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을 통한 정치·사회적 책무의 재현과 아카이브 효과에 관한 연구 쌍용자동차 사건 진상규명 및 조사 기록을 중심으로
An archive is a "representation of actions and activities" that bears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its purpose and intention. Also, various archival practices reinforce the political nature of the archive including the subject's purpose and intention. Such effects are not confined t...
Saved in:
Published in | 기록학연구 Vol. 82; no. 82; pp. 173 - 22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록학회
01.10.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7941 2671-7891 |
DOI | 10.20923/kjas.2024.82.173 |
Cover
Summary: | An archive is a "representation of actions and activities" that bears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its purpose and intention. Also, various archival practices reinforce the political nature of the archive including the subject's purpose and intention. Such effects are not confined to a single event and its records but extend to broader society through interactions. This process is demonstrated more significantly in social conflicts in which stakeholders archive their actions and decision-making process as they compete with other parties. This study examines such archive politics through a case study of the "Ssangyong Motors Strike" in 2009. In "Ssangyong Motors Strike", multiple stakeholders vigorously produced records that reflected each subject's perspective, purpose, and intention throughout the lifespan of the event-prior to, during, and after the primary incident. This article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wo archive cases from ex-post investigation and fact-finding processes. One was produced by the Special Investigation TF of Seoul Bar Association and the other b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s Fact-finding Committee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e two cases illustrate the concept of archive effect and the representation of political and social accountability through archiving. This study argues that archives and archival practices induced by the Ssangyong Motors Incident had extended archive effects leading to communal restoration, healing, and social progress beyond the resolution of the immediate conflict and problems. 기록은 주체의 '행위와 활동의 재현물'로 그 주체의 목적과 의도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낳는 특성이 있다. 또한 기록을 통한 다양한 실천은 주체의 목적과 의도를 포함한 정치성을 강화한다. 기록의 정치성은 단일 사건과 그로부터 생산된 기록 자체에 머물지 않고 상호영향을 미치며 확장한다. 이는 사회적 갈등 사건의 당사자들이 행위와 결정 과정을 기록하고, 상대와 경합하는 과정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2009년 발생한 '쌍용자동차 공장 점거 파업 사건'을 통해 이 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쌍용차 사건'에서는 사건 이전, 갈등의 정점(頂點), 사후에 이르기까지 주체의 관점과 목적, 의도를 내포한 기록이 활발히 생산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건 이후에도 지속된 갈등의 원인을 규명하고 조사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서울지방변호사회 특별조사단'과 '경찰청 인권침해사건 진상조사위원회'의 기록을 사례로, 기록을 통한 정치·사회적 책무의 재현과 아카이브 효과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이들의 기록과 기록 실천이 갈등과 문제 해결이라는 목표에서 나아가 당사자와 공동체의 회복과 치유, 사회적 진보로 이어지는 확장적 성격이 있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432343213845 https://doi.org/10.20923/kjas.2024.82.173 |
ISSN: | 1229-7941 2671-7891 |
DOI: | 10.20923/kjas.2024.82.1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