BiG1aVmplgppCpMIzYtujsZvC3fIgw2DCvobmur1ueh1hmkCQLRJDtL2EulSu-_banvSUbVPYlM2jBaWXSCbFckJ12o-mDDCP7oDCok78NJJbucv7k17U6UeQsN6PTBniU8e58Sc2N9GFs854C82t9dfT2xAPr4kFZdtfsMaS3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C%80%ED%95%99+%EA%B5%90%EC%96%91+%EA%B8%80%EC%93%B0%EA%B8%B0+%EA%B5%90%EA%B3%BC%EC%97%90%EC%84%9C+%EA%B3%BC%EC%A0%95+%EC%A4%91%EC%8B%AC%EC%9D%98+%EB%8F%99%EB%A3%8C+%ED%8F%89%EA%B0%80+%EB%AA%A8%EB%8D%B8+%EC%A0%9C%EC%95%88+%EB%B0%8F+%EC%82%AC%EB%A1%80+%EC%97%B0%EA%B5%AC&rft.jtitle=%EA%B5%90%EC%96%91%EA%B5%90%EC%9C%A1%EC%97%B0%EA%B5%AC&rft.au=%EB%B0%B1%EC%86%A1%EC%9D%B4%28Song+Ee+Baek%29&rft.au=%EC%A0%95%ED%9D%AC%ED%98%84%28Hee+Hyun+Jung%29&rft.date=2025-04-30&rft.pub=%ED%95%9C%EA%B5%AD%EA%B5%90%EC%96%91%EA%B5%90%EC%9C%A1%ED%95%99%ED%9A%8C&rft.issn=1976-3212&rft.volume=19&rft.issue=2&rft.spage=17&rft.epage=37&rft.externalDocID=401007086878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321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