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안에 발생한 코우츠병 1예
목적: 양안에 발생한 코우츠병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자 한다. 증례요약: 19개월 남아가 5개월 전부터 양안이 안으로 몰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안저검사에서 우안 전체 망막의 심한 삼출망막박리 및 망막표면의 실핏줄확장증이 관찰되었고, 좌안 망막 하측의 삼출망막박리가 관찰되었다. 형광안저혈관조영술에서 좌안 망막 하이측 의 적도부위에서 형광누출을 동반한 망막실핏줄확장증 소견과 무혈관성 망막이 발견되었다. 이에 우안은 망막하액 외배액술 및 유리 체강 내 공기주입술을 시행하였으며, 좌안은 아르곤 레이저광응고술 및 냉동치...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2; no. 1; pp. 112 - 116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1.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양안에 발생한 코우츠병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자 한다. 증례요약: 19개월 남아가 5개월 전부터 양안이 안으로 몰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안저검사에서 우안 전체 망막의 심한 삼출망막박리 및 망막표면의 실핏줄확장증이 관찰되었고, 좌안 망막 하측의 삼출망막박리가 관찰되었다. 형광안저혈관조영술에서 좌안 망막 하이측 의 적도부위에서 형광누출을 동반한 망막실핏줄확장증 소견과 무혈관성 망막이 발견되었다. 이에 우안은 망막하액 외배액술 및 유리 체강 내 공기주입술을 시행하였으며, 좌안은 아르곤 레이저광응고술 및 냉동치료를 시행하였다. 우안 망막하액에 대한 세포검사에서 악성세포는 발견되지 않았다. 수술 후 44개월째 추적관찰에서 최대교정시력 우안 광각무, 좌안 0.4이며 양안 망막은 편평하게 유지되 었다. 녹내장 및 망막박리의 재발, 통증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코우츠병은 양안에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양안의 진행이 비대칭일 수 있고, 진행 정도가 단안에 발생한 경우보다 더 심한 경향이 있으며, 장기간 경과 후에도 질병이 진행할 수 있어 양안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및 장기간의 세밀한 검사가 필요하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bilateral Coats' disease. Case summary: A 19-month-old boy presented with esodeviation of his eyes, which started 5 months prior. A fundus exam showed total bullous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with retinal vascular telangiectasia in the right eye and localized exudative retinal detachment with vascular telangiectasia at the inferior periphery in the right eye. Fluorescein angiogram of the left eye showed retinal telangiectatic vessels, avascular area and fluorescein leakeage from telangiectatic vessels. The patient received external drainage of subretinal fluid and intravitreal air injection of the right eye and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and cryotheraphy of the left eye. A cytologic exam of the subretinal fluid drained from the right eye showed no malignant cells. Forty-four months after the operation, hi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no light perception in the right eye and 0.4 in the left eye. Both fundi were flat and stable. No complications, such as glaucoma, recurred retinal detachment, or pain, occurred. Conclusions: Coats' disease rarely occurs bilaterally and can be involved asymmetrically. The disease presents more severely when bilateral and can progress after long-term observation. Proper treatment and long-term follow-up of both eyes are necessary to prevent visual loss and preserve eyes.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G704-001025.2011.52.1.004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