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분석

본 연구에서는 2013년도에 실시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42개교의 운영 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시험이 없는 교육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자유학기제는 첫째, 공통과정 기본교과 수업방식의 대부분이 학생주도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진로탐색 활동이 다양화되고 심화되었다. 셋째, 자율과정은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는 지역사회와의 인적·물적 자원과 연계 지도 인프라 구축을 통해 연계 지도를 하고 있었다. 반면, 자유학기제의 여러 가지 문제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자유학기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과교육학연구 Vol. 18; no. 4; pp. 1135 - 1161
Main Author 이재창, 홍후조, 김미진, 임재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31.12.2014
교과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14.18.4.1135

Cov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3년도에 실시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42개교의 운영 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시험이 없는 교육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자유학기제는 첫째, 공통과정 기본교과 수업방식의 대부분이 학생주도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진로탐색 활동이 다양화되고 심화되었다. 셋째, 자율과정은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는 지역사회와의 인적·물적 자원과 연계 지도 인프라 구축을 통해 연계 지도를 하고 있었다. 반면, 자유학기제의 여러 가지 문제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자유학기제의 차별화된 교육활동은 중학교 1학년 내, 그리고 학년 간의 교육계획에 있어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었다. 또한, 자유학기제 해당 학생들에게만 편중된 교육을 제공하여 타 학년과의 위화감과 소외감도 조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진로탐색 활동의 경우 지적인 탐색과 진로 검사와 상담, 체험을 통한 체득 등 탐색하고 체득하는 활동에만 편중되어 있었다. 끝으로, 자율과정의 선택 프로그램 활동, 동아리 활동 등 다양한 범주들이 중복되고 비체계적이라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육과정 계획 단계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교사들이 공동으로 연구하여 자유학기제를 운영하는 학기와 일반 학기의 격차를 줄여야 한다. 둘째, 자유학기제 시행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들을 타 학년에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윤리교육의 확대를 통해 균형 잡힌 진로탐색 활동 전개를 주문하였다. 넷째, 자율과정 중 성격과 내용 면에서 서로 중복된 범주들을 체계적으로 정비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ports on Free Semester System of 42 pilot schools, which do not have any assessment, in order to inspect the new ways of instruction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basic subjects instructions on common courses were student-centered activities. Seco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were diversified and enhanced. Third, optional courses provided various activities which fitted students’ interests and needs. Fourth, all of the educational necessities were provided for the pilot schools by the local community. However, Free Semester System’s new curriculum causes some confusion in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lans, not only for first grade students but also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Unbalanced new educational experiences among Free Semester System students and other grade students cause a sense of incongruity and alienation. In addition,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put too much emphasis on intellectual exploration, career-test and career-counselling, and career related experience. Finally, optional courses programs were often redundant and required organization. Sugges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staffs should build the school curriculum together from planning to management in order to decrease the gap between Free Semester System and general semester system. Second, the positive effect of Free Semester System should be applied to other grades to solve the sense of incongruity and to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Thir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need to be balanced by increasing the learning of vocational ethics. Fourth, optional courses have to be re-arranged to be more systematic. If additional research i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uggestions made by this research, Free Semester System will regain the authentic educational role of middle school,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junior high school, and will play a role as the bridge of elementary school’s basic education and high school’s career-based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30
AbstractList 본 연구에서는 2013년도에 실시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42개교의 운영 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시험이 없는 교육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자유학기제는 첫째, 공통과정 기본교과 수업방식의 대부분이 학생주도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진로탐색 활동이 다양화되고 심화되었다. 셋째, 자율과정은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는 지역사회와의 인적·물적 자원과 연계 지도 인프라 구축을 통해 연계 지도를 하고 있었다. 반면, 자유학기제의 여러 가지 문제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자유학기제의 차별화된 교육활동은 중학교 1학년 내, 그리고 학년 간의 교육계획에 있어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었다. 또한, 자유학기제 해당 학생들에게만 편중된 교육을 제공하여 타 학년과의 위화감과 소외감도 조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진로탐색 활동의 경우 지적인 탐색과 진로 검사와 상담, 체험을 통한 체득 등 탐색하고 체득하는 활동에만 편중되어 있었다. 끝으로, 자율과정의 선택 프로그램 활동, 동아리 활동 등 다양한 범주들이 중복되고 비체계적이라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육과정 계획 단계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교사들이 공동으로 연구하여 자유학기제를 운영하는 학기와 일반 학기의 격차를 줄여야 한다. 둘째, 자유학기제 시행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들을 타 학년에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윤리교육의 확대를 통해 균형 잡힌 진로탐색 활동 전개를 주문하였다. 넷째, 자율과정 중 성격과 내용 면에서 서로 중복된 범주들을 체계적으로 정비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ports on Free Semester System of 42 pilot schools, which do not have any assessment, in order to inspect the new ways of instruction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basic subjects instructions on common courses were student-centered activities. Seco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were diversified and enhanced. Third, optional courses provided various activities which fitted students’ interests and needs. Fourth, all of the educational necessities were provided for the pilot schools by the local community. However, Free Semester System’s new curriculum causes some confusion in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lans, not only for first grade students but also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Unbalanced new educational experiences among Free Semester System students and other grade students cause a sense of incongruity and alienation. In addition,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put too much emphasis on intellectual exploration, career-test and career-counselling, and career related experience. Finally, optional courses programs were often redundant and required organization. Sugges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staffs should build the school curriculum together from planning to management in order to decrease the gap between Free Semester System and general semester system. Second, the positive effect of Free Semester System should be applied to other grades to solve the sense of incongruity and to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Thir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need to be balanced by increasing the learning of vocational ethics. Fourth, optional courses have to be re-arranged to be more systematic. If additional research i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uggestions made by this research, Free Semester System will regain the authentic educational role of middle school,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junior high school, and will play a role as the bridge of elementary school’s basic education and high school’s career-based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30
Author 이재창, 홍후조, 김미진, 임재일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재창, 홍후조, 김미진, 임재일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5233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UMFKw0AUXKSCtfYPPOQieEnct5vdbI6laC0UBOk9ZNNdCZEEUi_eK4gXeyltIZV68uKhIBUFv6jd_oON9TLDmxmGxxyiSpqlCqFjwA5xCYWzPI5ih2BwHRDOFoCyPVQl3ANbUOJWUBV8j9mUgHeA6v1-LDEQygj1WRW1zMvQFPPNaLr6Wph5YZnxYrV8L-_l0MwmlnmcmPHD6uPHKoXidTMt1s_T0tk8fZu3kbX-HJjB7Ajt6_C2r-r_XEPdi_Nu89LuXLXazUbHTjgFm7qk_EsoryeU5kpSn8sQgEce1SJUocDMlxp6BAgORU9jpbSUbqS1BtentIZOd7VproMkioMsjP_4JguSPGhcd9sBo9zfjlBDJ7tocp_JLJBZlkQqvVN54GKGMWFMEMY5_QXuXnUN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OI 10.24231/rici.2014.18.4.1135
DatabaseName 교보문고스콜라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n analysis of instructions and educational activities on pilot schools of Free Semester System
EISSN 2671-8324
EndPage 1161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36911
4050025582566
GroupedDBID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k631-34226718e7d8ef6eb396ba116c73f8aea8059bf1d2120a8df0eefbb4cfff14933
ISSN 1975-3217
IngestDate Tue Nov 21 21:34:18 EST 2023
Wed Jun 18 02:24:38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career exploration activity
공통과정
common courses
middle school
Free Semester System
자유학기제
자율과정
진로탐색 활동
junior high school
지역사회 연계 활동
optional courses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y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31-34226718e7d8ef6eb396ba116c73f8aea8059bf1d2120a8df0eefbb4cfff14933
Notes G704-002067.2014.18.4.011
PageCount 2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36911
kyobo_bookcenter_405002558256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4-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4-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4
  text: 2014-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교과교육학연구
PublicationYear 2014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name: 교과교육연구소
SSID ssib012352395
ssib044738152
Score 1.551212
Snippet 본 연구에서는 2013년도에 실시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42개교의 운영 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시험이 없는 교육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자유학기제는 첫째, 공통과정 기본교과 수업방식의 대부분이 학생주도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진로탐색 활동이 다양화되고 심화되었다....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135
SubjectTerms 교육학
TableOfContents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방법 및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자유학기제의 도입취지와 기대효과 2. 자유학기제의 공통과정과 자율과정 및 교육방식으로서의 타당성 3. 교육활동 변화와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 Ⅲ.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1. 학교의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2.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3. 분석 결과 논의 및 제언 Ⅳ. 요약 및 결론 Abstract
Title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분석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2558256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52332
Volume 1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과교육학연구, 2014, 18(4), , pp.1135-1161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BbtMw1BrjwgWBADEGU5HwaUqJa8exj0maMpDgVKTdqiR10FRplaruAAdOQ0JcGIdpq9ShceLCYRIaAokv6tJ_4NlJ23RsUuESuc_P7_m9F-e9l_o5CD1KiG3HkieWqMnEYopSS3KXw7pyieKCMh6Z3RYv-MZL9mzT2Vy68qm0a2mnH1eTNxfWlfyPVQEGdtVVsv9g2SlRAEAb7AtXsDBcF7IxDgMsQyxt0wiwB406lg6WEoce9gX2TRfAZbBukFwDgj4He8E8tjMhBEBhsIWAVjFMOAaJYl9TKqMDfWIoSd0OfSwahuSMUh0LGGBAngsc1zWWz7FghgsDxHKQXCJfcLyEoTPhMy8V3DVEQOTMSq85iun4rNCZFj7Qo_z6DMXIIOqm4RezA1a-PUMxcghbC-A1tIZzmQSbYxQWg6eMNOug_IaFTM9xLNbEYkL_bUHQHygyKDkX6ToWreW1qlVlYDXuEgueqqzkRAjJT3ApAhJC8uPqzzs7HQlrbwf-ckvvUWRVIqqsOhtdPlv8nM-fO128k2y1XnVbnV4LcqinLYdyqavlr9Zc1-x8eP42nDyidWV1jc5KuRlzIeQz37WaSpcXqJrZPb5gbpAFdl534y4Ec9u9tBTMNW-g60UWVvHyJXUTLXW6t9CT7PNeNjwe7w9GP0-y42ElOzgZnX7Tv0_3sqPDSvb-MDt4N_r-u6IBwy_jwfDs40D3jD_8yr7uV85-7Ga7R7dRsxE2gw2r-M6I1eGUWFQXk0OIpty2UClXMZU8jkDriUtTEalIQAoSp6QNUZ4diXZqK5XGMUvSNCVMUnoHLW93t9VdVLEjUouUk-g_z1mqfSMjCZOcJxDfMC5W0JqRvaUzaL37WvVakDGZxF5A8sFX0ENQirHIpZa5twDOKro2u5Pvo-V-b0c9gOi5H68Ze_4BHG6aU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E%90%EC%9C%A0%ED%95%99%EA%B8%B0%EC%A0%9C+%EC%97%B0%EA%B5%AC%ED%95%99%EA%B5%90%EC%9D%98+%EC%88%98%EC%97%85%EA%B3%BC+%EA%B5%90%EC%9C%A1%ED%99%9C%EB%8F%99%EC%9D%98+%ED%8A%B9%EC%A7%95+%EB%B6%84%EC%84%9D&rft.jtitle=%EA%B5%90%EA%B3%BC%EA%B5%90%EC%9C%A1%ED%95%99%EC%97%B0%EA%B5%AC%2C+18%284%29&rft.au=%EC%9D%B4%EC%9E%AC%EC%B0%BD&rft.au=%ED%99%8D%ED%9B%84%EC%A1%B0&rft.au=%EA%B9%80%EB%AF%B8%EC%A7%84&rft.au=%EC%9E%84%EC%9E%AC%EC%9D%BC&rft.date=2014-12-31&rft.pub=%EA%B5%90%EA%B3%BC%EA%B5%90%EC%9C%A1%EC%97%B0%EA%B5%AC%EC%86%8C&rft.issn=1975-3217&rft.eissn=2671-8324&rft.spage=1135&rft.epage=1161&rft_id=info:doi/10.24231%2Frici.2014.18.4.113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53691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5-3217&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5-3217&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5-3217&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