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이 배추의 생육과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 음식부산물 발생량은 연간 약 500만톤으로 그 중 70 %가량은 퇴비화 또는 사료화로 자원화되고 있다. 최근 비료공정규격상 음식부산물 건조분말(DFP)이 혼합유기질비료 및 유기복합비료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 적정사용기준에 대한 설정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집 시기별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의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이 혼합된 혼합유기질비료의 사용량에 따른 작물 및 토양화학성 변화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NF), 무기질비료처리구(NPK, N-P2O5-K2O=32-7....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농업생명과학연구 Vol. 56; no. 4; pp. 43 - 48
Main Authors 김성헌, 심재홍, 박성진, 이윤혜, 권순익, Seong-Heon Kim, Jae-Hong Shim, Seong-Jin Park, Yun-Hae Lee, Soon-Ik K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0.08.2022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5504
2383-8272

Cover

Table of Contents:
  •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특성조사 2. 음식물부산물 건조분말 사용량별 작물 재배시험 3. 토양 및 식물체 분석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국내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특성 2.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혼합 유기질비료의 사용량에 따른배추의 생산량 및 질소이용효율 3.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혼합유기질비료 사용에 따른 토양화학성 변화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