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시설 기부 대 양여 이전사업의 지연 최소화를 위한 사례연구
Delays in military facility relocation projects result in increased project costs and unresolved disagreements among stakeholders due to the inability to proceed according to the planned schedule. These delays adversely affect operational readiness and the conditions required for military operations...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6(3) Vol. 26; no. 3; pp. 62 - 7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건설관리학회
01.05.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6095 2465-9703 |
Cover
Summary: | Delays in military facility relocation projects result in increased project costs and unresolved disagreements among stakeholders due to the inability to proceed according to the planned schedule. These delays adversely affect operational readiness and the conditions required for military operations, ultimately leading to reduced efficiency.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focused on "Donation-for-Compensation Relocation Projects," a legal framework wherein the local governments or stakeholders requesting relocation bear the construction costs of military facilities. These costs are later recover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cated land transferred to the stakeholders after relocation. Second, to derive efficiency improvement strategies through delay minimization in Donation-for-Compensation Relocation Projects, the entire project management process was grouped into five stages based on relevant directives from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Empirical delay factors at each project implementation stage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for delay minimization strategies were derived and presented based on stakeholder perception analysis. Third, this study utilized 71 cases of Donation-for-Compensation Relocation Projects administered by the Defense Facilities Headquarters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hich oversees official consultations. These cases were used as primary data for identifying and analyzing delay factors. Fourth, to evaluate stakeholder perceptions of delay minimization strategies, surveys were distributed to 100 stakeholders, including representatives from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Defense Facilities Headquarters, and local governments. Responses from 85 participants were analyzed to assess their perspectives on delay minimization strategies. This case study is distinct from previous research due to the unique constraints posed by limited access to military source data.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fficiency improvements by minimizing delays in Donation-for-Compensation Relocation Projects. 군사시설 이전사업의 지연은 사업비 증액 소요를 발생시키고, 계획된 일정에 군사시설 이전사업을 추진하지 못함에 따른 이해 관계기관의 이견(異見)으로 연계되며, 군의 운용성 및 작전 수행여건 조성 등에 영향으로 효율성 저하로 연계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첫째, 군사시설 이전사업의 법률적 방식 측면에서 이전을 요청한 지방자치단체 등의 협의대상자 비용으로 군사시설을 건설하고, 이전 이후의 협의대상자가 양여 받은 기존부지의 개발을 통해 투입비를 환수하는 군사시설 「기부 대 양여 이전사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기부 대 양여 이전사업」에서의 지연 최소화를 통한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국방부 훈령 등을 참고하여 전체 사업관리 프로세스를 5단계로 그룹화하고 사업추진단계별 실증적 지연요인을 사례 분석하였다. 또한 사업참여자의 인식을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지연 최소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실증적 지연 사례분석 대상 측면에서 국방부에서 공식적인 협의를 주관하는 국방시설본부에서 추진하는 「기부 대 양여 이전사업」 71건을 원천자료 표본으로 지연요인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넷째, 지연 최소화 방안에 대한 사업참여자 인식분석 대상 측면에서 국방부, 국방시설본부, 지방자치단체 등의 관계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중 응답한 85명을 표본 대상으로 지연 최소화 방안 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본 사례연구는 군의 원천자료 접근의 제한에 따른 특수성 등을 고려해 볼 때 선행연구와는 차별성이 있으며, 군사시설 「기부 대 양여 이전사업」에서의 지연 최소화를 통한 효율화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다만, 군사시설 이전사업의 프로세스를 개선하거나, 특정한 사업단계에 심층적 연구 또는 제도적 개선 연구 등의 측면에서는 한계성이 있으며, 이전사업 증가 추세에 따른 다양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516136003295 |
ISSN: | 2005-6095 2465-9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