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이 배추의 생육과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 음식부산물 발생량은 연간 약 500만톤으로 그 중 70 %가량은 퇴비화 또는 사료화로 자원화되고 있다. 최근 비료공정규격상 음식부산물 건조분말(DFP)이 혼합유기질비료 및 유기복합비료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 적정사용기준에 대한 설정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집 시기별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의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이 혼합된 혼합유기질비료의 사용량에 따른 작물 및 토양화학성 변화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NF), 무기질비료처리구(NPK, N-P2O5-K2O=32-7....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농업생명과학연구 Vol. 56; no. 4; pp. 43 - 48
Main Authors 김성헌, 심재홍, 박성진, 이윤혜, 권순익, Seong-Heon Kim, Jae-Hong Shim, Seong-Jin Park, Yun-Hae Lee, Soon-Ik K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0.08.2022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5504
2383-8272

Cover

Abstract 국내 음식부산물 발생량은 연간 약 500만톤으로 그 중 70 %가량은 퇴비화 또는 사료화로 자원화되고 있다. 최근 비료공정규격상 음식부산물 건조분말(DFP)이 혼합유기질비료 및 유기복합비료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 적정사용기준에 대한 설정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집 시기별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의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이 혼합된 혼합유기질비료의 사용량에 따른 작물 및 토양화학성 변화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NF), 무기질비료처리구(NPK, N-P2O5-K2O=32-7.8-19.8 kg 10a-1),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단독처리구(DFP), 시판혼합유기질비료(MOF),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혼합유기질비료 처리구(DFPMOF)이며 DFPMOF 처리구는 100, 200, 400 및 600%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DFP, MOF 및 DFPMOF 처리구는 질소비료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비료처리를 하여 작물 재배실험을 진행하였다. 음식부산물의 화학적 특성은 시기별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중금속 함량 또한 기준에 적합한 수준이었다. 배추 생산량은 DFPMOF 처리구가 6,280 kg 10a-1로 NPK처리구(7,000 g kg-1)와 가장 유사하였으며 질소이용효율 또한 유사한 경향이었다. 토양 pH는 DFPMOF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EC, OM 및 Ex. K는 DFPMOF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를 통해 DFPMOF 는 질소비료사용량 기준으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적합할것으로 판단되나, 적정사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연용시험을 통한 환경영향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korea, food waste is produced more than 5 millions tons and which applroximately 70% was recycled through compost and feed. Recently, dried food waste powder (DFP) can be used raw materials for organic fertilizer.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chemical properties of DFP and the effect of DFP mixed organic fertilizer (DFPMOF) application on Chinese cabbage growth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Treatments consist of No fertilizer treatment (NF), inorganic fertilizer (IF, N-P2O5-K2O=32-7.8-19.8 kg 10a-1), DFP, MOF, DFPMOF (100, 200, 400 and 600%). DFP, MOF and DFPMOF treatment were fertilized based on the recommended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The yield and nitrogen efficiency of Chinese cabbage in DFPMOF 100% treatment (6,280 kg 10a-1 and 65.0%) were similar to that of NPK treatment (7,000kg 10a-1 and 63.3%). In DFPMOF 100, 200, 400, 600% treatment, pH had a tendency to decreased than that of IF and NF treatment. Otherwise, EC, OM and Ex.K has dendency to increased than that of IF treatmen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FPMOF 100% application could be best to prevent a nutrient accumulation of soil and to increase the yield. Further study should be required to evaluate long-term DFPMOF effect on soil properties and crop yield.
AbstractList 국내 음식부산물 발생량은 연간 약 500만톤으로 그 중 70 %가량은 퇴비화 또는 사료화로 자원화되고 있다. 최근 비료공정규격상 음식부산물 건조분말(DFP)이 혼합유기질비료 및 유기복합비료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 적정사용기준에 대한 설정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집 시기별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의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이 혼합된 혼합유기질비료의 사용량에 따른 작물 및 토양화학성 변화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NF), 무기질비료처리구(NPK, N-P2O5-K2O=32-7.8-19.8 kg 10a-1),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단독처리구(DFP), 시판혼합유기질비료(MOF),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혼합유기질비료 처리구(DFPMOF)이며 DFPMOF 처리구는 100, 200, 400 및 600%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DFP, MOF 및 DFPMOF 처리구는 질소비료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비료처리를 하여 작물 재배실험을 진행하였다. 음식부산물의 화학적 특성은 시기별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중금속 함량 또한 기준에 적합한 수준이었다. 배추 생산량은 DFPMOF 처리구가 6,280 kg 10a-1로 NPK처리구(7,000 g kg-1)와 가장 유사하였으며 질소이용효율 또한 유사한 경향이었다. 토양 pH는 DFPMOF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EC, OM 및 Ex. K는 DFPMOF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를 통해 DFPMOF 는 질소비료사용량 기준으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적합할것으로 판단되나, 적정사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연용시험을 통한 환경영향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korea, food waste is produced more than 5 millions tons and which applroximately 70% was recycled through compost and feed. Recently, dried food waste powder (DFP) can be used raw materials for organic fertilizer.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chemical properties of DFP and the effect of DFP mixed organic fertilizer (DFPMOF) application on Chinese cabbage growth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Treatments consist of No fertilizer treatment (NF), inorganic fertilizer (IF, N-P2O5-K2O=32-7.8-19.8 kg 10a-1), DFP, MOF, DFPMOF (100, 200, 400 and 600%). DFP, MOF and DFPMOF treatment were fertilized based on the recommended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The yield and nitrogen efficiency of Chinese cabbage in DFPMOF 100% treatment (6,280 kg 10a-1 and 65.0%) were similar to that of NPK treatment (7,000kg 10a-1 and 63.3%). In DFPMOF 100, 200, 400, 600% treatment, pH had a tendency to decreased than that of IF and NF treatment. Otherwise, EC, OM and Ex.K has dendency to increased than that of IF treatmen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FPMOF 100% application could be best to prevent a nutrient accumulation of soil and to increase the yield. Further study should be required to evaluate long-term DFPMOF effect on soil properties and crop yield.
국내 음식부산물 발생량은 연간 약 500만톤으로 그 중 70 %가량은 퇴비화 또는 사료화로 자원화되고 있다. 최근 비료공정규격상 음식부산물건조분말(DFP)이 혼합유기질비료 및 유기복합비료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 적정사용기준에 대한 설정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본 연구는 수집 시기별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의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이 혼합된 혼합유기질비료의 사용량에 따른 작물및 토양화학성 변화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NF), 무기질비료처리구(NPK, N-P2O5-K2O=32-7.8-19.8 kg 10a-1), 음식부산물건조분말 단독처리구(DFP), 시판혼합유기질비료(MOF),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혼합유기질비료 처리구(DFPMOF)이며 DFPMOF 처리구는 100, 200, 400 및 600%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DFP, MOF 및 DFPMOF 처리구는 질소비료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비료처리를 하여 작물 재배실험을진행하였다. 음식부산물의 화학적 특성은 시기별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중금속 함량 또한 기준에 적합한 수준이었다. 배추 생산량은DFPMOF 처리구가 6,280 kg 10a-1로 NPK처리구(7,000 g kg-1)와 가장 유사하였으며 질소이용효율 또한 유사한 경향이었다. 토양 pH는 DFPMOF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EC, OM 및 Ex. K는 DFPMOF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를 통해 DFPMOF 는 질소비료사용량 기준으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적합할것으로 판단되나, 적정사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연용시험을 통한 환경영향평가가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korea, food waste is produced more than 5 millions tons and which applroximately 70% was recycled through compost and feed. Recently, dried food waste powder (DFP) can be used raw materials for organic fertilizer.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chemical properties of DFP and the effect of DFP mixed organic fertilizer (DFPMOF) application on Chinese cabbage growth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Treatments consist of No fertilizer treatment (NF), inorganic fertilizer (IF, N-P2O5-K2O=32-7.8-19.8 kg 10a-1), DFP, MOF, DFPMOF (100, 200, 400 and 600%). DFP, MOF and DFPMOF treatment were fertilized based on the recommended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The yield and nitrogen efficiency of Chinese cabbage in DFPMOF 100% treatment (6,280 kg 10a-1 and 65.0%) were similar to that of NPK treatment (7,000kg 10a-1 and 63.3%). In DFPMOF 100, 200, 400, 600% treatment, pH had a tendency to decreased than that of IF and NF treatment. Otherwise, EC, OM and Ex.K has dendency to increased than that of IF treatmen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FPMOF 100% application could be best to prevent a nutrient accumulation of soil and to increase the yield. Further study should be required to evaluate long-term DFPMOF effect on soil properties and crop yield. KCI Citation Count: 0
Author 박성진
Jae-Hong Shim
권순익
Yun-Hae Lee
심재홍
이윤혜
Seong-Heon Kim
Soon-Ik Kwon
김성헌
Seong-Jin Park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성헌
– sequence: 2
  fullname: 심재홍
– sequence: 3
  fullname: 박성진
– sequence: 4
  fullname: 이윤혜
– sequence: 5
  fullname: 권순익
– sequence: 6
  fullname: Seong-Heon Kim
– sequence: 7
  fullname: Jae-Hong Shim
– sequence: 8
  fullname: Seong-Jin Park
– sequence: 9
  fullname: Yun-Hae Lee
– sequence: 10
  fullname: Soon-Ik Kwo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6977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kMtKw0AARQepYK39h4A7ITCPTDKzLMVHoSBIwWWYyUNrSgIJ7n0UF-qihVpbMGAX4kYwxVIU-kXN5B8s1tXZHC6Huw1KYRR6G6CMCSM6wxYugTKinOmUQmMLVJOkLSFEyGAWI2VwqtJH9ZDm8yt1k-UfC205nalJls-7-XtPpTMtzzI1H6h0pKnbVL1Mll8Lrbh7VcN-MR4UT2PVnarnnpZ_fqufUX4_0NTouhi-7YBNX3QSr_rPCmgd7LfqR3rz-LBRrzX1wCRQ932JhKDUE8iAXDKJPElM6RiWyV1ocRdxQSWXHDsedzGTmEKXIQwdS1DLQKQC9tazYezbgdO2I9H-41lkB7FdO2k1bAQhsSCGK3l3LQdR7InEOY86IrYvoss4XCXaBjJXr5Bf4K16N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KROLR
ACYCR
DatabaseName Korea Scholar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Effects of Dried Food Waste Powder on Growth of Chinese Cabbage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EISSN 2383-8272
EndPage 4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037020
416148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KROLR
M~E
ACYCR
ID FETCH-LOGICAL-k630-ffb1aa55ea1409b8b1eb36bc4769d079d19a5b9b92ce9d28b250d8120c7a57413
ISSN 1598-5504
IngestDate Tue Nov 21 21:44:44 EST 2023
Sun Jun 22 04:11:49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4
Keywords Dried food waste powder
Nitrogen use efficiency
배추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질소이용효율
토양화학성
Chinese cabbage
Soil chemical property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30-ffb1aa55ea1409b8b1eb36bc4769d079d19a5b9b92ce9d28b250d8120c7a57413
PageCount 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037020
koreascholar_journals_41614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208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2-08-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22
  text: 202208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농업생명과학연구
PublicationYear 2022
Publisher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Publisher_xml – name: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name: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SID ssib001148783
ssib008451562
ssib009283157
ssib044743270
Score 2.1906488
Snippet 국내 음식부산물 발생량은 연간 약 500만톤으로 그 중 70 %가량은 퇴비화 또는 사료화로 자원화되고 있다. 최근 비료공정규격상 음식부산물 건조분말(DFP)이 혼합유기질비료 및 유기복합비료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 적정사용기준에 대한 설정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국내 음식부산물 발생량은 연간 약 500만톤으로 그 중 70 %가량은 퇴비화 또는 사료화로 자원화되고 있다. 최근 비료공정규격상 음식부산물건조분말(DFP)이 혼합유기질비료 및 유기복합비료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 적정사용기준에 대한 설정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본 연구는...
SourceID nrf
koreascholar
SourceType Open Website
Aggregation Database
StartPage 43
SubjectTerms 자연과학일반
TableOfContents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특성조사 2. 음식물부산물 건조분말 사용량별 작물 재배시험 3. 토양 및 식물체 분석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국내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특성 2.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혼합 유기질비료의 사용량에 따른배추의 생산량 및 질소이용효율 3.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혼합유기질비료 사용에 따른 토양화학성 변화 감사의 글 References
Title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이 배추의 생육과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URI 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14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69772
Volume 5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농업생명과학연구, 2022, 56(4), , pp.43-4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V3Na9RQEH-0PXkRRcVqlYDmVCL5eEneOybZLVXQU8XelnyKLHShthcP4kfxoB4q1NqCC_YgIghusRSF_kXN2__BmUnazYpIFS9hdt5kZt5Mdt9v3iYTxq5bqZ1hGxeDc7sweOoXRlLErgHoPs4tWpGo2-cdb_4uv7XoLk5Mfm7ctbS6ktxIH_32uZJ_ySrwIK_4lOxfZPZYKTCAhvzCETIMxxPlWG9HumzpIkJChEi3Qz308PYF5Nh6aCIniPQwmtXbgR5aeshxLLDqMZTmJOTr0qw1hnyWxkwSilBI8npMillS7pA5YJEy1O1UVsAhTw8qVXCehRwpSQEQLtJ4PkdnUAbtkrlgTg8FmQNpgRwRwGlkDj6LShPodpuQmuRgEq1amXAb7oHSgDi1e2MugDBOD4ZcDBFcbK4HgJs3dkdoVB7Fs3K5RVaikQjFPqAkyDYRNGHRGolQLKU7NnEIuOBNLRT4o5BW0RJANzdmoKbHnWbz-Kv032aPHLiCzOYqJYUBpWXlY048gF6OIezqPUj1alQ1wKpxTdXQdLzj-C9IYKzneDd90Lnf63SXO1BZ3cTe1o4PtcUkm3QsXFBuP26PcDcU1c2_gwUHmNzoQykBxDaaOnEOuNWmFzkeTwWAX7eHz2FUezoA9ZaWiwbUWzjDTtc1mhZUX7izbKLbO8fuqf5r9apf7j9RzwbllwPtcHdP7QzK_bXy07rq72nlYKD2N1R_S1PP--r9zuG3A2344oPafDPc3hi-3VZru-rdulZ-_a5-bJUvNzS19XS4-fE8W5hrL0TzRv1WEqPrOaZRFIkVx66bx9gqLhGJlSeOl6Tc92Rm-jKzZOwmMpF2msvMFgnUGBmgaDP1Yxfgu3OBTS31lvKLTEtty3EzL7as3OcCSvVYZDEcM7OIbYfb02ymGZJO_cvzsIObElxMs2sQIsrTH_J16URSl9mp0SU8w6ZWllfzK4C2V5KrlOmfa5mrh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D%8C%EC%8B%9D%EB%B6%80%EC%82%B0%EB%AC%BC+%EA%B1%B4%EC%A1%B0%EB%B6%84%EB%A7%90%EC%9D%B4+%EB%B0%B0%EC%B6%94%EC%9D%98+%EC%83%9D%EC%9C%A1%EA%B3%BC+%ED%86%A0%EC%96%91%ED%99%94%ED%95%99%EC%84%B1%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rft.jtitle=%EB%86%8D%EC%97%85%EC%83%9D%EB%AA%85%EA%B3%BC%ED%95%99%EC%97%B0%EA%B5%AC%2C+56%284%29&rft.au=%EA%B9%80%EC%84%B1%ED%97%8C&rft.au=%EC%8B%AC%EC%9E%AC%ED%99%8D&rft.au=%EB%B0%95%EC%84%B1%EC%A7%84&rft.au=%EC%9D%B4%EC%9C%A4%ED%98%9C&rft.date=2022-08-30&rft.pub=%EB%86%8D%EC%97%85%EC%83%9D%EB%AA%85%EA%B3%BC%ED%95%99%EC%97%B0%EA%B5%AC%EC%9B%90&rft.issn=1598-5504&rft.eissn=2383-8272&rft.spage=43&rft.epage=48&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03702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550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550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550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