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임대주택 공급체계의 이원화 방안 연구
197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부는 LH공사 중심의 물량 위주 공급을 통하여 OECD 10위권의 공공임대주택 재고율을 확보하였다. 하지만 2000년대 인구 감소와 저성장시대에 접어들면서 기존의 공급방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다. 2010년대 이후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역세권 청년주택, 사회주택 등 다양한 방식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여 큰 호응을 얻었지만 공급은 큰 폭으로 증가하지 못하였다. 한편, 임대주택 구조론 관점에서 행복주택과 주거복지로드맵 등의 정책을 고려할 때, Keme...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부동산학회지 no. 62; pp. 157 - 17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부동산학회
31.12.2021
Korea Real Estate Society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1054 2713-6981 |
Cover
Table of Contents:
-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공공임대주택 공급체계의 문제점 Ⅳ. 공공임대주택 공급체계의 이원화 방안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