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C 플랜트 프로젝트의 초기 공정계획을 위한 통합 데이터 활용 방안

EPC plant projects are large and complex, requiring systematic working methodologies, accumulated data, and thorough planning through communications between the entities. In this study,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process planning information using asset data of the plant project and using it to p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2) Vol. 20; no. 2; pp. 95 - 104
Main Authors 왕한겸, 최재현, Wang, Hankyeom, Choi, Jaehy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01.03.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DOI10.6106/KJCEM.2019.20.2.09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EPC plant projects are large and complex, requiring systematic working methodologies, accumulated data, and thorough planning through communications between the entities. In this study,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process planning information using asset data of the plant project and using it to present the initial process plan is presented through the concept of IAP(Interactive Planning). In order to carry out the effective IAP at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this study extracted the schedule element information from the asset data, created the process plan for each work package, and applied it to the sample project case. Through the proposed IAP methodology,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asset data, to identify schedule risks, and to develop countermeasures, which can form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 process management strategy to successfully complete the project. EPC 플랜트 프로젝트는 규모와 복잡성 측면에서 시공 이전 단계의 계획 업무가 프로젝트 성패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주체간의 긴밀한 협력과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기반으로 플랜트 프로젝트에서 자산데이터를 활용하여 공정계획의 요소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패키지로 구성하여 초기 공정계획을 수행하는 방법론을 상호계획 (IAP, Interactive Planning)의 개념을 통해 제시한다.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효과적인 IAP를 수행하기 위하여 자산 데이터로부터 공정요소정보를 추출하고 작업 패키지 단위의 공정 계획을 작성하며 작성된 공정계획을 평가하는 세 가지 단계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샘플 프로젝트 사례에 적용하였다. 제시된 IAP 방법론을 통해 자산 데이터 활용성 증진과 공정 리스크 사전식별 및 대응책 개발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기 위한 공정 전략 수립의 기반이 될 수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913457808362
ISSN:2005-6095
2465-9703
DOI:10.6106/KJCEM.2019.20.2.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