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현상, 미디어 재현, 문화적 함의: TV 드라마 <혼술남녀>에 대한 기호학과 담론 분석
Recently,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 is increasing rapidly. It brings about changes in the societal cultural aspect. Examples of television programs focused on their lifestyle provoked the societal attention as a important social agenda. This research investigated to figure ou...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10) Vol. 18; no. 10; pp. 65 - 77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10.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8.18.10.065 |
Cover
Summary: | Recently,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 is increasing rapidly. It brings about changes in the societal cultural aspect. Examples of television programs focused on their lifestyle provoked the societal attention as a important social agenda. This research investigated to figure out inherent ideologies in <Drinking Solo> of tvN through Semiotic and Discourse analyses. As a result, predominant ideologies were revealed on the basis of representations of such single-person households. The authors also tried to find out how the media represent attitud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figure out how the media approach their ways of lives on bases of specific discourses and ideologies. 최근 한국 사회에서 1인 가구의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2010년대 이후 1인 가구의 생활상을 주소재로 한 방송 프로그램들이 다수 방영된 사례를 통해 1인 가구가 하나의 사회 문화적 현상으로 주목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tvN 드라마 <혼술남녀>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서사구조 분석, 계열체 분석, 행위주 분석 등 기호학적 분석방법들과 담론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1인 가구를 소재로 한 드라마에 내재된 이데올로기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청년세대 1인 가구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구성하는 서사구조와 갈등 관계, 담론을 통해 1인 가구의 특성을 발견하였고, 그러한 특성들에 내재된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발견하였으며,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사회 현상에 대한 문화적 함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834663385688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8.18.10.0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