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및 코발트-크롬 합금 보철물의 연마가 구강 스캔 정확도와 시간에 미치는 영향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polishing on the accuracy and time of intraoral scans for gold and Co-Cr alloy restorations. Materials and Methods: A study model was created by embedding the root of a resin tooth (mandibular first molar) in a gypsum block. After tooth...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ol. 41; no. 1; pp. 20 - 27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턱관절교합학회
01.02.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4353 2384-4272 |
Cover
Summary: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polishing on the accuracy and time of intraoral scans for gold and Co-Cr alloy restorations. Materials and Methods: A study model was created by embedding the root of a resin tooth (mandibular first molar) in a gypsum block. After tooth preparation for a complete crown, optical scans were performed using an intraoral scanner. Crown wax patterns were fabricated using CAD-CAM process, and G and Co-Cr alloy crowns were fabricated using the lost-wax technique. Each restoration underwent polishing stages of airborne particle abrasion, stone bur, medium polishing bur, high polishing bur, and rouge (n of each group = 5). Scans were performed at each stage, and scan times of the crown area were collected. As result analyses, 3D surface error evaluation and scan time assessment wer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linear mixed model and Mann-Whitney U test, with a significance level set at 0.05. Results: The scan error values (RMSE) of the crown increased with the progression of polishing for both gold and Co-Cr crowns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rror values between the two alloys up to the high polishing bur stage, but the error for the Co-Cr crown group increased markedly at the rouge stage (P < 0.001). Scan times increased linearly with each polishing stag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terials at the stone bur and rouge surface treatment levels (P = 0.008). Conclusion: When scanning highly polished metal restorations with an intraoral scanner, the inaccuracy and scan time may increase, necessitating cautio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금 합금 및 코발트-크롬 합금 보철물의 연마가 구강 스캔의 정확도와 소요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하악 제1대구치 레진치를 석고 블록에 매입하여 연구 모형을 제작하였다. 전장관을 위한 치아 삭제 후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광학 스캔을 수행하였다. 단일수복 전장관을 설계하고 왁스패턴을 제작 후 통상적인 매몰 및 주조 과정을 거쳐 금 합금 및 코발트-크롬 합금 단일관 각각 5개, 즉 총 10개의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각 보철물은 airborne particle abrasion, stone bur, medium polishing bur, high polishing bur, rouge의 연마 및 광택 처리를 시행하였고, 각 단계마다 스캔을 수행하고 스캔 소요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평가로서 스캔의 3차원 표면오차와 스캔 소요 시간을 분석하고 군간 비교하였다. 통계에는 Linear mixed model과 Mann-Whitney U 검정이 이용되었고,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단일수복 전장관의 스캔 오차값은 금합금 및 코발트-크롬 단관 모두에서 연마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High polishing bur까지 사용한 단계에서는 두 합금 간의 오차값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rouge까지 사용한 단계에서는 코발트-크롬 단일관 군의 오차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 < 0.001). 스캔 소요시간은 각 연마 단계에서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Stone bur단계와 rouge를 사용한 단계에서 재료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8). 결론: 표면 연마 수준이 높은 고광택의 금속 보철물을 구강 스캐너로 스캔할 때 형태의 부정확성과 스캔 소요 시간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510561209169 |
ISSN: | 2384-4353 2384-42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