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고등학교 경제교과서의 효과성 분석 : 경제과목 오개념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의 경제교과서의 오류를 보완하기 위해 기획적으로 만들어진 차세대 고등학교 경제교과서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연합학력평가의 사회탐구 영역에서 경제 과목 시험문항과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제과목의 오개념을 추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차세대 경제교과서와 기존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여 차세대 경제교과서가 학생들의 오개념 형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인 교과서가 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차세대 경제교과서가 현행 경제교과서에 비해 오개념이 형성된 단원에 대한 설명을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과교육학연구 Vol. 15; no. 1; pp. 243 - 258
Main Author 문명신, 최민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01.03.2011
교과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11.15.1.243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의 경제교과서의 오류를 보완하기 위해 기획적으로 만들어진 차세대 고등학교 경제교과서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연합학력평가의 사회탐구 영역에서 경제 과목 시험문항과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제과목의 오개념을 추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차세대 경제교과서와 기존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여 차세대 경제교과서가 학생들의 오개념 형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인 교과서가 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차세대 경제교과서가 현행 경제교과서에 비해 오개념이 형성된 단원에 대한 설명을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례들을 통해 구체적이며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질적으로 실시된 교과서 비교분석 방법의 타당성을 재확인 하고 분석결과의 강건성(robustness)을 재확인하기 위해 실험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대상으로 실시한 실험 분석을 통해서도 차세대 경제교과서가 가장 핵심적인 경제원리의 하나인 기회비용을 설명하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한 실험 분석에서 차세대 경제교과서는 또 하나의 경제 주요개념이며 효율적인 자원배분에 대한 시장의 한계성을 제공하는 외부성을 설명하는 데는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an alternative high school economics textbook (Next-generation Economics Textbook: NGET) by focusing on how the new textbook effectively deals with the common economic misconceptions that are strongly held among students. We collected data on common economic misconceptions by using nation-wide tests in Korea that were administrated centrally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We also conducted an experiment to see if the different approaches adopted by the NGET would make any difference in the student learning process with respect to the two most common economic misconceptions: opportunity cost and externalit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next-generation economics textbook presents more relevant and rich examples of economic principles and concepts than the other existing textbooks. Reading material and exploration activities in the next-generation economics textbook contain more interesting examples and reasonable activitie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economics concepts more clearly. The results from our experiment suggest that the NGET provides better learning material on opportunity costs. The NGET, however, fails to offer effective learning material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externalities. This supports the criticism that the NGET relies heavily on the market-centered economic perspective to explain and seek answers to economic issues and problems. KCI Citation Count: 6
AbstractList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의 경제교과서의 오류를 보완하기 위해 기획적으로 만들어진 차세대 고등학교 경제교과서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연합학력평가의 사회탐구 영역에서 경제 과목 시험문항과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제과목의 오개념을 추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차세대 경제교과서와 기존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여 차세대 경제교과서가 학생들의 오개념 형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인 교과서가 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차세대 경제교과서가 현행 경제교과서에 비해 오개념이 형성된 단원에 대한 설명을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례들을 통해 구체적이며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질적으로 실시된 교과서 비교분석 방법의 타당성을 재확인 하고 분석결과의 강건성(robustness)을 재확인하기 위해 실험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대상으로 실시한 실험 분석을 통해서도 차세대 경제교과서가 가장 핵심적인 경제원리의 하나인 기회비용을 설명하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한 실험 분석에서 차세대 경제교과서는 또 하나의 경제 주요개념이며 효율적인 자원배분에 대한 시장의 한계성을 제공하는 외부성을 설명하는 데는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an alternative high school economics textbook (Next-generation Economics Textbook: NGET) by focusing on how the new textbook effectively deals with the common economic misconceptions that are strongly held among students. We collected data on common economic misconceptions by using nation-wide tests in Korea that were administrated centrally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We also conducted an experiment to see if the different approaches adopted by the NGET would make any difference in the student learning process with respect to the two most common economic misconceptions: opportunity cost and externalit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next-generation economics textbook presents more relevant and rich examples of economic principles and concepts than the other existing textbooks. Reading material and exploration activities in the next-generation economics textbook contain more interesting examples and reasonable activitie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economics concepts more clearly. The results from our experiment suggest that the NGET provides better learning material on opportunity costs. The NGET, however, fails to offer effective learning material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externalities. This supports the criticism that the NGET relies heavily on the market-centered economic perspective to explain and seek answers to economic issues and problems. KCI Citation Count: 6
Author 문명신, 최민식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문명신, 최민식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4366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1jLtKw1Acxg9SwVr7BC5ZBJfU8z-XnMStFC-FgiDdQ64SIgmkLm4OcdKhIkKVFCp0qOLQWhSH-kLJ6TtYW52-C7_v20SlKI48hLYB1wgjFPaSwAlqBAPUgNdgUdI1VCaaAFWnhJVQGQzBVUpAbKBqpxPYGAjlhBq8jBw5Hsn0q7i9UvLpoLifzB8e84-ukr9_y0G2cPl0JtNM9nvK_Gm0DBOl-Exl2lf2_6nprHh9UWRvmI-z4ror-6kih3fy5k1ms-I520LrvnXe8ap_WkHtw4N241htnRw1G_WWGmpUU3XdB-roQLFhWK6nO4xZDAvMGFiOxnwmNEfziAuE28LwmPBcAYIC1ahLgfi0gnZXt1Him6ETmLEVLPUsNsPErJ-2myan4ndQQTsrNLyM7di04zh0vOjCS0yGOcaEcx1rBqY_fiSF0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OI 10.24231/rici.2011.15.1.243
DatabaseName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Next - generation Economics Textbook, Focusing on Common Economic Misconceptions
EISSN 2671-8324
EndPage 25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37136
4050025580690
GroupedDBID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k636-88f13c813099ade8c44a4070441ac64f476c6e2d125b79e47ed71731363d312f3
ISSN 1975-3217
IngestDate Tue Nov 21 21:41:18 EST 2023
Wed Jun 18 02:24:40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경제교육
common economic misconceptions
7차 고등학교 경제교과서
오개념
차세대 고등학교 경제교과서
economics textbook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36-88f13c813099ade8c44a4070441ac64f476c6e2d125b79e47ed71731363d312f3
Notes G704-002067.2011.15.1.005
PageCount 1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37136
kyobo_bookcenter_405002558069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1-03-01
2011-03
PublicationDateYYYYMMDD 2011-03-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3
  year: 2011
  text: 2011-03-01
  day: 0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교과교육학연구
PublicationYear 2011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name: 교과교육연구소
SSID ssib012352395
ssib044738152
Score 1.4535592
Snippet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의 경제교과서의 오류를 보완하기 위해 기획적으로 만들어진 차세대 고등학교 경제교과서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연합학력평가의 사회탐구 영역에서 경제 과목 시험문항과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제과목의 오개념을 추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차세대...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43
SubjectTerms 교육학
TableOfContents I. 서 론 II. 차세대 경제교과서의 등장 III. 분석내용 및 결과 VI. 결 론 참고문헌
Title 차세대 고등학교 경제교과서의 효과성 분석 : 경제과목 오개념을 중심으로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2558069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43669
Volume 15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과교육학연구, 2011, 15(1), , pp.243-25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tNAcNWWCxcEAkR5VEZiT5GD114_9mg7qQpSOQWpN8teO6iKlEhReoAD4hBOcCgCpIISqUg9FMShpQJxCD8Uu__A7NpJ3JcUuFjj2dmZ8YztmbF2xwg90FjTgjDPVJvbXKU85GqUxJpqcgj2kRGHmiY2Cq8_sdae0scb5sbC4ofSqqWtXlTlL87dV_I_XgUc-FXskv0Hz06ZAgJg8C8cwcNwnMvHuO5jT8OuIwCHYg8ADzsAaxVcd7FnYFcTKGZgj-B6DTMTMyaHACiIdOzVBAMgZf50rJjv-QVvJgEGLJyK5ORKuSeJPFIR4jxLnBTzahX1Ijn5TA-7wItVJH8Hu1SO5URwNbkyUrRDJRFQMCLZw9RcLX_CiQBcTrjPu54pRk50y4YBjC1k5zTAHO5A0RfDIaVPJlKQX1gbdAcVC2W0GYkvheRKrU4sBJ6olb-zkNJCM_lkzKfuGS0Fb7C5XwoxzDZVQ893rFYTidMtm6jwbqXlUJK3ryqyEj1vcH864IlsWEQ8iJmbeT9aYlZJdTq33F78VNg_0WC8xTeDZ52g1Q2gjHoUmIZNDGsRXdJtWy5-WH9Zn7ylxeZq3Zjt5qbUhqxP_tpqeml5ey-p3MOzqkEd2HreiTqQzrW7zVI617iKrhR1mOLmD9U1tNDqXEc8O9jP-r_Tt6-U8dFu-v7w-OOn8c9tZfzjT7Y7AGh8NMr6g2y4oxx_3pcnh0r6q5_1h4o6oToapd--KtnO3vhgkL7ezoZ9Jdt7l735ng1G6ZfBDdRYrTf8NbX4C4naskSzbqdJDO5AqsdYGCcOpzSkECehjAi5RZvUtriV6DEUCpHNEmonsVjYAuYzYoPoTeMmWmp32sktpECoi6zE5JqTUJrwMLSiCBIOAll2CHiyjFakXQJRX4u12Uk3gHpKlv2O6Ci-jO6DwaSzLnTa7Tlo7qDLszv8LlrqdbeSe5Bb96IV6eq_hNKrFw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0%A8%EC%84%B8%EB%8C%80+%EA%B3%A0%EB%93%B1%ED%95%99%EA%B5%90+%EA%B2%BD%EC%A0%9C%EA%B5%90%EA%B3%BC%EC%84%9C%EC%9D%98+%ED%9A%A8%EA%B3%BC%EC%84%B1+%EB%B6%84%EC%84%9D+-+%EA%B2%BD%EC%A0%9C%EA%B3%BC%EB%AA%A9+%EC%98%A4%EA%B0%9C%EB%85%90%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A%B5%90%EA%B3%BC%EA%B5%90%EC%9C%A1%ED%95%99%EC%97%B0%EA%B5%AC%2C+15%281%29&rft.au=%EB%AC%B8%EB%AA%85%EC%8B%A0&rft.au=%EC%B5%9C%EB%AF%BC%EC%8B%9D&rft.date=2011-03-01&rft.pub=%EA%B5%90%EA%B3%BC%EA%B5%90%EC%9C%A1%EC%97%B0%EA%B5%AC%EC%86%8C&rft.issn=1975-3217&rft.eissn=2671-8324&rft.spage=243&rft.epage=258&rft_id=info:doi/10.24231%2Frici.2011.15.1.24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53713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5-3217&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5-3217&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5-3217&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