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부동산 버블에 대한 고찰

1980년대 말경 일본에서 발생한 부동산 버블은 부동산가격을 상승시켰으며 그 재원은 국내의 재화뿐이었다. 당시 일본의 대장성이 시행한 총량규제를 통하여 은행들의 부동산대출이 규제를 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땅 값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버블이 붕괴하게 되었다. 일본에 있어서 부동산버블의 발생과 지속, 붕괴의 메카니즘을 많은 학자들이 연구하고 소개 하였으며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부동산버블이란 무엇인지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에 있어서는 동경 및 주요도시의 상업용 부동산과 주거용 부동산에 대하여 실제지가와 이론지가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부동산학회지 no. 46; pp. 251 - 266
Main Author 김행조(Kim, Haeng J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부동산학회 30.12.2017
Korea Real Estate Societ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1054
2713-6981

Cover

Table of Contents:
  • 서 론 Ⅱ. 버블의 이론적 고찰 1. 한국과 일본의 부동산 버블 비교 2. 실제지가와 이론지가 Ⅲ. 버블의 발생과 지속 1. 버블의 발생 이론 2. 버블의 지속 이론 Ⅳ. 버블의 붕괴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