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들섬 연상 키워드 분석을 통한 아이덴티티 통합 디자인 전략 - AI 생성형 이미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장소 브랜딩 연구의 일환으로 복합문화공간 노들섬 경험을 파악하여 고유한 정체성을 정의하고 AI 생성형 이미지를 활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온라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들섬 연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또한, 방문객 인식 조사를 진행하여 연상 경험 키워드와 연상 이미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AI 생성형 이미지를 활용하여 캐릭터 디자인과 브랜드 비주얼 아이덴티티를 구체화한 후 굿즈를 중심으로 활용 전략을 도출하였다. 최종 결과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예술· 디자인학연구 Vol. 27; no. 1; pp. 83 - 93
Main Authors 김채연(Chae Yeon Kim), 김도연(Do Yeon Kim), 송나현(Na Hyeon Song), 제유진(Yu Jin Je), 김유빈(You Bi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31.08.2024
Art·Design Research Institute of Kyung-Hee University
예술디자인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5-7905
2982-7760
DOI10.59386/jadr.2024.27.1.83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장소 브랜딩 연구의 일환으로 복합문화공간 노들섬 경험을 파악하여 고유한 정체성을 정의하고 AI 생성형 이미지를 활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온라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들섬 연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또한, 방문객 인식 조사를 진행하여 연상 경험 키워드와 연상 이미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AI 생성형 이미지를 활용하여 캐릭터 디자인과 브랜드 비주얼 아이덴티티를 구체화한 후 굿즈를 중심으로 활용 전략을 도출하였다. 최종 결과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의 인식을 기반으로 노들섬의 고유한 정체성을 정의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프로토타입과 실효적 결과물을 마련했다. 둘째, 방문객의 인식과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통합적 접근으로 장소 브랜딩에 대한 개념적 전환을 제공했다. 셋째, 뚜렷한 커뮤니케이션 체계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유휴공간이나 공공장소에 적용 가능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 체계를 마련했다. 넷째, 디자인 과정에서 AI 생성형 이미지를 활용함으로써 AI를 창조적 영역의 협업자이자 사고 확장 수단으로써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 있다. 본 연구는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있어 관점의 확장을 제시하며 더욱 실질적이고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디자인적 시도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As part of place branding research,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xperience of Nodlesum, a complex cultural space, to define its unique identity and propose a brand identity design direction using AI-generated images. First, we analyzed online data to derive keywords related to Nodlesum. In addition, we conducted a visitor perception survey to derive associated experience keywords and associated image keywords. Based on the keywords, we used AI-generated images to refine the brand visual identity and character design, and then derived a utilization strategy centered on merchandise. The significance of the final result is as follows. First, we defined the unique identity of Noddle Island based on user perceptions and prepared a prototype of the brand identity and practical results. Second, it provided a conceptual shift in place branding with an integrated approach to visitor perception and place brand identity design. Third, we prepared a brand identity strategy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idle spaces or public spaces that hav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 clear communication system. Fourth, by utilizing AI-generated images in the design process, we confirmed the potential of AI as a collaborator in the creative realm and a means of expanding think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design attempt to expand the perspective of place brand identity design and explore more practical and diverse ways of utilizing AI.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본 연구는 장소 브랜딩 연구의 일환으로 복합문화공간 노들섬 경험을 파악하여 고유한 정체성을 정의하고 AI 생성형 이미지를 활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온라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들섬 연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또한, 방문객 인식 조사를 진행하여 연상 경험 키워드와 연상 이미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AI 생성형 이미지를 활용하여 캐릭터 디자인과 브랜드 비주얼 아이덴티티를 구체화한 후 굿즈를 중심으로 활용 전략을 도출하였다. 최종 결과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의 인식을 기반으로 노들섬의 고유한 정체성을 정의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프로토타입과 실효적 결과물을 마련했다. 둘째, 방문객의 인식과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통합적 접근으로 장소 브랜딩에 대한 개념적 전환을 제공했다. 셋째, 뚜렷한 커뮤니케이션 체계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유휴공간이나 공공장소에 적용 가능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 체계를 마련했다. 넷째, 디자인 과정에서 AI 생성형 이미지를 활용함으로써 AI를 창조적 영역의 협업자이자 사고 확장 수단으로써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 있다. 본 연구는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있어 관점의 확장을 제시하며 더욱 실질적이고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디자인적 시도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As part of place branding research,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xperience of Nodlesum, a complex cultural space, to define its unique identity and propose a brand identity design direction using AI-generated images. First, we analyzed online data to derive keywords related to Nodlesum. In addition, we conducted a visitor perception survey to derive associated experience keywords and associated image keywords. Based on the keywords, we used AI-generated images to refine the brand visual identity and character design, and then derived a utilization strategy centered on merchandise. The significance of the final result is as follows. First, we defined the unique identity of Noddle Island based on user perceptions and prepared a prototype of the brand identity and practical results. Second, it provided a conceptual shift in place branding with an integrated approach to visitor perception and place brand identity design. Third, we prepared a brand identity strategy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idle spaces or public spaces that hav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 clear communication system. Fourth, by utilizing AI-generated images in the design process, we confirmed the potential of AI as a collaborator in the creative realm and a means of expanding think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design attempt to expand the perspective of place brand identity design and explore more practical and diverse ways of utilizing AI.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송나현(Na Hyeon Song)
김채연(Chae Yeon Kim)
김도연(Do Yeon Kim)
제유진(Yu Jin Je)
김유빈(You Bin Kim)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채연(Chae Yeon Kim)
– sequence: 2
  fullname: 김도연(Do Yeon Kim)
– sequence: 3
  fullname: 송나현(Na Hyeon Song)
– sequence: 4
  fullname: 제유진(Yu Jin Je)
– sequence: 5
  fullname: 김유빈(You Bin K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294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T81LG1EcfBSFxo9_oKd38SLs-j7yvo5Bag0EhJL7si_ZLXElC4kXwUOrWy-poJig0KwopBRB0EJScsh_9H77PxiNMDDDMDMwK2ipnbYjhD5R4gvDtdzaD5sdnxFW9pnyqa_5B1RiRjNPKUmW5roshacMER_RerfbskRQojWVvISO3c-puxpB9ojh-hlOf-DiZAS_f7mrIXb_M8hyyDNcnE2KwRDDIIN87M7HRe95joX9gF2_D7cXkE8x3GXudoI9XKliOM0h-1fcDPBr52kKf7-7PzMMo0voPcJw5u6Ha2g5Dg-60fo7r6L6zuf69q5X2_tS3a7UvEQK6lGrQ0uaStAm5yQWNpaRNcIyY5WlkZWaCtGIqGFs_kk3uSzLMJbUEC1tgzO-ijYXs-1OHCSNVpCGrTf-lgZJJ6h8rVcDSoRRVNB5eGMRTo5SmwY2TZNG1D6MOkGZUEKkUYoLrvgLAO-Tk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OI 10.59386/jadr.2024.27.1.83
DatabaseName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Nodeul Island Identity Integratied Design Strategy through Associative Keyword Analysis : Focusing on AI-Generated Images
Nodeul Island Identity Integratied Design Strategy through Associative Keyword Analysis ╶ Focusing on AI-Generated Images
EISSN 2982-7760
EndPage 9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97151
4010069773537
GroupedDBID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k651-1b8ab0d751d330f5bf6eb95b29b7b1eb68155ce19228168d3646af619086bc323
ISSN 2465-7905
IngestDate Sat Aug 02 03:11:17 EDT 2025
Tue Feb 18 15:18:33 ES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노들섬
Place Branding
Generative AI
Nodeul Island
생성형 AI
AI 디자인
AI Design
장소 브랜딩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51-1b8ab0d751d330f5bf6eb95b29b7b1eb68155ce19228168d3646af619086bc323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2946
PageCount 1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97151
kyobo_bookcenter_4010069773537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8-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8-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24
  text: 2024-08-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예술· 디자인학연구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Art·Design Research Institute of Kyung-Hee University
예술디자인연구원
Publisher_xml – nam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name: Art·Design Research Institute of Kyung-Hee University
– name: 예술디자인연구원
SSID ssib051088163
ssib053499851
Score 1.8804892
Snippet 본 연구는 장소 브랜딩 연구의 일환으로 복합문화공간 노들섬 경험을 파악하여 고유한 정체성을 정의하고 AI 생성형 이미지를 활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온라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들섬 연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또한, 방문객 인식 조사를...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83
SubjectTerms 예술일반
TableOfContents 1. 서론 2. 사례 연구 3. 연구 결과 4. 연구 결과에 따른 노들섬 아이덴티티 기획 5.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참고문헌
Title 노들섬 연상 키워드 분석을 통한 아이덴티티 통합 디자인 전략 - AI 생성형 이미지를 중심으로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6977353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2946
Volume 2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예술· 디자인학연구, 2024, 27(1), , pp.83-93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xNBdCn14kUUFetHWdA9hcT9mNmdOe5uU1pBTxV6C9nNrmiggdAe9FDURi9VUNqgYFIUKiIUrNCWHvprvO7kP_jezKbdtqFUISwvb957-z52M_MmM2807V4ap5zRmJXTlJtlAt_KdWZHZZImWFw8hl9LWe3zkTvzmDyYp_Nj415h1dLSYlSJX4zcV_I_UQUcxBV3yf5DZA-FAgJgiC9cIcJwPVeMjWpgMGoEDAHuGD4xqqHBiOGHJYS4ZwSmRDkwYgTUlMHsnIoDa5jzcSQPjMBFXiWBT0kiYCCKzzUCigCnijxESJEDVUCkLgoA6kDeOAdOCfC5vB8n-EEBVYObQ0lMCvdNKTzAtoCWcE0GMAZuyZ8t5RYpFYEqsKRcBhSlY_r409I3IM3DFR2IARlKe_ACt6QAwIaSLYQ2SWQBXBy1y1ZmMCkLrqBcaBuBd5YVQ1_xQiB8dAHcDB5r28MKWYV5GNnKpZohWpS7FhlHkICvp0eThOhpsABJbNRauYaRIgkYwIc2--bQQ6Q4BWST4Zx2_tKOcMJZ1p8yWj1z6tRW1fXYxMVCpqZab5AoHJe5mDr9Ie_u1BlE-cBJnXR5skum3JF_ET6rN7D8rk0qtlexKkPOYv3zE-OSYxXQm_HT2pNWrdmuQZ43W8OswLOwdMIF2_Pk-oyHy9VhRwL9DGPWUV056kBez-RRrIeWqQ10Urv7p3SDTLX5vBW1YMC50E4LA865y9qlPFPUffXaX9HGmq2r2nL2Zj9b2xSdLV182hYrr_TB603x5V221tOzvY7o9EW_ow_e7g66PV10O6K_k73fGaxuw0ehf-rZ-rrY-CD6-7r42sk2dvU_3T3dn9XFSl90fg8-d3Xk-rUvfrzMvh_oYvOjWN0SvYPsW--aNjddnQtnyvkRKuWmS62yFbF6ZDY8ajUcx0xplLpJxGlk88iLrCRyGaQTcQJZno3n7zQcl7j11IUkgblR7NjOdW18obWQ3NB0k8SEJfV6gikLic3IqZOE2tyiaYL7dCe0SemyGk4O4MLypF0jpoWV0D3PoY43od0FX8pAnhHQm-eiuqVdPHoPbmvji-2l5A4kB4vRpHwQ_gJGbN3z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5%B8%EB%93%A4%EC%84%AC+%EC%97%B0%EC%83%81+%ED%82%A4%EC%9B%8C%EB%93%9C+%EB%B6%84%EC%84%9D%EC%9D%84+%ED%86%B5%ED%95%9C+%EC%95%84%EC%9D%B4%EB%8D%B4%ED%8B%B0%ED%8B%B0+%ED%86%B5%ED%95%A9+%EB%94%94%EC%9E%90%EC%9D%B8+%EC%A0%84%EB%9E%B5+%E2%95%B6+AI+%EC%83%9D%EC%84%B1%ED%98%95+%EC%9D%B4%EB%AF%B8%EC%A7%80%EB%A5%BC+%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C%98%88%EC%88%A0%C2%B7+%EB%94%94%EC%9E%90%EC%9D%B8%ED%95%99%EC%97%B0%EA%B5%AC%2C+27%281%29&rft.au=%EA%B9%80%EC%B1%84%EC%97%B0&rft.au=%EA%B9%80%EB%8F%84%EC%97%B0&rft.au=%EC%86%A1%EB%82%98%ED%98%84&rft.au=%EC%A0%9C%EC%9C%A0%EC%A7%84&rft.date=2024-08-31&rft.pub=%EC%98%88%EC%88%A0%EB%94%94%EC%9E%90%EC%9D%B8%EC%97%B0%EA%B5%AC%EC%9B%90&rft.issn=2465-7905&rft.eissn=2982-7760&rft.spage=83&rft.epage=93&rft_id=info:doi/10.59386%2Fjadr.2024.27.1.8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59715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465-790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465-790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465-790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