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고독방>의 커뮤니케이션 양상 연구: 익명성이 보장된 공간에서 이미지로 대화하기

지인들과 연락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카카오톡이, 최근 들어서는 익명의 사람들과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텍스트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이미지만을 가지고 소통하는 카카오톡 오픈채팅 ‘고독방’의 대화 양상과 이용자들의 소통 심리를 살펴보고, 이것이 우리의 일상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직접 고독방 대화에 참여하여 관찰한 후, 고독방 이용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고독방 대화는 기존 텍스트 대화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과교육학연구 Vol. 24; no. 3; pp. 296 - 308
Main Author 배소연(Bae So-Yon), 권순희(Kwon Soon 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30.06.2020
교과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20.24.3.296

Cover

Abstract 지인들과 연락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카카오톡이, 최근 들어서는 익명의 사람들과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텍스트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이미지만을 가지고 소통하는 카카오톡 오픈채팅 ‘고독방’의 대화 양상과 이용자들의 소통 심리를 살펴보고, 이것이 우리의 일상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직접 고독방 대화에 참여하여 관찰한 후, 고독방 이용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고독방 대화는 기존 텍스트 대화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정보가 공유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본인이 하고 싶은 말만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집단적 독백 형태가 나타났다. 반면 익명임에도 불구하고 공손한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참여자들 간에 유대감과 연대감이 강하게 형성된 결과라 생각해 볼 수 있다.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 중심의 소통이 선호되고 있는 가운데, 국어교육에서 시각적 서사 학습, 이미지 리터러시 교육 등 읽기를 넘어 보기에 대한 교육을 통해 상호작용과 공감 소통하는 학습 방식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Kakao Talk, the social media channel to communicate with acquaintances, began to be used as a means of sharing common interests with anonymous people. The study looked at the dialogue patterns of Kakao Talk open chat “Solitude Room” where they communicates only with images without any text, and tried to reveal how this affected our daily communication. The researchers participated in the “Solitude Room” and observed the dialogue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people with experience of using the “Solitude Room”. Just like traditional text conversations, in “Solitude Room”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was shared, and in the process, a collective monologue emerged, for one-way communication, conveying only what one would like to say. On the other hand, while remaining anonymous, they showed a polite attitude, and this seemed to be due to strong bond and solidarity among participants of common interest. While image-oriented communication rather than text is preferred, it will be necessary to discuss how to interact with and empathize the interaction through education on viewing such as visual narrative learning and image literacy education, going beyond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지인들과 연락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카카오톡이, 최근 들어서는 익명의 사람들과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텍스트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이미지만을 가지고 소통하는 카카오톡 오픈채팅 ‘고독방’의 대화 양상과 이용자들의 소통 심리를 살펴보고, 이것이 우리의 일상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직접 고독방 대화에 참여하여 관찰한 후, 고독방 이용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고독방 대화는 기존 텍스트 대화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정보가 공유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본인이 하고 싶은 말만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집단적 독백 형태가 나타났다. 반면 익명임에도 불구하고 공손한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참여자들 간에 유대감과 연대감이 강하게 형성된 결과라 생각해 볼 수 있다.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 중심의 소통이 선호되고 있는 가운데, 국어교육에서 시각적 서사 학습, 이미지 리터러시 교육 등 읽기를 넘어 보기에 대한 교육을 통해 상호작용과 공감 소통하는 학습 방식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Kakao Talk, the social media channel to communicate with acquaintances, began to be used as a means of sharing common interests with anonymous people. The study looked at the dialogue patterns of Kakao Talk open chat “Solitude Room” where they communicates only with images without any text, and tried to reveal how this affected our daily communication. The researchers participated in the “Solitude Room” and observed the dialogue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people with experience of using the “Solitude Room”. Just like traditional text conversations, in “Solitude Room”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was shared, and in the process, a collective monologue emerged, for one-way communication, conveying only what one would like to say. On the other hand, while remaining anonymous, they showed a polite attitude, and this seemed to be due to strong bond and solidarity among participants of common interest. While image-oriented communication rather than text is preferred, it will be necessary to discuss how to interact with and empathize the interaction through education on viewing such as visual narrative learning and image literacy education, going beyond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0
Author 배소연(Bae So-Yon), 권순희(Kwon Soon Hee)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배소연(Bae So-Yon), 권순희(Kwon Soon H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0096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UF1LwlAAvURBZv6CXvbSQw-zu_uxu0UEIn0IUpC-j21uMRYbzF56M1IICjKoNNAoMKKIMlQQ6hftXv9DK3s6nA8OnLMAZoMwcABYUmAWEYSV1cizvSyC6JdncRbp6gxIIZUpsoYRmQUpRWdUxkhh8yBTrXoWVBCmCOs0BaLSbklajwcP_LLB-y8botuWxFePv_f4-Zn4ronuUDQS6fZKnJ5IotWPR29rkuiO-GtD1D8TW-KDobh_4s2OFA9Gcb8uWk1R7ySZIf8Yi-caf-xI_KI2ubue3LTjcX8RzLnmYdXJ_GMalLc2y_kdubi3XcjnirKvEiSbVoVQZmuqxVxsIY1hW7N0UzchtSs6STYwnZiMuARVoIaZxRQGMXNUh2rJUozTYGVaG0Su4dueEZreHx6Ehh8Zuf1ywdBpckXyYRosT7P-cWiFhhWGvu0ER05kEEghRExjjGoY_wC2D43I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OI 10.24231/rici.2020.24.3.296
DatabaseName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Communication Style in “Solitude Room” in Social Media: Communication with an Image in the Space of Anonymity
EISSN 2671-8324
EndPage 30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501242
4050027877583
GroupedDBID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k642-abd457c86b7f3b2873c8b9a9a05cd94b01794a74f42d0837b717037e6e5821733
ISSN 1975-3217
IngestDate Tue Nov 21 21:36:59 EST 2023
Fri Jun 20 02:12:45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3
Keywords Open chat
Communication style
카카오톡
의사소통 양상
이미지
Kakao Talk
Solitude Room
고독방
Image
오픈채팅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42-abd457c86b7f3b2873c8b9a9a05cd94b01794a74f42d0837b717037e6e5821733
PageCount 1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501242
kyobo_bookcenter_405002787758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0-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0-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0
  text: 2020-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교과교육학연구
PublicationYear 2020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name: 교과교육연구소
SSID ssib012352395
ssib044738152
Score 1.7262572
Snippet 지인들과 연락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카카오톡이, 최근 들어서는 익명의 사람들과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텍스트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이미지만을 가지고 소통하는 카카오톡 오픈채팅 ‘고독방’의 대화 양상과 이용자들의 소통 심리를 살펴보고, 이것이...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96
SubjectTerms 교육학
TableOfContents I.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대상 및 방법 IV. 분석 결과 V.결 론
Title SNS <고독방>의 커뮤니케이션 양상 연구: 익명성이 보장된 공간에서 이미지로 대화하기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2787758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00960
Volume 2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과교육학연구, 2020, 24(3), , pp.296-30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da9RAMNT64osoKtaPEsR9OlJz2U12V0RI0itVaV9aoT4dSS6RctDA0SL6IBVbEBSsoLZCKwoVUURP2kJBf9ElBX-Cs5uPppxgFe5yy2R2PnaymZnczkZRLrMoCuHmaGiByHQI5abmmS2mRSE1WMh8ywpENfLEpDV-m9ycMWcGjvyqrFpamPdHggd_rCv5H6sCDOwqqmT_wbIlUQBAG-wLR7AwHA9l46lJyMKxixo2cjCyddRwEBtDzBQNR0c2R7iBGi7io4izmmg5DrKJOG038gaDD5OnXLHsIcN2iGgAobwbtxCvSxCG2DMDUcFCsDaR7YonC0Vfyd62pRzQgyCnXpKtSdFwzoCDEBKb64i7tVwRQcAWxBnJGXE9pySRSgmByxhypPA2lcIDpJ4hgVaZPqA6R5zIhtBH0mZAvhqX53pwvRDBrUCAnyvo5hR4v_bFZZuPu5OJawkRSlyDOV5Ym4q1OyLa5uLalv0LLDACsBE8RsV4GuzWPXEvj2OxGVm5d1b-gMbQi9WE-ZSqjEqpsORsu_lAc_3goGSa5ErWDjcAfVYv1Kz4Nk5NDRtZqWzh_LIC9nyS46on41YlKMJy840-fyuCceFwwWXPjgjdATKCR8q-BzYyh9RA_s9NIUXFR5SjBqVyYcXEw0bhAUThtoH3K8UJoRBRytdmldJnW4dJzlf6-UKO2b4f-zGEinOdqBIqTp9Qjuc5nmpnE_akMtCOTykdmKzqtd7Wu-T5ctL9dD3dWFPTH5vJ183k6ZP052K6sZ0uA-j1i_TxIzVd7fZ2vlxV042d5PNyuvQdTqvJ1nb69kOysq72tnZ63aV0dSVdWgec7eTbbvpxMXm_ribPFvfevNx7tdbb7Z5Wpsca0-64lr_wRGtbxNA8v0VMGjDLpxH2DUZxwHzucU83gxYnvnSeHiURMVqQOVGf1sFf09AKRbU7xfiMMjgXz4VnFZUZODKJD5ihB1-Dhy3C9TCgdVz3Wl40pAzLYWqKVF4sAw87zQP2GVIuwfg128FsU2xAL37vxs12pwlp9o0mN8FUxDj3NyrnlWP7M-KCMjjfWQgvQhA_7w9Lu_8GEmTCj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SNS+%3C%EA%B3%A0%EB%8F%85%EB%B0%A9%3E%EC%9D%98+%EC%BB%A4%EB%AE%A4%EB%8B%88%EC%BC%80%EC%9D%B4%EC%85%98+%EC%96%91%EC%83%81+%EC%97%B0%EA%B5%AC%3A+%EC%9D%B5%EB%AA%85%EC%84%B1%EC%9D%B4+%EB%B3%B4%EC%9E%A5%EB%90%9C+%EA%B3%B5%EA%B0%84%EC%97%90%EC%84%9C+%EC%9D%B4%EB%AF%B8%EC%A7%80%EB%A1%9C+%EB%8C%80%ED%99%94%ED%95%98%EA%B8%B0&rft.jtitle=%EA%B5%90%EA%B3%BC%EA%B5%90%EC%9C%A1%ED%95%99%EC%97%B0%EA%B5%AC&rft.au=%EB%B0%B0%EC%86%8C%EC%97%B0%28Bae+So-Yon%29%2C+%EA%B6%8C%EC%88%9C%ED%9D%AC%28Kwon+Soon+Hee%29&rft.date=2020-06-30&rft.pub=%EC%9D%B4%ED%99%94%EC%97%AC%EC%9E%90%EB%8C%80%ED%95%99%EA%B5%90+%EA%B5%90%EA%B3%BC%EA%B5%90%EC%9C%A1%EC%97%B0%EA%B5%AC%EC%86%8C&rft.issn=1975-3217&rft.volume=24&rft.issue=3&rft.spage=296&rft.epage=308&rft_id=info:doi/10.24231%2Frici.2020.24.3.296&rft.externalDocID=405002787758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5-3217&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5-3217&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5-3217&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