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경험 기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례연구 : 분광광도계

This study is a case analysis for user interface(UI) design of spectrophotometer which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chemistry, biology and environment, based on user experience(UX). Generally, experimental equipment developments are centered on functionality and technology, and the interface for i...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6) Vol. 12; no. 6; pp. 32 - 40
Main Authors 정성원, 정상훈, Jeong, Seong-Won, Jeong, Sang-H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6.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2.12.06.032

Cover

Abstract This study is a case analysis for user interface(UI) design of spectrophotometer which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chemistry, biology and environment, based on user experience(UX). Generally, experimental equipment developments are centered on functionality and technology, and the interface for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machine is developed only by the engineers who do not have much consideration for the users. From this background,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how UX could melt into UI so that a kind of spectrophotometers can be designed to help the work process of researchers in the real context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real users' experiences and also considering the developer's perspectiv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improve UI and was found that redefinition of the goal of UI, time-efficiency, security, and su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are essential to the design of user interface for spectrophotometers. 본 연구는 화학, 생명공학, 환경공학 등의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광광도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경험에 기반하여 디자인한 과정을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일반적으로 분광광도계를 포함한 실험기기 개발은 기능 및 기술을 우선하여 진행되므로 기기와 사용자간의 인터랙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순히 제품을 개발하는 엔지니어에 설계되었고, 연구자의 퍼포먼스를 높이고 효율적인 사용환경을 제시하는데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 개발을 담당하는 엔지니어와 실제 제품을 사용하는 실험자의 기존의 경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전문가인터뷰, 경험관찰 분석법 등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디자인 인사이트를 추출하고 휴리스틱가이드라인에 의해 디자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기존의 기능적 측면만 고려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아닌 사용자경험에 기반을 두어 연구자의 퍼포먼스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개발되었으며, 분광광도계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시 인터페이스의 역할 재정의, 시간 효율성 제고, 보안성 확보, 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충분한 정보전달의 4가지 요소가 필수적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AbstractList 본 연구는 화학, 생명공학, 환경공학 등의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광광도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경험에 기반하여 디자인한 과정을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일반적으로 분광광도계를 포함한 실험기기 개발은 기능 및 기술을 우선하여 진행되므로 기기와 사용자간의 인터랙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순히 제품을 개발하는 엔지니어에 설계되었고, 연구자의 퍼포먼스를 높이고 효율적인 사용환경을 제시하는데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 개발을 담당하는 엔지니어와 실제 제품을 사용하는 실험자의 기존의 경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전문가인터뷰, 경험관찰 분석법 등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디자인 인사이트를 추출하고 휴리스틱가이드라인에 의해 디자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기존의 기능적 측면만 고려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아닌 사용자경험에 기반을 두어 연구자의 퍼포먼스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개발되었으며, 분광광도계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시 인터페이스의 역할 재정의, 시간 효율성 제고, 보안성 확보, 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충분한 정보전달의 4가지 요소가 필수적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This study is a case analysis for user interface(UI) design of spectrophotometer which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chemistry, biology and environment, based on user experience(UX). Generally, experimental equipment developments are centered on functionality and technology, and the interface for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machine is developed only by the engineers who do not have much consideration for the users. From this background,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how UX could melt into UI so that a kind of spectrophotometers can be designed to help the work process of researchers in the real context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real users' experiences and also considering the developer's perspectiv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improve UI and was found that redefinition of the goal of UI, time-efficiency, security, and su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are essential to the design of user interface for spectrophotometers. KCI Citation Count: 1
This study is a case analysis for user interface(UI) design of spectrophotometer which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chemistry, biology and environment, based on user experience(UX). Generally, experimental equipment developments are centered on functionality and technology, and the interface for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machine is developed only by the engineers who do not have much consideration for the users. From this background,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how UX could melt into UI so that a kind of spectrophotometers can be designed to help the work process of researchers in the real context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real users' experiences and also considering the developer's perspectiv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improve UI and was found that redefinition of the goal of UI, time-efficiency, security, and su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are essential to the design of user interface for spectrophotometers. 본 연구는 화학, 생명공학, 환경공학 등의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광광도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경험에 기반하여 디자인한 과정을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일반적으로 분광광도계를 포함한 실험기기 개발은 기능 및 기술을 우선하여 진행되므로 기기와 사용자간의 인터랙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순히 제품을 개발하는 엔지니어에 설계되었고, 연구자의 퍼포먼스를 높이고 효율적인 사용환경을 제시하는데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 개발을 담당하는 엔지니어와 실제 제품을 사용하는 실험자의 기존의 경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전문가인터뷰, 경험관찰 분석법 등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디자인 인사이트를 추출하고 휴리스틱가이드라인에 의해 디자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기존의 기능적 측면만 고려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아닌 사용자경험에 기반을 두어 연구자의 퍼포먼스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개발되었으며, 분광광도계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시 인터페이스의 역할 재정의, 시간 효율성 제고, 보안성 확보, 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충분한 정보전달의 4가지 요소가 필수적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Author 정성원
정상훈
Jeong, Sang-Hoon
Jeong, Seong-Wo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성원
– sequence: 2
  fullname: 정상훈
– sequence: 3
  fullname: Jeong, Seong-Won
– sequence: 4
  fullname: Jeong, Sang-Hoo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045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kMtKw0AYhQdRsNY-gZtsBDeJ_8xkJhN3oXjpBQql-5BpMxJSUmh8AJGsXHiBQotQQXAjdBG0Sje-UJK-g9EKBw7n5_vP4uyh7WgU-QgdYDAYtclxs1V3DAKYGKWAG0DJFqoQBkLnFqHbqIKZLXRTWNYuqsVxIAEYBY45qaBucbMont6K54fs_Xs9nWnZKs3TWTGfacV8tU7S9V0ZlsXtq5ZPJiVWXrXyJ3-5LqZp9rnQTrT8K8mWj6Xy-yT7SPbRjvKGsV_79yrqnZ326hd6u3PeqDttPeRU6ARIX1rSt8GjHIMEyRRVPqYgOQyoVCA8TyhPArdNCwvpm8zCysSmkgPMTVpFR5vaaKzcsB-4Iy_488uRG45dp9truDalFESJHm7QMIivAjcaxEO36bQ6v6MRsDmxMWemoD-nwXm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JDI
ACYCR
DEWEY 005.7
DOI 10.5392/JKCA.2012.12.06.032
DatabaseNam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Computer Science
DocumentTitleAlternate Case Study of User Interface Design for Spectrophotometer based on User Experience
EISSN 2508-6723
EndPage 4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33308
JAKO201220962916548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JDI
ACYCR
M~E
ID FETCH-LOGICAL-k638-202cb7be90a3610b0b5f3fe130b60d3bf08aa8fab0694718be4571f414fbd1643
ISSN 1598-4877
IngestDate Tue Nov 21 21:41:44 EST 2023
Fri Dec 22 11:59:16 EST 2023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6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38-202cb7be90a3610b0b5f3fe130b60d3bf08aa8fab0694718be4571f414fbd1643
Notes KISTI1.1003/JNL.JAKO201220962916548
G704-001475.2012.12.6.048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22096291654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33308
kisti_ndsl_JAKO20122096291654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2-06
PublicationDateYYYYMMDD 2012-06-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12
  text: 2012-06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6)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PublicationYear 2012
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콘텐츠학회
SSID ssib005306162
ssib036279156
ssib001107260
ssib053377518
ssib030194663
ssib044738273
Score 1.4828124
Snippet This study is a case analysis for user interface(UI) design of spectrophotometer which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chemistry, biology and environment, based...
본 연구는 화학, 생명공학, 환경공학 등의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광광도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경험에 기반하여 디자인한 과정을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일반적으로 분광광도계를 포함한 실험기기 개발은 기능 및 기술을 우선하여 진행되므로 기기와 사용자간의 인터랙션을 위한 사용자...
SourceID nrf
kisti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StartPage 32
SubjectTerms 학제간연구
Title 사용자경험 기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례연구 : 분광광도계
URI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22096291654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0450
Volume 1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12, 12(6), , pp.32-4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GjrxYvfYv0oEZxTSc3HJJnxluym1JYqaMXeQj6lrOzCWi8eRGRPHvyAQotQQfAi9LBolV78Q7vpf_C9SbKJpeIHhOzbeW_evMkkee9N3rwh5AbHFOssZmpq81RlYCKrIThCqhnC7ZRlPDNkIu3VO_bSA7a8bq1PTf-yumQzWoifHbuu5H9GFcpgXHGV7D-M7IQpFAAM4wtnGGE4_9UYU79FuUHdFgLCpa6QgE-FRn2Xegb12tRvU-FQwedlEace4Dw8Cy6p2wVOQoAGcs4kEQB-TeQx2Ro0wuaRgWB41M2V9ecbMnnU1TGSAnGOZAkCWICS8xBSChsbw2LgpjcAj_LFCmXSYnu3yoaWPbKoaFX82tiC15aygtBWKQ90xtUqYiEBl3IpF9B4hYCSDIhdh_LJlxtZoGE97AxcDV32ATr9GxIQUZcNAOtJbPByWoY730dAfVgHPNSYEBBLvRJTTr5gFEsVJFbpC4HzseVONJVCMRoPTlM7lDO5hZ1RZKk6qsEssFdxc-6Vlotxh4acq7YXtKpqM1_4ET0-ia5cdlfuYl0D3FND4HI1Pk1OGI4j4xhWn_u1vQzOv9Hwjy1wIPU6fyS8_HH7gckLHIwdR-h18iXGHJM37F9wHRz8jCdzFJcXpsj0hd26eUynwCVEP2kDLLtuP2tYdmtnyKnSJVPc4vk6S6Y6vXPkdLXdiVJqv_PkXv5yL3__Of_wdvTlx-H2jjI6GI6HO_nujpLvHhwOhoev4c9-_uqTMt7aAjIoVaDO-OOLfHs4-ran3FLG3wej_XdwjN8MRl8HF8jaor_WWlLLLUnUDigqePkYceREqdBCE_yOSIuszMxSsAMjW0vMKNN4GPIsjHA5OVh9UcosR8-YzrIo0cH4v0hmur1ueokoTCRxbNoRcyIHlKgtEp3FyCJOIm4bySyZk1cm6CZPHgfHDOksuQ6XLOjEGwGmiMffR72g0w_AEb4dCNM0NX75T0yukJP1bX2VzGz2n6bXwMrejObknfITAq2on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2%AC%EC%9A%A9%EC%9E%90%EA%B2%BD%ED%97%98+%EA%B8%B0%EB%B0%98%EC%9D%98+%EC%9D%B8%ED%84%B0%ED%8E%98%EC%9D%B4%EC%8A%A4+%EB%94%94%EC%9E%90%EC%9D%B8+%EC%82%AC%EB%A1%80%EC%97%B0%EA%B5%AC+%3A+%EB%B6%84%EA%B4%91%EA%B4%91%EB%8F%84%EA%B3%84&rft.jtitle=%ED%95%9C%EA%B5%AD%EC%BD%98%ED%85%90%EC%B8%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rft.au=%EC%A0%95%EC%84%B1%EC%9B%90&rft.au=%EC%A0%95%EC%83%81%ED%9B%88&rft.au=Jeong%2C+Seong-Won&rft.au=Jeong%2C+Sang-Hoon&rft.date=2012-06-01&rft.issn=1598-4877&rft.volume=12&rft.issue=6&rft.spage=32&rft.epage=40&rft_id=info:doi/10.5392%2FJKCA.2012.12.06.032&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122096291654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4877&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4877&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4877&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