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위험영향요소 기반의 위험도 산정 방법론

Many work-related risk factors can cause construction site hazards. Considering variable and changeabl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 risk of same trade can be different by combination of inherent characteristics. But established safety management has performed like other industries not refl...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0(6) Vol. 10; no. 6; pp. 117 - 126
Main Authors 이현수, 김현수, 박문서, 이광표, 이사범, Lee, Hyun-Soo, Kim, Hyun-Soo, Park, Moon-Seo, Lee, Kwang-Pyo, Lee, Sa-Bu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01.11.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Cover

Abstract Many work-related risk factors can cause construction site hazards. Considering variable and changeabl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 risk of same trade can be different by combination of inherent characteristics. But established safety management has performed like other industries not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o, to suggest risk assessment methodology considering risk influence factors in construction site, this study extracts risk influence factors by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s, builds the weighting system for classification of factors. And risk of trade is calculated based on frequency and severity of risk. Risk assessment methodology is suggested by integrating risk influence factors and risk of trade. From this, risk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construction sites can be derived and based on the derived risk, safety management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This study has meaning for assessing the risk which can reflect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 considering risk influence factors. 건설 산업에 내재된 위험은 작업환경, 작업의 종류, 작업자의 특성 등이 결합되어 발생한다. 건설 현장의 가변적이며 유동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동일 공종이라도 내재된 특성들의 조합에 따라 위험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안전 관리 방식은 이러한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체 타산업과 유사한 안전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다양한 위험 요소를 고려한 위험도 산정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설문을 통해 위험 영향 요소를 도출하고 가중치 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빈도와 강도 기반의 공종별 위험도를 구하였다. 위험 영향 요소와 공종별 위험도를 결합하여 건설 현장의 상황에 맞는 위험도 산정 방법을 마련하였다. 이로써 건설 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위험도를 구할 수 있으며, 위험도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안전관리활동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 영향 요소들을 고려하여 현장 특성을 반영한 위험도를 산정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AbstractList 건설 산업에 내재된 위험은 작업환경, 작업의 종류, 작업자의 특성 등이 결합되어 발생한다. 건설 현장의 가변적이며 유동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동일 공종이라도 내재된 특성들의 조합에 따라 위험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안전 관리 방식은 이러한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체 타산업과 유사한 안전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다양한 위험 요소를 고려한 위험도 산정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설문을 통해 위험 영향 요소를 도출하고 가중치 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빈도와 강도 기반의 공종별 위험도를 구하였다. 위험 영향 요소와 공종별 위험도를 결합하여 건설 현장의 상황에 맞는 위험도 산정 방법을 마련하였다. 이로써 건설 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위험도를 구할수 있으며, 위험도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안전관리활동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 영향 요소들을 고려하여 현장 특성을 반영한 위험도를 산정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KCI Citation Count: 17
Many work-related risk factors can cause construction site hazards. Considering variable and changeabl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 risk of same trade can be different by combination of inherent characteristics. But established safety management has performed like other industries not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o, to suggest risk assessment methodology considering risk influence factors in construction site, this study extracts risk influence factors by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s, builds the weighting system for classification of factors. And risk of trade is calculated based on frequency and severity of risk. Risk assessment methodology is suggested by integrating risk influence factors and risk of trade. From this, risk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construction sites can be derived and based on the derived risk, safety management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This study has meaning for assessing the risk which can reflect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 considering risk influence factors. 건설 산업에 내재된 위험은 작업환경, 작업의 종류, 작업자의 특성 등이 결합되어 발생한다. 건설 현장의 가변적이며 유동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동일 공종이라도 내재된 특성들의 조합에 따라 위험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안전 관리 방식은 이러한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체 타산업과 유사한 안전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다양한 위험 요소를 고려한 위험도 산정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설문을 통해 위험 영향 요소를 도출하고 가중치 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빈도와 강도 기반의 공종별 위험도를 구하였다. 위험 영향 요소와 공종별 위험도를 결합하여 건설 현장의 상황에 맞는 위험도 산정 방법을 마련하였다. 이로써 건설 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위험도를 구할 수 있으며, 위험도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안전관리활동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 영향 요소들을 고려하여 현장 특성을 반영한 위험도를 산정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Author 박문서
Lee, Kwang-Pyo
Lee, Sa-Bum
Lee, Hyun-Soo
이사범
김현수
이광표
Kim, Hyun-Soo
이현수
Park, Moon-Seo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현수
– sequence: 2
  fullname: 김현수
– sequence: 3
  fullname: 박문서
– sequence: 4
  fullname: 이광표
– sequence: 5
  fullname: 이사범
– sequence: 6
  fullname: Lee, Hyun-Soo
– sequence: 7
  fullname: Kim, Hyun-Soo
– sequence: 8
  fullname: Park, Moon-Seo
– sequence: 9
  fullname: Lee, Kwang-Pyo
– sequence: 10
  fullname: Lee, Sa-Bu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9075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81Kw0AUhQepYK19h2wEN4GbzNxJZlnqX7VQ0O6HmSaVkJJC4wsowZXgxtYgKhXswl0UFz5TM30Hg-3qHPg-DpxdUkvGSbhF6i7jaAsPaK3qAGhzELhDmmkaaQCfoeN5rE4Ol18_JvtY5Zl5W1jmJVs95Sa_Wc0W5vnR3N1by9-iLHLzmm9g-ZBZ5rYw86lVFp_l97R8n--R7aEapWFzkw1yeXzUb5_a3d5Jp93q2jGn1EahXcGYFgOXUQoQoAgUUg8cqikgHaoQdBBoBK5cYIgDTyELOPNRh46iDXKwXk0mQxkPIjlW0X9ejWU8ka2LfkdyqL7SSt1fq3GUXkcyCdKRPGud9yoowPeR-yi4J-gfARNpb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JDI
ACYCR
DEWEY 690
DatabaseNam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ngineering
DocumentTitleAlternate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ethodology Using Site Risk Influence Factors
EISSN 2465-9703
EndPage 12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602003
JAKO200908856859679
GroupedDBID .UV
JDI
ACYCR
ID FETCH-LOGICAL-k633-59b2944b9c243300d59da537013b3053fae0bddb506a20455c7a54d6485be1a3
ISSN 2005-6095
IngestDate Wed Dec 20 03:38:54 EST 2023
Fri Dec 22 11:59:15 EST 2023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6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33-59b2944b9c243300d59da537013b3053fae0bddb506a20455c7a54d6485be1a3
Notes KISTI1.1003/JNL.JAKO200908856859679
http://www.auric.or.kr/user/rdoc/doc_rdoc_kci.asp?catvalue=3&returnVal=RD_R&page=1&dn=237147
G704-001084.2009.10.6.013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090885685967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602003
kisti_ndsl_JAKO20090885685967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9-11
PublicationDateYYYYMMDD 2009-11-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1
  year: 2009
  text: 2009-11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0(6)
PublicationTitleAlternate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PublicationYear 2009
Publisher 한국건설관리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건설관리학회
SSID ssib008451774
ssib036279018
ssib044750969
ssib053377154
Score 1.4240655
Snippet Many work-related risk factors can cause construction site hazards. Considering variable and changeabl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 risk of same...
건설 산업에 내재된 위험은 작업환경, 작업의 종류, 작업자의 특성 등이 결합되어 발생한다. 건설 현장의 가변적이며 유동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동일 공종이라도 내재된 특성들의 조합에 따라 위험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안전 관리 방식은 이러한 건설업의 특성을...
SourceID nrf
kisti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StartPage 117
SubjectTerms 건축공학
Title 건설현장 위험영향요소 기반의 위험도 산정 방법론
URI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090885685967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90751
Volume 1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09, 10(6), 52, pp.117-12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tQw0Gp7ggPiKcqjChLmUi3Kw07so5NNVYqAA0XqLUqcBFWLdqVle-GABFpxQuJCYYUAFYkeuC2IA9_Uzf4DY282zaIgHhfvZGY8Hnv8GK_sMULXeSYz6aZgAS9zWkQ6KQypPG9lPLViaeuQ5-q0xV138wHZ2qE7S8s3aqeW9gbJTfmk8V7J_1gVcGBXdUv2HyxbCQUEwGBfSMHCkP6VjXEosG9hn-AwwIxgAUAbc6ZgwPAQC7quIU1WNE-RFQaYLI1xgUljBOYzQS5mwbqWzbBv4tBXaZlNiW8U6WO2ARhNY7bOF2AB-ZQGWoLgGrABpQBhAbnuG2thVAlWRVMs2k31E-qTaa0EqB7Mc3ENCFBd60KxrwFg8LXmAtSsuldZFX-xvRjDnB2zQElcl_R7llnL0IWCgJEHDQVpxfmsza05y_z_Fl5ePKymZR27VYXpW1hDzNpYqS8I1uxmaulbWHZD2O9fluPqkOSWuH1PKQDrAIUhw12PL6Nlx1Kz-Z2nYTVrMkKtmhMPHokHTl41q6qIjrBPrZxW8O89z9LPA1ZVgZ2Z2q7sgoPV7ec1B2v7NDpV7owMMevmZ9BSp3cWnazFyzyH2kdfvxfDz9PRsPh4aBTvh9O3o2L0bPrmsHj3unjx0jj6MZ6MR8WHUUmcvBoaxfNxcbBvTMZfJt_2J58OzqP7G-F2sNkqnwFpdVzHaVGe2JyQhEubOI5pppSnMXU82LsksFg5eZyZSZom1HRj9bYClV5MSeoSRpPMip0LaKXb62YXkcGoJ82YSpPFGTEtyYjkuZfLLE64k9tsFa3pVoi66eNHUUPzr6Jr0DxRR-5GKiq7-n3Yizr9CPaetyLXVAc9L_1JyGV04rhbXUErg_5edhUc20Gypu36Ex49fNI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1%B4%EC%84%A4%ED%98%84%EC%9E%A5+%EC%9C%84%ED%97%98%EC%98%81%ED%96%A5%EC%9A%94%EC%86%8C+%EA%B8%B0%EB%B0%98%EC%9D%98+%EC%9C%84%ED%97%98%EB%8F%84+%EC%82%B0%EC%A0%95+%EB%B0%A9%EB%B2%95%EB%A1%A0&rft.jtitle=%ED%95%9C%EA%B5%AD%EA%B1%B4%EC%84%A4%EA%B4%80%EB%A6%AC%ED%95%99%ED%9A%8C%EB%85%BC%EB%AC%B8%EC%A7%91&rft.au=%EC%9D%B4%ED%98%84%EC%88%98&rft.au=%EA%B9%80%ED%98%84%EC%88%98&rft.au=%EB%B0%95%EB%AC%B8%EC%84%9C&rft.au=%EC%9D%B4%EA%B4%91%ED%91%9C&rft.date=2009-11-01&rft.issn=2005-6095&rft.volume=10&rft.issue=6&rft.spage=117&rft.epage=126&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090885685967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005-609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005-609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005-609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