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典學 교육에서의 背講시험에 대한 연구

Objectives : 原典學의 학습・평가 방법 중 背講시험에 대한 논의를 매개로 한의학 교육, 나아가 교육의 본질이 어떠하여야 하는지 돌이켜보는 계기가 되고자 하였다. Methods : 1. 의학에서의 背講시험이 고려 및 조선에서 어떻게 시행되었는지 살펴보았다. 2. 背講시험을 실제 原典學 교육에 도입하여 시행한 구체적인 방법과 결과를 제시하고, 그로부터 개선점과 개선방향을 논하였다. 3. 背講시험의 意義(原理)에 대해 교육학에 관한 전통적인 측면과 현대의 인지신경과학적인 측면으로 고찰하였다. Results : 1. 고려와 조선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 31; no. 1; pp. 57 - 78
Main Author 柳姃我(Lyu Jeong-a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8.02.2018
Journal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8328
2713-850X
DOI10.14369/jkmc.2018.31.1.057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Objectives : 原典學의 학습・평가 방법 중 背講시험에 대한 논의를 매개로 한의학 교육, 나아가 교육의 본질이 어떠하여야 하는지 돌이켜보는 계기가 되고자 하였다. Methods : 1. 의학에서의 背講시험이 고려 및 조선에서 어떻게 시행되었는지 살펴보았다. 2. 背講시험을 실제 原典學 교육에 도입하여 시행한 구체적인 방법과 결과를 제시하고, 그로부터 개선점과 개선방향을 논하였다. 3. 背講시험의 意義(原理)에 대해 교육학에 관한 전통적인 측면과 현대의 인지신경과학적인 측면으로 고찰하였다. Results : 1. 고려와 조선의 醫官에 대한 科擧에서 모두 背講시험을 시행하였으며, 배강 과목은 타 과목보다 더 중요시되었다. 2. 背講시험은 ‘학습자 중심 교육’ 방법이며 그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려면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잘 설정하여야 한다. 3. 배강시험의 意義(原理)에 대해 인지신경과학 차원에서 살펴보고 “개념의 抽象”, “格物致知”, “反照” 세 가지 원리로 귀납하였다. Conclusions : 背講시험은 문자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부터 인류가 지혜와 지식을 보존하고 전달한 방법이었으며, 간접 체험을 통해 일반화되고 추상화된 개념을 획득하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교육방법으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용하다. 原典學 교육에서는 특히 대중교육 방식을 보완하여 도제식 교육방식의 학습자 개별 ‧ 학습자 중심 장점을 실현할 현실적인 방법이다. Objectives : The paper uses recitation test, one of the study and evaluation methods in the Korean Medical Classics, to provide a basis upon which thoughts can be given to the education of Korean Medicine, and furthermore the essence of education itself. Methods : 1. The paper reviewed how recitation tests were performed in Goryeo and Joseon. 2. The paper introduces the methods of applying recitation test to the education of the Korean Medical Classics and their results. The paper furthermore discussed possible improvements. 3. The paper pondered on the traditional aspects of the significances(principles) of recitation tests and their cognitive neuroscience aspects. Results : 1. The imperial examinations for medical officers during Goryeo and Joseon both performed recitation tests, and the subject of these tests were given more weight than other subjects. 2. Recitation test is a form of education that revolves around the learners. It requires a detailed plan of execution for it to be effective. 3. The significances (principles) of recitation test are reviewed from the aspect of cognitive neuroscience, and the deductions from the traditional aspects are made into "conceptual abstract, come to things & run out knowledge, and flash back." Conclusions : Recitation test was the humanity's way of conserving and conveying knowledge & wisdom from the times before the invention of letters. This method is the oldest education method of acquiring concepts that are generalized and made abstract through indirect experiences. This method is still effective today. In the education of the Korean Medical Classics, this method was used to supplement the public education method and create an education method that revolves around individual learner in a way that utilizes the strengths of education in apprenticeship. KCI Citation Count: 1
ISSN:1229-8328
2713-850X
DOI:10.14369/jkmc.2018.31.1.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