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 이후 열경련 환자의 비열성발작으로 진행되는 위험 인자

목적: 열경련 환자의 경우 대부분 좋은 예후를 보이며 비열성 발작으로 가는 비율은 2–7%로 알려져 있다. 열경련이 6세 이후에도 지속되거나 새로 발생하는 경우 비열경련으로 가는 비율이 일반 열경련 환자에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위험인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6세 이후 열경련에 대한 연구는 소수에서만 진행이 되었으며, 6세 이후 열경련 환자에 대한 비열성 발작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열경련으로 소아청소년과 신경분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중...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 26; no. 4; pp. 215 - 220
Main Authors 이현주(Hyeon Ju Lee), 김승효(Seung Hy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31.12.2018
대한소아신경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6884

Cover

Abstract 목적: 열경련 환자의 경우 대부분 좋은 예후를 보이며 비열성 발작으로 가는 비율은 2–7%로 알려져 있다. 열경련이 6세 이후에도 지속되거나 새로 발생하는 경우 비열경련으로 가는 비율이 일반 열경련 환자에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위험인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6세 이후 열경련에 대한 연구는 소수에서만 진행이 되었으며, 6세 이후 열경련 환자에 대한 비열성 발작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열경련으로 소아청소년과 신경분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중 6세 이후에도열경련이 지속되거나 새로이 발생한 환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정보 수집은 차트 리뷰 및 전화 조사를 통하여 시행하였다. 76명의 환자가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비열성 발작으로 가는 위험 인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열경련으로 방문한 896명의 환자 중, 83명에서 6세 이후에 열경련이 발생하였다. 이 중 3명은 뇌파 이상 소견 및 지속되는 열경련으로 항경련제를 복용하였고, 4명은 6세 이전에 비열성 발작이 최소 1회이상 발생하여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최종 76명이 연구 대상으로선정되었다. 열경련의 시작 나이를 6세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6세 전에열경련이 시작된 군에서 열경련 가족력 및 복합열경련의 빈도가 높게보고 되었으나, 이외 뇌파 검사 및 다른 주요 임상 변수들은 통계적인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1%(16/76)에서 추후 비열성 발작이 발생하였으며, 비열성 발작으로의 진행에 영향을 주는 독립 인자로 뇌파 이상 소견이 확인되었다. 결론: 6세 이후 열경련 군에서 열경련의 시작 나이는 특별한 임상적인 의미를 갖지 않았다. 뇌파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비열성 발작으로가는 비율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 6세 이후 열경련 환자에서 예후를 예측하는데, 뇌파 시행은 의미 있는 검사 방법이 될 수있겠다. Purpose: Few reports have described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subsequent unprovoked seizure in patients who present with febrile seizure (FS) after 6 years of age. We investigated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unprovoked seizures after FS among patients from Jeju Island. Methods: We included patients who developed FS after 6 years of age, who presented to our outpatient clinic between January, 2011 and June, 2017. Clinical data were obtained through chart reviews and phone call interviews. We us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subsequent unprovoked seizure. Results: Of the 895 patients who presented to our hospital due to their febrile seizure, 83 developed FS after 6 years of age. Among them, 3 patients were prescribed antiepileptic drugs before the onset of the unprovoked seizure, and 4 patients developed an unprovoked seizure before 6 years of age. Thus, overall, 76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51 patients developed first FS before 6 years of age. In the remaining patients, the first FS developed after 6 years of age. The mean observational period since the last outpatient follow-up visit was 3.2 years (median 3.04 years, range: 1.42-4.71 years). Among them, 21% developed an unprovoked seizu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lectroencephalographic (EEG) abnormalities serv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a subsequent unprovoked seizure. Conclusion: EEG is the proper diagnostic tool to predict the risk of a subsequent unprovoked seizure in patients with FS after 6 years of age.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목적: 열경련 환자의 경우 대부분 좋은 예후를 보이며 비열성 발작으로 가는 비율은 2–7%로 알려져 있다. 열경련이 6세 이후에도 지속되거나 새로 발생하는 경우 비열경련으로 가는 비율이 일반 열경련 환자에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위험인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6세 이후 열경련에 대한 연구는 소수에서만 진행이 되었으며, 6세 이후 열경련 환자에 대한 비열성 발작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열경련으로 소아청소년과 신경분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중 6세 이후에도열경련이 지속되거나 새로이 발생한 환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정보 수집은 차트 리뷰 및 전화 조사를 통하여 시행하였다. 76명의 환자가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비열성 발작으로 가는 위험 인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열경련으로 방문한 896명의 환자 중, 83명에서 6세 이후에 열경련이 발생하였다. 이 중 3명은 뇌파 이상 소견 및 지속되는 열경련으로 항경련제를 복용하였고, 4명은 6세 이전에 비열성 발작이 최소 1회이상 발생하여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최종 76명이 연구 대상으로선정되었다. 열경련의 시작 나이를 6세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6세 전에열경련이 시작된 군에서 열경련 가족력 및 복합열경련의 빈도가 높게보고 되었으나, 이외 뇌파 검사 및 다른 주요 임상 변수들은 통계적인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1%(16/76)에서 추후 비열성 발작이 발생하였으며, 비열성 발작으로의 진행에 영향을 주는 독립 인자로 뇌파 이상 소견이 확인되었다. 결론: 6세 이후 열경련 군에서 열경련의 시작 나이는 특별한 임상적인 의미를 갖지 않았다. 뇌파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비열성 발작으로가는 비율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 6세 이후 열경련 환자에서 예후를 예측하는데, 뇌파 시행은 의미 있는 검사 방법이 될 수있겠다. Purpose: Few reports have described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subsequent unprovoked seizure in patients who present with febrile seizure (FS) after 6 years of age. We investigated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unprovoked seizures after FS among patients from Jeju Island. Methods: We included patients who developed FS after 6 years of age, who presented to our outpatient clinic between January, 2011 and June, 2017. Clinical data were obtained through chart reviews and phone call interviews. We us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subsequent unprovoked seizure. Results: Of the 895 patients who presented to our hospital due to their febrile seizure, 83 developed FS after 6 years of age. Among them, 3 patients were prescribed antiepileptic drugs before the onset of the unprovoked seizure, and 4 patients developed an unprovoked seizure before 6 years of age. Thus, overall, 76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51 patients developed first FS before 6 years of age. In the remaining patients, the first FS developed after 6 years of age. The mean observational period since the last outpatient follow-up visit was 3.2 years (median 3.04 years, range: 1.42-4.71 years). Among them, 21% developed an unprovoked seizu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lectroencephalographic (EEG) abnormalities serv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a subsequent unprovoked seizure. Conclusion: EEG is the proper diagnostic tool to predict the risk of a subsequent unprovoked seizure in patients with FS after 6 years of age. KCI Citation Count: 0
Author 김승효(Seung Hyo Kim)
이현주(Hyeon Ju Lee)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현주(Hyeon Ju Lee)
– sequence: 2
  fullname: 김승효(Seung Hyo K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1674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D9Lw0Achm-oYK39DlkcHAL3Sy6Xy1iKfwoFRbIfTe5OQiQHqYt7Fp0qiI2YFp10VOlQQb-QuXwHg3V4eeDled8d1Ml0JjuoC45DbcoY2Ub96TSJMPY8ynzidNEpNcXaMotV81hYZr76-fiun16t5qE0y5lZlFb9WbS1Kd7rt8osb031VT9XlnkpmvvrelbWN3eWqYpmXrYn63azi7bU5GIq-__sofDwIBwe2-OTo9FwMLZTSsCOGIAbO1L4CiJJiZJCONInNFAAFKQkKnJ9GjOQxCO-wIIoFUsmmHIBC-r20P7mNssVT-OE60nyx3PN05wPzsIRd1kQUAatu7dx0ysdaR5pncYyu5Q5Jxgwdvw2AMz9BVDgcbk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atabaseName Kyobo Scholar (교보스콜라)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Subsequent Unprovoked Seizure in Patients Who Present with Febrile Seizure after 6 Years of Age
EndPage 22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899681
4010027002118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k641-b8113c2ed7f1be64fedd2e7469f1161ee4fb376c81e4547d0d4ffce8d8f310d63
ISSN 1226-6884
IngestDate Fri Nov 17 19:23:02 EST 2023
Tue Feb 18 15:20:58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Unprovoked seizure
Febrile seizur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41-b8113c2ed7f1be64fedd2e7469f1161ee4fb376c81e4547d0d4ffce8d8f310d63
PageCount 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899681
kyobo_bookcenter_401002700211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8-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8-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8
  text: 2018-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PublicationYear 2018
Publisher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대한소아신경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소아신경학회
– name: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SSID ssib005568742
ssib048506230
ssib004647932
Score 1.6750773
Snippet 목적: 열경련 환자의 경우 대부분 좋은 예후를 보이며 비열성 발작으로 가는 비율은 2–7%로 알려져 있다. 열경련이 6세 이후에도 지속되거나 새로 발생하는 경우 비열경련으로 가는 비율이 일반 열경련 환자에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위험인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6세...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15
SubjectTerms 신경과학
TableOfContents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Title 6세 이후 열경련 환자의 비열성발작으로 진행되는 위험 인자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700211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16743
Volume 2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대한소아신경학회지, 2018, 26(4), , pp.215-22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b9Mw1NrGhQsCAWIMpgjhUxUUJ45jH5O0UxkCITGk3aLWcRCq1EjVdhjnXuA0JMSK6CY4wRHQDkOCP0TT_8Czk7YpQuLj4rov9nvP78X2e479jNBtSUnmpkFmB45Mbdrhqd3xUg8S5cpMiY4vtaN4_wFrP6bbu_7uymqztmtpf697Rz777bmS_9EqwECv-pTsP2h2jhQAkAf9QgoahvSvdMxwK8ac4og3dE40cURxq4lFBNASFBhQiCMXR03cinDo4FAXh1ICC24KtbBwKgRCP4twJDTeBYKSDDGPHCziWTViMjGOYoObQN7QDQNTH_AxzIV-BhQ0NeAsxKJiLp4VCkq6ZRMWPNUt50WkZxONuWGiipQnbbhpoI_D2PDOY719Q6P1K04500CN1a-axY0gFnIpCwuTCavCug1ObaVkWcS8whR6uvEubx8o6Ejb-w2ztalWKTTCNPLlJl_SCDlUeqRgrG20D_KGudVa1NdgCJ9Feqx6zb18oD-b_NL82b7b2uwCtq7NeHkn3mz6KQMGVN2MLs0lfs0scV1nMWXPN1KCd6wXFrSlRvgqWvUIjPXnwqgZbdW_XcMgXAvK5jM-WxCB_1THLHTNpTxz_sBT6x3k3RwMrv4gqxlcOxfRhcpTssLytb-EVnr5ZfSQFcMzqzg-nb4dWsXR6Y8v3yfvPlrTN6Pi5LA4HlmTr0MAF8PPk0_j4uRlMf42eT-2ig_D6evnk8PR5MUrqxgPp0cjQHIGda6gna3WTty2q0tB7B6jxO5yQjzpKhheSFcxmqk0dVVAmcgIOC9K0awLc6bkROlQdamT0iyTiqc8A0cmZd5VtNbP--oaspgvpN_xMpCApF5GheJKMsmocjsqpXwdbRohJNrd1Vul1SBZkvc6ugXSSXryaaKDtOvfJ3nSGyTgit5NdOBKxsn1P2HZQOcXr9QNtLY32Fc3wdDd625WmvwJwGCPZw
linkProvider EBSCOhost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6%EC%84%B8+%EC%9D%B4%ED%9B%84+%EC%97%B4%EA%B2%BD%EB%A0%A8+%ED%99%98%EC%9E%90%EC%9D%98+%EB%B9%84%EC%97%B4%EC%84%B1%EB%B0%9C%EC%9E%91%EC%9C%BC%EB%A1%9C+%EC%A7%84%ED%96%89%EB%90%98%EB%8A%94+%EC%9C%84%ED%97%98+%EC%9D%B8%EC%9E%90&rft.jtitle=Annals+of+Child+Neurology%28%EA%B5%AC+%EB%8C%80%ED%95%9C%EC%86%8C%EC%95%84%EC%8B%A0%EA%B2%BD%ED%95%99%ED%9A%8C%EC%A7%80%29&rft.au=%EC%9D%B4%ED%98%84%EC%A3%BC%28Hyeon+Ju+Lee%29&rft.au=%EA%B9%80%EC%8A%B9%ED%9A%A8%28Seung+Hyo+Kim%29&rft.date=2018-12-31&rft.pub=Korean+Child+Neurology+Society&rft.issn=1226-6884&rft.volume=26&rft.issue=4&rft.spage=215&rft.epage=220&rft.externalDocID=401002700211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688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688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688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