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오디션 리얼리티 쇼의 서사구조 분석 :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과 <슈퍼스타 K2>를 중심으로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plore the way to construct the reality and its implication of the narrative elements in TV Audition Reality Show.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 of all, two audition reality show has added the special tasks to characters based on the competition and has developed...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6) Vol. 12; no. 6; pp. 120 - 131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6.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2.12.06.120 |
Cover
Summary: |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plore the way to construct the reality and its implication of the narrative elements in TV Audition Reality Show.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 of all, two audition reality show has added the special tasks to characters based on the competition and has developed the dramatic events sequentially. And they has suggested the course of way between survival and fail, that is, inclusion and exclusion. As that results, audiences has be immersed in the process of the justification of the star(hero) myth and the dealings of musical elements to see dramatized show of narrative. And they knew audition reality show as non-real fiction, so they enjoyed the pleasure spontaneously. These means that the empowered media reproduced the illusion like star(hero) with the purpose of the commercial and political aim and one of the ideology to acquiesce in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mpetition. 본 연구는 텔레비전 오디션 리얼리티 쇼의 서사 구성요소들이 현실을 구성하는 방식과 그 함의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MBC TV의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과 Mnet의 <슈퍼스타 K2>를 대상으로 서사구조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분석대상 오디션 리얼리티 쇼는 등장인물들 간의 경쟁을 기반으로 연속적으로 사건이 전개되고 각각의 사건마다 생존과 탈락, 즉 선택과 배제의 경로가 제시되고 있었다. 그 결과 시청자들은 사실이 아닌 서사가 사실적으로 극화된 쇼를 보면서 영웅(스타) 신화를 정당화하고 음악적 구성요소들이 거래되는 과정에 몰입하게 된다. 동시에 시청자들은 오디션 리얼리티 쇼가 사실이 아님(non-real)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즐거움을 만끽하기도 한다. 이런 결과는 미디어의 정치경제적 권력화가 영웅이라는 허상을 부단히 재생산하면서 경쟁의 당위를 묵인하는 신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 중의 하나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220962916567 G704-001475.2012.12.6.026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2.12.06.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