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를 동반하지 않은 원시 및 조절내사시에서 외사시로 변화된 환자들에 대한 임상양상 고찰
목적: 사시를 동반하지 않은 원시 및 조절내사시에서 외사시로 변화된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7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안과에 사시를 동반하지 않은 원시 및 조절내사시로내원한 환자 중 외사시로 변화된 경우를 의무기록을 기초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총 13명의 환자가 대상이었으며 초진 시 9명에서 조절내사시가 관찰되었고, 근거리 주시 시 평균 25.5 prism diopter (PD) 내사시를 나타내었다. 내사시 환아 중 4명에서 단안약시가 있...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6; no. 12; pp. 1921 - 192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31.12.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사시를 동반하지 않은 원시 및 조절내사시에서 외사시로 변화된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7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안과에 사시를 동반하지 않은 원시 및 조절내사시로내원한 환자 중 외사시로 변화된 경우를 의무기록을 기초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총 13명의 환자가 대상이었으며 초진 시 9명에서 조절내사시가 관찰되었고, 근거리 주시 시 평균 25.5 prism diopter (PD) 내사시를 나타내었다. 내사시 환아 중 4명에서 단안약시가 있었고, 5명에서는 양안약시 소견이 관찰되었다. 구면대응치는 단안약시군에서약시안은 평균 +6.09D, 우세안은 평균 +5.63D였으며, 양안약시군은 평균 +5.875D였다. 자발속발외사시는 초진 시부터 평균 56.38개월 후인 8.63세에 발생하였다. 외편위 발생 시 원거리에서 평균 10.33PD의 편위량을 보였다. 초진 시 정위였던 4명의 경우, 단안약시및 양안약시가 각각 2명에서 관찰되었다. 구면대응치는 단안약시를 보인 군에서 약시안이 +5.63D, 우세안이 +3.13D의 수치를 보였으며, 양안약시군에서는 평균 +5.50D였다. 외편위는 초진 시부터 평균 64개월 후인 10.75세에 관찰되었다. 원거리 외편위각은 평균6.5PD였다.
결론: 원시 및 조절내사시의 경우에는 외사시의 회귀가 있을 수 있으므로 지속적 관찰이 필요하다. 외사시 발생 시 안경도수의 조절을통하여 사시각을 조절할 수 있었으나, 추후 수술적 처치의 필요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xodeviated patients with accomodative esotropia and orthophoric hyperopia.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patients with accommodative esotropia and hyperopia who later developed exotropia and visited th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of Wonju Severance Christian Hospital from January 1, 1997 to December 31, 2013.
Results: The study included 13 patients with a mean age of 4.1 years at initial referral. At the initial visit, nine patients (69.2%) had accommodative esotropia with a median of 25.5 PD esotropia at near gaze. Among the esotropic patients, four patients (44.4%) had unilateral amblyopia and five patients (55.6%) had bilateral amblyopia. The spherical equivalent was +6.09 D in the amblyopic eye and +5.63 D in the dominant eye. In the cases of bilateral amblyopia, the spherical equivalent was +5.875 D.
Spontaneous consecutive exotropia developed at a mean age of 8.63 years (average follow-up of 56.38 months). Mean exodeviation was 10.33 PD. Among the four patients (30.8%) who were orthophoric at their initial visit, two patients (50%) had unilateral amblyopia and two (50%) had bilateral amblyopia. The spherical equivalents of the amblyopic eye and the dominant eye were +5.63 D and +3.13 D, respectively. In cases of bilateral amblyopia, a mean spherical equivalent of +5.50 D was observed. The mean age when exodeviation occurred was 10.75 years, which was 64 months after the initial visit. The average exodeviation was 6.5 PD.
Conclusions: When treating accommodative esotropia and hyperopia, long-term observation is necessary since exodeviation could develop. Exotropia was successfully managed with spectacle correc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possible surgical intervention.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1025.2015.56.12.005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