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실천 기반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이 중학생들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한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반 42명, 실험반 50명을 선정하였다. 한 학기 동안 27차시에 걸쳐 27개의 주제로 비교반에는 일반적인 교과서 기반 과학 수업을 처치하였고, 실험반에는 8가지 과학 실천을 기반으로 학생들이 과학 지식을 스스로 구성할 수 있는 수업을 처치하였다. 검사지는 교육부(2015)에서 제시한 과학과 핵심역량 정의를 근거로 Lee et al.(2...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과교육학연구 Vol. 24; no. 1; pp. 11 - 22
Main Author 최정아(Choi Jeongah), 우애자(Woo AeJ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8.02.2020
교과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20.24.1.11

Cov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이 중학생들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한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반 42명, 실험반 50명을 선정하였다. 한 학기 동안 27차시에 걸쳐 27개의 주제로 비교반에는 일반적인 교과서 기반 과학 수업을 처치하였고, 실험반에는 8가지 과학 실천을 기반으로 학생들이 과학 지식을 스스로 구성할 수 있는 수업을 처치하였다. 검사지는 교육부(2015)에서 제시한 과학과 핵심역량 정의를 근거로 Lee et al.(2015)와 Shim(2017)의 검사지에서 본 연구 목적에 맞는 문항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비교반과 실험반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사전, 사후에 동일한 과학과 핵심역량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반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사후에 개인 면담을 진행하였다. 검사지와 면담 분석 결과,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을 경험한 실험반 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이 비교반 학생 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하위 영역인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에서도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 < .05). 과학 실천 기반 수업에서 학생은 스스로 과학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능동적 학습자가 되었고, 그 결과 과학 지식 뿐만 아니라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도 도움을 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 practice-based class o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o this purpose, among the 1st grade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Seoul, 42 students in a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textbook-based science class while 50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cience practice-based class during 27 class sessions. Based on science core competency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questionnaire was selected from Lee et al. (2015) and Shim(2017)’s questionnaire and modifi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 survey on the science core competency for all students and the individual interview with 20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students of the science practice-based cla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cience core competency (p < .05). They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sub-factors of science core competency, scientific thinking, scientific inquiry, scientific problem solving, scientific communication, and scientific engagement and lifelong learning (p < .05). In science practice-based class, students were able to become active learners who organize their own science knowledge, and this means the class can contribute to building not only scientific knowledge, but also science core competency.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이 중학생들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한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반 42명, 실험반 50명을 선정하였다. 한 학기 동안 27차시에 걸쳐 27개의 주제로 비교반에는 일반적인 교과서 기반 과학 수업을 처치하였고, 실험반에는 8가지 과학 실천을 기반으로 학생들이 과학 지식을 스스로 구성할 수 있는 수업을 처치하였다. 검사지는 교육부(2015)에서 제시한 과학과 핵심역량 정의를 근거로 Lee et al.(2015)와 Shim(2017)의 검사지에서 본 연구 목적에 맞는 문항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비교반과 실험반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사전, 사후에 동일한 과학과 핵심역량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반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사후에 개인 면담을 진행하였다. 검사지와 면담 분석 결과,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을 경험한 실험반 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이 비교반 학생 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하위 영역인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에서도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 < .05). 과학 실천 기반 수업에서 학생은 스스로 과학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능동적 학습자가 되었고, 그 결과 과학 지식 뿐만 아니라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도 도움을 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 practice-based class o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o this purpose, among the 1st grade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Seoul, 42 students in a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textbook-based science class while 50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cience practice-based class during 27 class sessions. Based on science core competency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questionnaire was selected from Lee et al. (2015) and Shim(2017)’s questionnaire and modifi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 survey on the science core competency for all students and the individual interview with 20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students of the science practice-based cla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cience core competency (p < .05). They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sub-factors of science core competency, scientific thinking, scientific inquiry, scientific problem solving, scientific communication, and scientific engagement and lifelong learning (p < .05). In science practice-based class, students were able to become active learners who organize their own science knowledge, and this means the class can contribute to building not only scientific knowledge, but also science core competency.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최정아(Choi Jeongah), 우애자(Woo AeJa)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최정아(Choi Jeongah), 우애자(Woo AeJa)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6322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D1Lw0AAhg9RsNb-AadbHBwS7yt3yViKH4WCIF0lXJKLhEgCqYuzCGoXC9ZGsbh06KBY_IAK_qLm-h-M1uV9eHkf3jWwnKSJAmADI5MwQvF2FvmRSRD57SY2MV4CFcIFNmxK2DKoYEdYBiVYrIJapxN5CBNqEepYFXA0e_-e9--h7o702yOcTSfFJIf6MteDCz38gHrUK2d9PtTDHC7cMuG8_6m7z3rwUjxdlWWs73p6cAOL16n-yovrWzh_GJfeOlgJ5UlH1f5ZBe3dnXZj32gd7DUb9ZYRcyYMXyll-w4LbSY9O1CSBJQTj0hbWExywRANEMWcMW4JC7MgFJJRH3nKl5QhRatga3GbZKEb-5GbyuiPx6kbZ279sN10uYMIZqJ0NxdufJZ6qeulaeyr5FRlLkMWQkRwTpDj0B_F04JL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OI 10.24231/rici.2020.24.1.11
DatabaseName 교보문고 스콜라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Effect of Science Practice-based Class o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y
EISSN 2671-8324
EndPage 2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6902147
4050027662099
GroupedDBID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k647-ceee8c94f84ab8dea2d362b2a8754a67403d031644657514df7a43c0beca340e3
ISSN 1975-3217
IngestDate Tue Nov 21 21:14:26 EST 2023
Wed Jun 18 02:23:56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과학과 핵심역량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Science practice-based class
과학 실천 기반 수업
Science core competency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47-ceee8c94f84ab8dea2d362b2a8754a67403d031644657514df7a43c0beca340e3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6902147
kyobo_bookcenter_405002766209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0-02-28
PublicationDateYYYYMMDD 2020-02-28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20
  text: 2020-02-28
  day: 28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교과교육학연구
PublicationYear 2020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name: 교과교육연구소
SSID ssib012352395
ssib044738152
Score 1.714279
Snippet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이 중학생들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한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반 42명, 실험반 50명을 선정하였다. 한 학기 동안 27차시에 걸쳐 27개의 주제로...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1
SubjectTerms 교육학
TableOfContents I. 서 론 II. 연구 방법 및 내용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Title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2766209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63221
Volume 2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과교육학연구, 2020, 24(1), , pp.11-22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_aevEiior1owRxTiXrbGYykzkm25Qq1FOFXmRJslkpC11Y2oMeRBBB7cWCtatYvPTQg2LxAyr4F3Wn_4PvTbLbtFWowjLMvnlv5jfzkrz3wrwJIbfgwm2pJGVuAsbXFaIN91ySZ65imfTbmc-13Zszf0_O3Rd3F_3FsfGnlV1LqytpLXv8x7yS_9Eq0ECvmCX7D5oddQoEqIN-oQQNQ3kqHdM4pBGnUYPGM1T7VEOEHzdoENFQYCXyqG5MW66ARozGEZY6KLgCqGFFKxr4tjJDI2HbQFzXR51abo7NBZPt4PjII8p0SYr8IZZGOUo4gwj0LA30kCksEEg7nGXSbBq5wlnEjHPQFmZEg5BqUciFVq4cr-peWyKgYRV8Iwp0DzM7Oi0YMGIlD-CE680TeHRV5QWJBeGjLC4MQ1kU9GkgqiwAKmJlS1hUYlp8o3T4VgVC6MMsdbwPTgf3BEpcVkmDRsWgaOW73CvyU2u5pXlS1V14koqK4SgtTuGCFJnax40ber5o3cA-LtUQM1Bq9dpQsnqS-DELf-Qs8U621HzYbXZ6TYiY7jSlxlPz1Dg54yllNzrMP4mHT2RMpPb4Yea2EAo8PPsZq9HEikw0C-72CWgQ8nUeddMueG7LvXbFc1s4T86VIZcTFvfPBTLW6V4kD_a__TrYeOeYtW3z9YOzv7c72O075kXfbD43W98ds70OzebZltnqOwUvlM7Bxg-z9slsfh58fAl_dszbdbP52hl82TM_-4NXb5yD9zvAd4kszMYLjTm3_NSI25FCueAp5kGmRTsQSRq08sRrgWOXeglE8yKRSjDeAusn8XRBBSFGq60SwTMGD8CEC5bzy2RiubucXyFOkCsI4fN6i7FEwC_1OFdC8kSCpeQ8nSRTdkWaGETjBuy814SgCV8PSYl57JPkJiyVVdPf1XX1NEzXyNnDS_s6mVjpreY3wIVeSaesln8DGS2h9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3%BC%ED%95%99+%EC%8B%A4%EC%B2%9C+%EA%B8%B0%EB%B0%98+%EC%88%98%EC%97%85%EC%9D%B4+%EC%A4%91%ED%95%99%EC%83%9D%EC%9D%98+%EA%B3%BC%ED%95%99%EA%B3%BC+%ED%95%B5%EC%8B%AC%EC%97%AD%EB%9F%89+%ED%95%A8%EC%96%91%EC%97%90+%EB%AF%B8%EC%B9%98%EB%8A%94+%ED%9A%A8%EA%B3%BC&rft.jtitle=%EA%B5%90%EA%B3%BC%EA%B5%90%EC%9C%A1%ED%95%99%EC%97%B0%EA%B5%AC%2C+24%281%29&rft.au=%EC%B5%9C%EC%A0%95%EC%95%84&rft.au=%EC%9A%B0%EC%95%A0%EC%9E%90&rft.date=2020-02-28&rft.pub=%EA%B5%90%EA%B3%BC%EA%B5%90%EC%9C%A1%EC%97%B0%EA%B5%AC%EC%86%8C&rft.issn=1975-3217&rft.eissn=2671-8324&rft.spage=11&rft.epage=22&rft_id=info:doi/10.24231%2Frici.2020.24.1.1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6902147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5-3217&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5-3217&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5-3217&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