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정보수집 방식에 대한 사례연구

‘교육과정 수시 개정 체제 운영 활성화 방안’의 도입에 따라 이전보다 각 교과 교육내용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지속적인 점검이 중요해졌다. 이는 해당 정책이 ‘현장에서 교사들이 교육내용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을 통하여 제기하는 요구사항을 수시로 반영하는 것’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내용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은 교육과정 실천자인 현장 교사들에 의하여 동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현장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에 따라 현장 수학교사들의 교육과정 정보수집 방식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uhak gyoyukak yeon-gu (Online) Vol. 29; no. 3; pp. 363 - 387
Main Author 이동근(Dong Gu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1.08.2019
대한수학교육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7733
2288-8357
DOI10.29275/jerm.2019.8.29.3.363

Cover

Abstract ‘교육과정 수시 개정 체제 운영 활성화 방안’의 도입에 따라 이전보다 각 교과 교육내용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지속적인 점검이 중요해졌다. 이는 해당 정책이 ‘현장에서 교사들이 교육내용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을 통하여 제기하는 요구사항을 수시로 반영하는 것’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내용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은 교육과정 실천자인 현장 교사들에 의하여 동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현장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에 따라 현장 수학교사들의 교육과정 정보수집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요구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 각 1명씩을 대상으로 예비 면담을 진행한 다음 이에 근거하여 반 구조화된 면담 계획을 수립하였다. 수립된 면담 계획에 따라 초등학교 담임교사 2인과 중학교 수학교사 3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으며, 면담 횟수는 집단별로 1회의 기본 면담과 필요시 추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이 ‘교육과정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시기’와 ‘주로 참고하는 정보의 종류’ 등에 대한 자료를 수합할 수 있었고, 평가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교사들이 교육과정 정보에 대한 요구’가 다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추후 교사의 수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과정 자료 개발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tudy on the Activation of the Modification System of Curriculum” on-site teachers’ continuous inspection of the contents of each subject’s education has become significantly important than before. This is because the policy presumes that teachers frequently reflect on the requirements raised through ongoing checks of training content in the field.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on-site teacher’s requirements for the curriculum, since ongoing checks on educational content can be powered by on-site teachers who are curriculum practitioners. In this study, we look at the methods of collecting data on the curriculum of on-site mathematics teachers according to these needs. This will in turn reveal the teachers’ needs in this process.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conducted preliminary interviews with one teacher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then developed a meeting plan based on this. Under the established interview plan, the FGI was conducted for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ree middle school math teachers. The number of interviews was one basic interview per group and one additional interview, if necessary. Through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collect information when math teachers needed materials related to the curriculum and the type of data they always refer to.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t requirements in teachers’ curriculum data depending on their sensitivity to the assessment. This is a basic study that provides a basis fo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related to the curriculum that can help teachers’ in classes, as suggested by future researchers.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교육과정 수시 개정 체제 운영 활성화 방안’의 도입에 따라 이전보다 각 교과 교육내용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지속적인 점검이 중요해졌다. 이는 해당 정책이 ‘현장에서 교사들이 교육내용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을 통하여 제기하는 요구사항을 수시로 반영하는 것’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내용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은 교육과정 실천자인 현장 교사들에 의하여 동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현장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에 따라 현장 수학교사들의 교육과정 정보수집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요구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 각 1명씩을 대상으로 예비 면담을 진행한 다음 이에 근거하여 반 구조화된 면담 계획을 수립하였다. 수립된 면담 계획에 따라 초등학교 담임교사 2인과 중학교 수학교사 3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으며, 면담 횟수는 집단별로 1회의 기본 면담과 필요시 추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이 ‘교육과정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시기’와 ‘주로 참고하는 정보의 종류’ 등에 대한 자료를 수합할 수 있었고, 평가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교사들이 교육과정 정보에 대한 요구’가 다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추후 교사의 수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과정 자료 개발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tudy on the Activation of the Modification System of Curriculum” on-site teachers’ continuous inspection of the contents of each subject’s education has become significantly important than before. This is because the policy presumes that teachers frequently reflect on the requirements raised through ongoing checks of training content in the field.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on-site teacher’s requirements for the curriculum, since ongoing checks on educational content can be powered by on-site teachers who are curriculum practitioners. In this study, we look at the methods of collecting data on the curriculum of on-site mathematics teachers according to these needs. This will in turn reveal the teachers’ needs in this process.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conducted preliminary interviews with one teacher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then developed a meeting plan based on this. Under the established interview plan, the FGI was conducted for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ree middle school math teachers. The number of interviews was one basic interview per group and one additional interview, if necessary. Through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collect information when math teachers needed materials related to the curriculum and the type of data they always refer to.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t requirements in teachers’ curriculum data depending on their sensitivity to the assessment. This is a basic study that provides a basis fo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related to the curriculum that can help teachers’ in classes, as suggested by future researchers. KCI Citation Count: 1
Author 이동근(Dong Gun Lee)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동근(Dong Gun L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0189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TMtKAlEAvYRBZn5CMJsWLWa6r5l771KkhyAE4a7FMI87YVMzMLZpJ62EWigxqKCQEETgwlB3fZFz_YcmdXE4D845h6AQxZEE4BhBAwvMzLN7mTwaGCJh8DwxiEEssgeKGHOuc2Kywk4zRsgBKLdaTRcSCzPOECmCW7XoZO8_63S4WnbVsK2pz97WaP_By1SNBxs1mqzmv-oj1XJk84XqDNRXT8tm3-p1rPpdLXtrr9ORli-ySVv1Z6vl9AjsB85DS5Z3XAKNi_NG9UqvX1_WqpW6HlqU60JKGggPMRP71Ax87EOHIcvziBAu5R52JESOKQKH-UJaARWUCA6ZyX1JuJCkBE63t1ES2KHXtGOnueG72A4Tu3LTqNkWxARSnndPtt3wOXZj243j0JPRk0xsChGERGCTIo7IH7Nigg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OI 10.29275/jerm.2019.8.29.3.363
DatabaseName Scholar (EK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Mathematics
DocumentTitleAlternate A Case Study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Method of Information Collection in the Curriculum
EISSN 2288-8357
EndPage 387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6023048
4010039254181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P5Y
SSSTE
ACYCR
GROUPED_DOAJ
ID FETCH-LOGICAL-k648-9ee4f9c1752d45fd2d0a716cc399b48c2ae01a59fa7d9e6f4943980758de389e3
ISSN 2288-7733
IngestDate Tue Nov 21 21:41:26 EST 2023
Thu Apr 24 02:16:44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3
Keywords 교과서
Math Teacher
Evaluation
교육과정
Curriculum Information Collection
교육과정 정보수집
Textbook
Curriculum
수학교사
평가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48-9ee4f9c1752d45fd2d0a716cc399b48c2ae01a59fa7d9e6f4943980758de389e3
PageCount 25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6023048
kyobo_bookcenter_401003925418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9-08-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9-08-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19
  text: 2019-08-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Suhak gyoyukak yeon-gu (Online)
PublicationYear 2019
Publisher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대한수학교육학회
Publisher_xml – name: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name: 대한수학교육학회
SSID ssib036278713
ssib044762085
ssib053377007
ssib025966574
ssj0002911921
ssib022331732
Score 2.076132
Snippet ‘교육과정 수시 개정 체제 운영 활성화 방안’의 도입에 따라 이전보다 각 교과 교육내용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지속적인 점검이 중요해졌다. 이는 해당 정책이 ‘현장에서 교사들이 교육내용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을 통하여 제기하는 요구사항을 수시로 반영하는 것’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363
SubjectTerms 교육학
Title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정보수집 방식에 대한 사례연구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3925418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01896
Volume 2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수학교육학연구, 2019, 29(3), , pp.363-387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NBFB_aetGD-In1oyzinELifsxmZm7uxpQqxFOFgoew2Z1N7UIWYnuIBwmeCnpokdAWWrAgiNBDpe3NvyjZ_g--md0k2xihekh4O_P2zdt5s_N-L8x7QehJSMq-bVNaNAIGAYplWEUvsGkxpJ4f6sQ3DF8GirVX5aXX5OWKvTIz-yyfXbLeKPnvp-aV_I9VoQ3sKrNk_8GyI6HQADTYF77BwvB9KRvjagW7AAYZrrqYW9g1cPU55jbmHFcd7AKhSx64ZHpBUg7BfApT4QI7M7FTUfcBH7vYx0GGoVpgOMXk6CCsMKKkKrKPKEkMBKguCuMWVJ-OHa76XClfiqSpBi5mFXnwItOuUsjp4spRmZ6xg4xUp6xw5Nowq2XViwrNTtzZiIDoiLhVbG5MFlRV6yt7OqklDLs4nAsQXcn_DiJTr9jQgciV-6eWucecOvXpfI26gHBAwnj_NU1YbpSmdTpKYtwGoJXm9nwr26FT-GCl-GHSM5ncpLKKxxr4W3mgENYytJWs0ujufCXwCQ99oRZ45L-tN-N61K5DxPOiXpZBJGGz6IpJqTqoUPtQHe6ogP0AH44zhwGtwAY9BnCEgC_Us-pFEruY4Pu4SlYcPX2a9qb0fzpNe4jqok7ciAGctdphDpwt30DXs6hKc9JX5CaaieJb6FptVJL43W30JjndHHz5ed7b659tJXtdLfm2nV5osuHjUXKwq6j9w_7Jr-RrT4PP4OQ02dxNvm9rg-MfyaeDZGdLG3zunvf2NbhjcNhNdo77Z0d30PJidbmyVMz-WaQYlQk4eCFIyH1AzmZA7DAwA92DufN9QOsNwnzTE7rh2Tz0aMBFOSQcYLus2s0CAQBfWHfRXCtuiXtICwwiGOGhTawGkXBfEMEB4wtdmJbtWfNoQc1OXcbM8ry1aNeJbsiUeNMmAK_n0WOYNmXVv1v3_mWYHqCr4_fiIZpbb2-IR4CY1xsLalH8Bgzko6s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4%88%EB%93%B1%ED%95%99%EA%B5%90%EC%99%80+%EC%A4%91%ED%95%99%EA%B5%90+%EA%B5%90%EC%82%AC%EC%9D%98+%EA%B5%90%EC%9C%A1%EA%B3%BC%EC%A0%95+%EC%A0%95%EB%B3%B4%EC%88%98%EC%A7%91+%EB%B0%A9%EC%8B%9D%EC%97%90+%EB%8C%80%ED%95%9C+%EC%82%AC%EB%A1%80%EC%97%B0%EA%B5%AC&rft.jtitle=Suhak+gyoyukak+yeon-gu+%28Online%29&rft.au=%EC%9D%B4%EB%8F%99%EA%B7%BC&rft.date=2019-08-31&rft.pub=%EB%8C%80%ED%95%9C%EC%88%98%ED%95%99%EA%B5%90%EC%9C%A1%ED%95%99%ED%9A%8C&rft.issn=2288-7733&rft.eissn=2288-8357&rft.spage=363&rft.epage=387&rft_id=info:doi/10.29275%2Fjerm.2019.8.29.3.36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602304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8-7733&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8-7733&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8-7733&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