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시대 시간관의 사회적 의미와 관광 분야에서의 지방구술사 연구로의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이후 시대의 사회구성원들의 변화된 시간관과 그에 따른 태도 및 행위 변화를 이론적으로 해석하고 시간 자원의 소비를 통해 실천되는 관광의 의미를 지방구술사 연구의 기능과 역할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지방구술사에 기반한 지역관광자원 개발의 가능성을 탐색적으로 고찰하고자 시간의 사회적 구성 과정과 사회적 의미에 대해 문헌자료를 활용하여 관련 내용을 정리하여 이론적으로 분석했다. 본격적인 지방구술사 기반 관광학 연구에 앞서 탐색적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된 본 연구에서는 시간 관련 연구의 역사적 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융합관광콘텐츠연구 Vol. 9; no. 2; pp. 5 - 18
Main Authors 김옥희, 민웅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융합관광콘텐츠학회 31.08.2023
The Convergence Tourism Contents Societ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08-5646
2508-5654
DOI10.22556/jctc.2023.9.2.5

Cover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코로나 이후 시대의 사회적 시간관과 역사성에 기반을 둔 관광의 의미 3. 시간 자원을 활용한 지역 관광의 브랜드화 4. 코로나 이후 시대의 시간 자원을 활용한 지역 재구성과 지방구술사의 기능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