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이용한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 연구동향 비교: 국제와 국내 연구를 대상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 벌채와 산사태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나 숲가꾸기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산림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량적 평가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한 연구주제와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최근 30년(1990-2019)간의 국제·국내 관련 논문의 연구동 향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제 연구논문의 게재 편수는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학문 분야와 연구영역...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농업생명과학연구 Vol. 58; no. 3; pp. 63 - 73
Main Authors 김기대, 김석우, Ki Dae Kim, Suk Wo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0.06.2024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5504
2383-8272

Cover

Loading…
Abstract 최근 우리나라에서 벌채와 산사태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나 숲가꾸기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산림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량적 평가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한 연구주제와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최근 30년(1990-2019)간의 국제·국내 관련 논문의 연구동 향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제 연구논문의 게재 편수는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학문 분야와 연구영역이 다양화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영역의 경우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메커니즘 규명(제1연구영역), 임분 조건에 따른 토양보강 효과 추정(제2연구영역),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를 고려한 사면안정성 평가(제3연구영역) 및 계안안정성 평가(제4연구영역)로 구분되었다. 이처럼 국외에서는 산사태 방지에 있어 산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국내 학술지는 제1연구영역과 제3연구영역만이 출현하여 상대적으로 기초적인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다변화되는 산림생태계의 산사태 방지 효과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수종뿐만 아니라 생육조건, 교란 이후 토양보강 효과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한 제2연구영역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Recently in South Korea, the role of effective forest management has been emphasized due to debat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st harvesting and landslides, along with doub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forest tending work. However, there is a lack of quantitative assessment data to investigate the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according to forest management in South Korea. To propose future research topics and directions for quantitatively assessing the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we analyzed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 trends in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over the last 30 years (1990–2019) using bibliometric analysis.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the publication of international research articles, alongside a diversification in research categories and areas. The research areas of international research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groups: (ⅰ) understanding the soil reinforcement mechanism of tree roots, (ⅱ) assessing the soil reinforcement according to forest stand conditions, (ⅲ) assessing slope stability considering the soil reinforcement effect of tree roots, and (ⅳ) assessing stream bank stability considering the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The continued focus on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in international research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forest ecosystem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in preventing landslides. In contrast, domestic research remains at an initial stage compared to international research, with a focus on only the first and third research areas. Especially,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r changes in soil reinforcement by various species, growth conditions, and after disturbances (the second research area)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landslide prevention effect of changed forest ecosystems due to climate change.
AbstractList 최근 우리나라에서 벌채와 산사태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나 숲가꾸기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산림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량적 평가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에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한 연구주제와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최근 30년(1990-2019)간의 국제·국내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제 연구논문의 게재 편수는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학문 분야와 연구영역이 다양화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영역의 경우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메커니즘 규명(제1연구영역), 임분 조건에 따른 토양보강 효과 추정(제2연구영역),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효과를 고려한 사면안정성 평가(제3연구영역) 및 계안안정성 평가(제4연구영역)로 구분되었다. 이처럼 국외에서는 산사태 방지에 있어 산림생태계의구조와 기능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국내 학술지는 제1연구영역과 제3연구영역만이 출현하여 상대적으로 기초적인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다변화되는 산림생태계의 산사태 방지 효과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수종뿐만 아니라생육조건, 교란 이후 토양보강 효과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한 제2연구영역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Recently in South Korea, the role of effective forest management has been emphasized due to debates regarding the relationshipbetween forest harvesting and landslides, along with doub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forest tending work. However, there is a lackof quantitative assessment data to investigate the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according to forest management in South Korea. Topropose future research topics and directions for quantitatively assessing the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we analyzed internationaland domestic research trends in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over the last 30 years (1990–2019) using bibliometric analysis. Theresults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the publication of international research articles, alongside a diversification in research categoriesand areas. The research areas of international research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groups: (ⅰ) understanding the soil reinforcementmechanism of tree roots, (ⅱ) assessing the soil reinforcement according to forest stand conditions, (ⅲ) assessing slope stability consideringthe soil reinforcement effect of tree roots, and (ⅳ) assessing stream bank stability considering the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Thecontinued focus on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in international research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forest ecosystemsare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in preventing landslides. In contrast, domestic research remains at an initial stage compared to international research, with a focus on only the first and third research areas. Especially,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r changes in soilreinforcement by various species, growth conditions, and after disturbances (the second research area)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landslide prevention effect of changed forest ecosystems due to climate change. KCI Citation Count: 0
최근 우리나라에서 벌채와 산사태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나 숲가꾸기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산림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량적 평가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한 연구주제와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최근 30년(1990-2019)간의 국제·국내 관련 논문의 연구동 향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제 연구논문의 게재 편수는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학문 분야와 연구영역이 다양화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영역의 경우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메커니즘 규명(제1연구영역), 임분 조건에 따른 토양보강 효과 추정(제2연구영역),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를 고려한 사면안정성 평가(제3연구영역) 및 계안안정성 평가(제4연구영역)로 구분되었다. 이처럼 국외에서는 산사태 방지에 있어 산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국내 학술지는 제1연구영역과 제3연구영역만이 출현하여 상대적으로 기초적인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다변화되는 산림생태계의 산사태 방지 효과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수종뿐만 아니라 생육조건, 교란 이후 토양보강 효과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한 제2연구영역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Recently in South Korea, the role of effective forest management has been emphasized due to debat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st harvesting and landslides, along with doub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forest tending work. However, there is a lack of quantitative assessment data to investigate the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according to forest management in South Korea. To propose future research topics and directions for quantitatively assessing the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we analyzed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 trends in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over the last 30 years (1990–2019) using bibliometric analysis.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the publication of international research articles, alongside a diversification in research categories and areas. The research areas of international research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groups: (ⅰ) understanding the soil reinforcement mechanism of tree roots, (ⅱ) assessing the soil reinforcement according to forest stand conditions, (ⅲ) assessing slope stability considering the soil reinforcement effect of tree roots, and (ⅳ) assessing stream bank stability considering the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The continued focus on soil reinforcement of tree roots in international research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forest ecosystem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in preventing landslides. In contrast, domestic research remains at an initial stage compared to international research, with a focus on only the first and third research areas. Especially,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r changes in soil reinforcement by various species, growth conditions, and after disturbances (the second research area)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landslide prevention effect of changed forest ecosystems due to climate change.
Author 김기대
김석우
Suk Woo Kim
Ki Dae Kim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기대
– sequence: 2
  fullname: 김석우
– sequence: 3
  fullname: Ki Dae Kim
– sequence: 4
  fullname: Suk Woo K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9223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1jl1LwlAAhkcUZOZ_ONBdMNh2zraz7kT6EIQgvB_7OCubONjoXmuEgVBdaCob2YWVYSCoQSD0f3bO_kOWdfW8Fw8P7xa3XvNqZI3LSBBDHkuqtM5lRFnDvCwLaJPLBUHFFARRRFjFMMM1k2lIH29YGLGXetrusUED0I-QhTGLQ8DiGeuP0nYEWLNL30aAfrXo85jFXZBeD1jnnk5nyaQN0v5rMl0A9jBJ5mN620s7Q0A_w2R-tweS-TsbRKxX_1n0cvZvDReAtursqsGiBX2KtrkNx6gGJPfHLFc-2C8XjvjS8WGxkC_xrgJF3kCmaGmKIiOkEdUxCXKQhpFqYMEULMWUEXRsLFsqIsQ2iKkIigoFR7JVaBLblGCW211la76ju1ZF94zKL0893fX1_Em5qIuCDBHG4lLeWcmu5xMjsM68quHr596FX1te1BFEmoTgN3ITmf0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KROLR
ACYCR
DatabaseName 코리아스칼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 Comparison of Research Trends on Soil Reinforcement by Tree Roots Using Bibliometric Analysis: Focused on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
EISSN 2383-8272
EndPage 7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34881
434924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KROLR
M~E
ACYCR
ID FETCH-LOGICAL-k631-a4b1c9665449e7fbe4f49847a80b0c6b543fd85c74eedaeb606730f2d73bedb23
ISSN 1598-5504
IngestDate Sun Jun 30 03:41:27 EDT 2024
Sun Jun 22 04:11:48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3
Keywords Shallow landslides
Forest dynamics
산림동태
Forest management
Slope stability
Ecosystem-based disaster risk reduction (Eco-DRR)
사면안정성
산사태
생태계 기반 재해위험 저감
산림관리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31-a4b1c9665449e7fbe4f49847a80b0c6b543fd85c74eedaeb606730f2d73bedb23
PageCount 1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34881
koreascholar_journals_43492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4
  text: 2024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농업생명과학연구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Publisher_xml – name: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name: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SID ssib001148783
ssib008451562
ssib009283157
ssib044743270
Score 2.2575796
Snippet 최근 우리나라에서 벌채와 산사태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나 숲가꾸기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산림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량적 평가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에 대한...
최근 우리나라에서 벌채와 산사태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나 숲가꾸기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산림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량적 평가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에대한...
SourceID nrf
koreascholar
SourceType Open Website
Aggregation Database
StartPage 63
SubjectTerms 자연과학일반
TableOfContents 서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논문 수집 및 동향 분석 2. 연구영역 및 점유율 분석 결과 및 고찰 1. 논문의 일반적 특성 2. 논문의 연구영역별 특성 3. 향후의 연구방향 References
Title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이용한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 연구동향 비교: 국제와 국내 연구를 대상으로
URI 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92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92234
Volume 5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농업생명과학연구, 2024, 58(3), , pp.63-73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V3Na9RAFA9tT15EUbFaJaBzKpF8TLIz3pLslirUU4XelmQ3K7LQhX5cPEiri1QoqIfWtuxiPVStVCi0FYSC_08y-z_43mS2TUuVKl7C7Htv3ryZN8n7zex8aNrdBsQVDNyGF0cmDFBqicFcFz6GHud2AhHTreNu5IlH3vhj-nDKnRoYTAurlubn4nu1Z2fuK_kXrwIN_Iq7ZP_Cs0dKgQBp8C88wcPwPJePScUngUMYJZWA8DHCOKmE-JOHmPBLuI6hUibcJVyyfBOQ4yhKB57MlkuXMQFPRkdVKpA87hOf9xWEkscY4QwV-MjLVUHBoSR5xA-VAs5GMSPzsEwkeYRbUtqRysFwE9RKISyGqboEeTG8hHwkuVJnQNiYrEMZNfluXjCXdZBC3MS5jX6Osqps3g6Qj5lFHmizwYrflOS7uRUBVotJ6xk0siWlQ-BJIQvSRWQv5aFRy0opc1VGXlbNhRRVxxNOOWUB9HmXAe4vToFLLpfGQIJJeWXeGSJFp2I7F2d2bNpfhqjexf9mN1KgF5rFMMeZAWPTfConkTTAbo7B7PwiJRXOVOzJgVHJOcYM_XUSp6DEiUPLm7Wn1SetanOmCkOzB1UA8g5EC2tQG3QsjEgTzyvHwB1G5cX_kxkFnF04yJJDqxdOhaIUgK8tb4I8qgogx2YLN3Lkk0KAFadnGgWsOHlJu6gGebqfv7GXtYFm64q2lO61sw-vRbsjPi_0VtbF5qKefW-Ldld027ro7ouN7d5KRxdLa9nXbT37uZx92hHdNb33alOsvsv29tPdFb238SXdO9TF-930YCd7s95b3dKzH-304O19PT34JjY7Yn0BU9mL_b7U1qGeLS-Il4uic5h97FzVJscqk-G4oe5BMZqeYxkRja0ax1vCKU9KjTihDcoBVEbMjM2aF7vUadSZWytRwLtREnt495TZsOslJ07qse1c04amW9PJdU2PYHAXRXWO99ABkk-4k4CkFXkMo3HdHtZGim1YVd-62SrFQ0zpsHYH2lQ69g8OvnEuqZvaheM-P6INzc3MJ7cA38_Ft2XX-AVAbNad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3%84%EB%9F%89%EC%84%9C%EC%A7%80%ED%95%99%EC%A0%81+%EB%B6%84%EC%84%9D%EC%9D%84+%EC%9D%B4%EC%9A%A9%ED%95%9C+%EC%88%98%EB%AA%A9+%EB%BF%8C%EB%A6%AC%EC%9D%98+%ED%86%A0%EC%96%91%EB%B3%B4%EA%B0%95+%ED%9A%A8%EA%B3%BC+%EC%97%B0%EA%B5%AC%EB%8F%99%ED%96%A5+%EB%B9%84%EA%B5%90%3A+%EA%B5%AD%EC%A0%9C%EC%99%80+%EA%B5%AD%EB%82%B4+%EC%97%B0%EA%B5%AC%EB%A5%BC+%EB%8C%80%EC%83%81%EC%9C%BC%EB%A1%9C&rft.jtitle=%EB%86%8D%EC%97%85%EC%83%9D%EB%AA%85%EA%B3%BC%ED%95%99%EC%97%B0%EA%B5%AC%2C+58%283%29&rft.au=%EA%B9%80%EA%B8%B0%EB%8C%80&rft.au=%EA%B9%80%EC%84%9D%EC%9A%B0&rft.date=2024-06-30&rft.pub=%EB%86%8D%EC%97%85%EC%83%9D%EB%AA%85%EA%B3%BC%ED%95%99%EC%97%B0%EA%B5%AC%EC%9B%90&rft.issn=1598-5504&rft.eissn=2383-8272&rft.spage=63&rft.epage=7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53488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550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550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550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