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돌확률 모델에 의한 미립 몰리브덴광의 부유선별 효율 향상 연구

Molybdenite is the primary molybdenum resource and is extracted via flotation due to its unique hydrophobic surface. Meanwhile, the grade and crystal size of mined molybdenite are decreasing. As a result, the size of the molybdenum ore required for liberation is decreasing, and the flotation proces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Resources recycling Vol. 33; no. 3; pp. 38 - 47
Main Authors 양지수, 유경근, 서주범, 한성수, Jisu Yang, Kyoungkeun Yoo, Joobeom Seo, Seongsoo H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01.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Molybdenite is the primary molybdenum resource and is extracted via flotation due to its unique hydrophobic surface. Meanwhile, the grade and crystal size of mined molybdenite are decreasing. As a result, the size of the molybdenum ore required for liberation is decreasing, and the flotation process's feed size input is also decreasing.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molybdenum, it is necessary to perform research on the flotation for the fine molybdenit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 to enhance the flotation efficiency of fine molybdenite particles in the range of 5-30 ㎛. The methodology involved implementing bubble size reduction and particle aggregation. Through simulations of bubble-particle collision probability and flotation experiments, we were able to find the ranges of bubble size and particle aggregate size that make fine particles float more effectively. This range provided the conditions for effective flotation of fine molybdenite particles. Therefore, we will implement the flotation condi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for fine molybdenum ore to improve the flotation process in molybdenum mineral processing plants in the future. 몰리브데나이트는 몰리브덴의 주요 광물자원으로 고유의 소수성 표면으로 인해 부유선별을 통해 회수된다. 한편, 채광되는 몰리브데나이트의 결정크기 및 품위가 낮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단체분리에 요구되는 광물 크기가 작아짐으로써, 부유선별에 투입되는 원광 크기 또한 미립화되고 있다. 미립자는 기포와의 충돌확률이 낮아, 부유선별할 때 효율 감소를 유발시킨다. 이에 따라, 몰리브덴 확보를 위해서는 미립 몰리브데나이트에 대한 부유선별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5-30 ㎛의 미립 몰리브데나이트의 부유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포크기 축소와 입자응집을 통한 효율 증진으로 접근하였다. 기포-입자 충돌확률을 시뮬레이션과 부유선별 실험을 통해, 미립자의 부유선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기포크기 및 입자응집체 크기에 대한 범위를 정량적으로 결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공한 미립 몰리브덴광 부유선별 조건은 향후 몰리브덴 선광 플랜트의 부유선별 공정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422639210813
https://j-kirr.or.kr/articles/article/oaZj/
ISSN:2765-3439
2765-3447
DOI:10.7844/kirr.2024.33.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