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전 합리적인 송아지 사양관리를 위한 한우농가 송아지 사양관리 실태 조사
The present surve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Hanwoo calf management. Eight hundred and sixty-two Hanwoo breeding farms from all nine provinces were surveyed via personal interviews. The percentages of farms categorized by herd size were 30.5%, 32.8%, 26.0% and 10.7% for <50 he...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54; no. 2; pp. 141 - 147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축산학회
01.04.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429 2672-0191 2093-6281 |
Cover
Abstract | The present surve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Hanwoo calf management. Eight hundred and sixty-two Hanwoo breeding farms from all nine provinces were surveyed via personal interviews. The percentages of farms categorized by herd size were 30.5%, 32.8%, 26.0% and 10.7% for <50 heads, 51-100 heads, 101-200 heads, and >200 heads, respectively. More than 50% of farms offered calf starter at 6-10 days of age, showing that calf starter was offered relatively at an earlier age. Calf starter was replaced every three days by 30.1% of farms. The percentages of farms replacing starter weekly (19.2%) were even higher than those of replacing starter daily (18.8%), suggesting that the frequency of replacing starter needs to be increased to maintain starter freshness and to increase starter intake. About one-third of farms offered forage at 6-10 days of age and 21% of farms offered even at 1-5 days of age although it has been well known that forage does not contain either nutrient density or nutrient profile necessary to stimulate rumen papillae development, especially before weaning. Furthermore, about half of farms used rice straw with calf starter. Water was offered relatively at an earlier age (1-5 days of age) by 55% of farms. Deciding when to wean calves should be based on starter intake rather than age but less than 50% of farms decided weaning age by starter intake. In conclusions, to reduce weaning age of Hanwoo calves by rapid rumen papilla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fresh starter and water by increasing frequency of starter replacing and water trough cleaning and not to feed forage before weaning. 본 연구는 체계적인 송아지 사양관리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농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이유전 한우 송아지의 사양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설문은 전국의 한우 가임암소를 사육하고 있는 농가를 대상으로 도별 농가수 편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농가를 임의로 선출하여 방문 조사하였다. 총 조사된 농가수는 862농가로, 경기 및 제주를 제외하고는 전 지역(7개 도)에서 비교적 비슷한 농가수가 조사되었으며, 사육두수 규모별 분포는 200두 이상 사육농가가 10.7%로 가장 낮았으나, 이를 제외한 나머지 50두 이하, 51-100두 및 101-200두 규모 농가의 비율은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과반수이상(50.6%)의 농가가 생후 6-10일령에 스타터사료 급여를 실시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농가가 비교적 빠른 시기에 스타터를 급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에 한번 스타터를 교체하는 농가의 비율이 30.1%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회/1주일 교체농가(19.2%)의 비율도 1일 1회 교체농가의 비율(18.8%) 보다 높아, 신선한 스타터사료 급여를 위해서 교체주기를 단축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료 급여 시기는 비록 비율의 차이는 있지만 스타터사료 급여시기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스타터와 함께 급여하는 조사료는 볏짚(53%)을 가장 많이 급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 전 조사료의 급여는 송아지의 성장 및 반추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품질이 낮은 볏짚은 송아지의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욱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물은 과반수이상의 농가(55.4%)가 생후1-5일 사이에 급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많은 농가가 비교적 빠른시기에 물을 급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이상의 농가(53%)가 스타터 섭취량 기준으로 이유시기를 결정하기보다는 다른 이유(개월령 및 성장기준)로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타터사료의 섭취량은 이유 전 송아지의 반추위 발달을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이유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농가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우 송아지의 빠른 반추위 발달을 통한 이유시기의 단축을 위해서는 사료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스타터사료 교체주기의 단축, 이유 전 조사료 급여의 불필요, 신선한 물 급여를 위한 물통청소 주기 단축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
---|---|
AbstractList | The present surve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Hanwoo calf management. Eight hundred and sixty-two Hanwoo breeding farms from all nine provinces were surveyed via personal interviews. The percentages of farms categorized by herd size were 30.5%, 32.8%, 26.0% and 10.7% for <50 heads, 51-100 heads, 101-200 heads, and >200 heads, respectively. More than 50% of farms offered calf starter at 6-10 days of age, showing that calf starter was offered relatively at an earlier age. Calf starter was replaced every three days by 30.1% of farms. The percentages of farms replacing starter weekly (19.2%) were even higher than those of replacing starter daily (18.8%), suggesting that the frequency of replacing starter needs to be increased to maintain starter freshness and to increase starter intake. About one-third of farms offered forage at 6-10 days of age and 21% of farms offered even at 1-5 days of age although it has been well known that forage does not contain either nutrient density or nutrient profile necessary to stimulate rumen papillae development, especially before weaning. Furthermore, about half of farms used rice straw with calf starter. Water was offered relatively at an earlier age (1-5 days of age) by 55% of farms. Deciding when to wean calves should be based on starter intake rather than age but less than 50% of farms decided weaning age by starter intake. In conclusions, to reduce weaning age of Hanwoo calves by rapid rumen papilla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fresh starter and water by increasing frequency of starter replacing and water trough cleaning and not to feed forage before weaning. 본 연구는 체계적인 송아지 사양관리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농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이유전 한우 송아지의 사양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설문은 전국의 한우 가임암소를 사육하고 있는 농가를 대상으로 도별 농가수 편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농가를 임의로 선출하여 방문 조사하였다. 총 조사된 농가수는 862농가로, 경기 및 제주를 제외하고는 전 지역(7개 도)에서 비교적 비슷한 농가수가 조사되었으며, 사육두수 규모별 분포는 200두 이상 사육농가가 10.7%로 가장 낮았으나, 이를 제외한 나머지 50두 이하, 51-100두 및 101-200두 규모 농가의 비율은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과반수이상(50.6%)의 농가가 생후 6-10일령에 스타터사료 급여를 실시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농가가 비교적 빠른 시기에 스타터를 급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에 한번 스타터를 교체하는 농가의 비율이 30.1%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회/1주일 교체농가(19.2%)의 비율도 1일 1회 교체농가의 비율(18.8%) 보다 높아, 신선한 스타터사료 급여를 위해서 교체주기를 단축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료 급여 시기는 비록 비율의 차이는 있지만 스타터사료 급여시기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스타터와 함께 급여하는 조사료는 볏짚(53%)을 가장 많이 급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 전 조사료의 급여는 송아지의 성장 및 반추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품질이 낮은 볏짚은 송아지의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욱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물은 과반수이상의 농가(55.4%)가 생후1-5일 사이에 급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많은 농가가 비교적 빠른시기에 물을 급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이상의 농가(53%)가 스타터 섭취량 기준으로 이유시기를 결정하기보다는 다른 이유(개월령 및 성장기준)로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타터사료의 섭취량은 이유 전 송아지의 반추위 발달을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이유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농가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우 송아지의 빠른 반추위 발달을 통한 이유시기의 단축을 위해서는 사료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스타터사료 교체주기의 단축, 이유 전 조사료 급여의 불필요, 신선한 물 급여를 위한 물통청소 주기 단축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송아지 사양관리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농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이유 전 한우 송아지의 사양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설문은 전국의 한우 가임암소를 사육하고 있는 농가를 대상으로 도별 농가수 편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농가를 임의로 선출하여 방문 조사하였다. 총 조사된 농가수는 862농가로, 경기 및 제주를 제외하고는 전 지역(7개 도)에서 비교적 비슷한 농가수가 조사되었으며, 사육두수 규모별 분포는 200두 이상 사육농가가 10.7%로 가장 낮았으나, 이를 제외한 나머지 50두 이하, 51~100두 및 101~200두 규모농가의 비율은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과반수이상(50.6%)의 농가가 생후 6~10일령에 스타터사료 급여를 실시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농가가 비교적 빠른 시기에 스타터를 급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에 한번 스타터를 교체하는 농가의 비율이 30.1%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회/1주일 교체농가(19.2%)의 비율도 1일 1회 교체농가의 비율(18.8%) 보다 높아, 신선한 스타터사료 급여를 위해서 교체주기를 단축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료 급여 시기는 비록 비율의 차이는 있지만 스타터사료 급여시기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스타터와 함께 급여하는 조사료는 볏짚(53%)을 가장 많이 급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 전 조사료의 급여는 송아지의 성장 및 반추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품질이 낮은 볏짚은 송아지의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욱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물은 과반수이상의 농가(55.4%)가 생후 1~5일 사이에 급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많은 농가가 비교적 빠른 시기에 물을 급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이상의 농가(53%)가 스타터 섭취량 기준으로 이유시기를 결정하기보다는 다른 이유(개월령 및 성장기준)로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타터사료의 섭취량은 이유 전 송아지의 반추위 발달을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이유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농가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우 송아지의 빠른 반추위 발달을 통한 이유시기의 단축을 위해서는 사료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스타터사료 교체주기의 단축, 이유 전 조사료 급여의 불필요, 신선한 물 급여를 위한 물통청소 주기 단축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urve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Hanwoo calf management. Eight hundred and sixty-two Hanwoo breeding farms from all nine provinces were surveyed via personal interviews. The percentages of farms categorized by herd size were 30.5%, 32.8%, 26.0% and 10.7% for <50 heads, 51~100 heads, 101~200 heads, and >200 heads, respectively. More than 50% of farms offered calf starter at 6∼10 days of age, showing that calf starter was offered relatively at an earlier age. Calf starter was replaced every three days by 30.1% of farms. The percentages of farms replacing starter weekly(19.2%) were even higher than those of replacing starter daily(18.8%), suggesting that the frequency of replacing starter needs to be increased to maintain starter freshness and to increase starter intake. About one-third of farms offered forage at 6~10 days of age and 21% of farms offered even at 1~5 days of age although it has been well known that forage does not contain either nutrient density or nutrient profile necessary to stimulate rumen papillae development, especially before weaning. Furthermore, about half of farms used rice straw with calf starter. Water was offered relatively at an earlier age(1~5 days of age) by 55% of farms. Deciding when to wean calves should be based on starter intake rather than age but less than 50% of farms decided weaning age by starter intake. In conclusions, to reduce weaning age of Hanwoo calves by rapid rumen papilla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fresh starter and water by increasing frequency of starter replacing and water trough cleaning and not to feed forage before weaning. KCI Citation Count: 0 |
Author | Lee, Sung-Sill Ki, Kwang-Seok Kim, Wan-Young 황진호 이성실 여준모 Yeo, Joon-Mo 김완영 Lee, Sung-Hoon Hwang, Jin-Ho 이성훈 기광석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여준모 – sequence: 2 fullname: 이성훈 – sequence: 3 fullname: 기광석 – sequence: 4 fullname: 황진호 – sequence: 5 fullname: 이성실 – sequence: 6 fullname: 김완영 – sequence: 7 fullname: Yeo, Joon-Mo – sequence: 8 fullname: Lee, Sung-Hoon – sequence: 9 fullname: Ki, Kwang-Seok – sequence: 10 fullname: Hwang, Jin-Ho – sequence: 11 fullname: Lee, Sung-Sill – sequence: 12 fullname: Kim, Wan-Young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5560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p1zLtqAkEYBeAhGIgxvsM2gTQLM_PPjDOlSO6CEOwHZ1fDsrKCmwcwidiEFClMEVZQyIWAhYVFijyR_r5Dlpg21YFzPs4-KSS9pL1Dipwa8BXXrECKTBrtG8HNHimnaeQoaFqRIGSRRDhZYjbF6dDbjD_X73Oc3uLky8PRDMdD_Bh4eDfH56fVcpCP67dvD7PhZpzlOsOXxXr0uFoM_tEePrxu7jMPZ4u8PiC7nVY3bZf_skSaJ8fN2plfb5ye16p1P1YgfQgcA6i0KAdKWVtq5YTkTjmqgLOQKRAhd5qpIAiVcKAo1VRxKnUgnVAGSuRoe5v0OzYOIttrRb953bNx31avmue2QqmQMqeHWxpH6U1kkzDt2ovqZYNTxpnkYBQzkkv4AR7BgIc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JDI ACYCR |
DEWEY | 636 |
DatabaseName |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Veterinary Medicine Agriculture |
DocumentTitleAlternate | A Survey on Hanwoo Calf Management Prior to Weaning |
EISSN | 2093-6281 |
EndPage | 147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700455 JAKO201215239619525 |
GroupedDBID | .UV 4.4 5GY 5VS 7X2 8FE 8FH 9ZL ABVAZ ACGFS ACRMQ ADINQ ADRAZ AFGXO AFKRA AFNRJ AFRAH AHBYD AHSBF AHYZX ALMA_UNASSIGNED_HOLDINGS AMKLP ASPBG ATCPS AVWKF BENPR BHPHI BMC C24 C6C CCPQU EBS EJD GROUPED_DOAJ HCIFZ HYE IAO IEA ITC JDI KQ8 M0K M48 M~E OK1 PIMPY PROAC RBZ ROL RPM RSV SOJ AAHBH ACYCR ADUKV AEUYN H13 PGMZT PHGZT |
ID | FETCH-LOGICAL-k635-3cb1337a023001e586b452b6b06321d1634d2b816ccd64b36008062058c5b4693 |
ISSN | 1598-9429 2672-0191 |
IngestDate | Sun Mar 09 07:52:14 EDT 2025 Fri Dec 22 11:59:31 EST 2023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true |
IsScholarly | true |
Issue | 2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635-3cb1337a023001e586b452b6b06321d1634d2b816ccd64b36008062058c5b4693 |
Notes | KISTI1.1003/JNL.JAKO201215239619525 G704-000216.2012.54.2.005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21523961952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7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700455 kisti_ndsl_JAKO201215239619525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2-04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2-04-0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4 year: 2012 text: 2012-04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PublicationTitleAlternat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PublicationYear | 2012 |
Publisher | 한국축산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축산학회 |
SSID | ssib038075345 ssib001151572 ssj0000551821 ssib050732113 ssib029051467 ssib042018958 ssib055683601 ssib053376819 |
Score | 1.7922338 |
Snippet | The present surve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Hanwoo calf management. Eight hundred and sixty-two Hanwoo breeding farms from all nine... 본 연구는 체계적인 송아지 사양관리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농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이유 전 한우 송아지의 사양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설문은 전국의 한우 가임암소를 사육하고 있는 농가를 대상으로 도별 농가수 편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농가를... |
SourceID | nrf kisti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
StartPage | 141 |
SubjectTerms | 축산학 |
Title | 이유전 합리적인 송아지 사양관리를 위한 한우농가 송아지 사양관리 실태 조사 |
URI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21523961952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55603 |
Volume | 54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축산학회지, 2012, 54(2), , pp.141-147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pR1NTxQxtAInPRg_I36QMbGnzZD5aLvtcXZ2DWLQCybcNvNJNou7ybpcPBhUwsV48IAHsySQ-BETDhw4ePAXQfkPvrYzy6CQoF4mpe_1fZb0vW77itCDtE5z3_ESm2fcsUlUz-3I54kNa59Xh2QspfqG3MITNveMzC_RpYmpC5VTS6vDeDZ5eeq9kn_xKvSBX9Ut2b_w7JgodEAb_Atf8DB8z-Vj3AqxaOIG0Y0QB45qwJeTGm41saA4ELjVwAHDQVjC3HIYr6kWB5jpojBOI9UxdwzMK8YJhgUgBYoXdyokoUFxI6wVEigCmq8Ia-OWhsFQPQ7Y8aam5Iy5_IcEBgn-0Iy5bxiHimDDGRM4IwSPep3n5aXQ4uLE8I-fGjTzemm_MfMAB_wESukH0KDhat1B2QoKSM61TFoF4Ra4MM7jFcOEWsGwtIKxZ1NZWYFAmabWr8GUtYx-BVFeasyLiQBSFyBaiK94hMciAWWhZ0iVF5Dh1b0gdaiGVPeCKn41pJunCWRwhG4EJVe94nisrs7pmOfTZjPT5wjfZp55V6dY5VziVgIm15RMPVnL_LcY40Q1827SaS_3291BG3K2R231wAKlk2jSd9VCtfCqVS4IBHTklWJIkJpAdnxcf1BVz_NZcW7CFPOnkC-rTZaxKpB0qkysA7Fjb5BXYsfFK-hyMeOswPwHX0UT3f41dClYHhSFb7LrqCO39uVoW26vW0eb3w-_7srt13LrhyU3duTmuvy2Zsk3u_Ljh4P9NQAefvlpydH60eYIsEfy097hxvuDvbUzsC357vPR25Eld_ag-wZafNhaDOfs4hkUuwvZgO0nsQt6R2qzwHEzyllMqBezGJILz00hnyKpF3OXJUnKSAz2gCSQeQ7lCY0JE_5NNNXr97JbyEoIj3LHj5MsFYTlIo6jHFYSP4c4P_XcaBrNaFu1e-mLlfZ88PipmmQQ4fuCuYJ6dBrdByNqB57pyNvnwLmDLh5P37toajhYze5BcD-MZ_QE-AUxHsyz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D%B4%EC%9C%A0%EC%A0%84+%ED%95%A9%EB%A6%AC%EC%A0%81%EC%9D%B8+%EC%86%A1%EC%95%84%EC%A7%80+%EC%82%AC%EC%96%91%EA%B4%80%EB%A6%AC%EB%A5%BC+%EC%9C%84%ED%95%9C+%ED%95%9C%EC%9A%B0%EB%86%8D%EA%B0%80+%EC%86%A1%EC%95%84%EC%A7%80+%EC%82%AC%EC%96%91%EA%B4%80%EB%A6%AC+%EC%8B%A4%ED%83%9C+%EC%A1%B0%EC%82%AC&rft.jtitle=Journal+of+animal+science+and+technology&rft.au=%EC%97%AC%EC%A4%80%EB%AA%A8&rft.au=%EC%9D%B4%EC%84%B1%ED%9B%88&rft.au=%EA%B8%B0%EA%B4%91%EC%84%9D%28%EB%86%8D%EC%B4%8C%EC%A7%84%ED%9D%A5%EC%B2%AD+%EC%B6%95%EC%82%B0%EA%B8%B0%EC%88%A0%EC%97%B0%EA%B5%AC%EC%86%8C&rft.au=%ED%99%A9%EC%A7%84%ED%98%B8&rft.date=2012-04-01&rft.pub=%ED%95%9C%EA%B5%AD%EC%B6%95%EC%82%B0%ED%95%99%ED%9A%8C&rft.issn=2672-0191&rft.eissn=2093-6281&rft.spage=141&rft.epage=14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700455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9429&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9429&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9429&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