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사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시설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시설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수행한 외국의 사례를 비교ㆍ분석하고 평가하여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함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도시재생사업으로 한정하고, 연구범위로서 시간적범위는 도시재생이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로 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한국과 유럽으로 하였으며, 내용적으로는 문화시설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접근방법은 행정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였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부동산학회지 no. 28; pp. 221 - 235
Main Authors 윤용건(Yoon, Yong Keon), 김봉준(Kim, Bong Joon), 이범관(Lee, Beom Gw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부동산학회 30.06.2009
Korea Real Estate Societ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1054
2713-6981

Cov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시설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수행한 외국의 사례를 비교ㆍ분석하고 평가하여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함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도시재생사업으로 한정하고, 연구범위로서 시간적범위는 도시재생이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로 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한국과 유럽으로 하였으며, 내용적으로는 문화시설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접근방법은 행정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였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사례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재생사업은 도시환경의 개선과 함께 관광객 유치에 따른 경제적 상승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시설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은 도시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산업과 민간투자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재생사업의 문화 예술시설 확충 및 체계적 운영을 위한 제도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평가된 내용을 토대로 한국의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문화예술시설의 건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정(가칭), 둘째,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지재생 모형 구축 셋째, 도시재생 거버넌스의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y comparing, analyzing, and evaluating cases of such projects made successful in other countries by using cultural facilities. In order to efficiently achieve this research aim,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scope embraced the period from the 1980s when urban regeneration began to be raised as a social issue to the present.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set to present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y using cultural facilities while spatial subjects had the Republic of Korea and Europe.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research were conducted as for research methods while administrative approaches were applied. As for the analytic methodology, case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from analyses, establishment of (tentatively named) ‘the Act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ultural and Arts Facilities’, a model to construct the urban regeneration model using culture and arts, and finally, the private-public cooperation were found to be necessary. KCI Citation Count: 7
AbstractList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시설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수행한 외국의 사례를 비교ㆍ분석하고 평가하여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함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도시재생사업으로 한정하고, 연구범위로서 시간적범위는 도시재생이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로 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한국과 유럽으로 하였으며, 내용적으로는 문화시설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접근방법은 행정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였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사례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재생사업은 도시환경의 개선과 함께 관광객 유치에 따른 경제적 상승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시설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은 도시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산업과 민간투자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재생사업의 문화 예술시설 확충 및 체계적 운영을 위한 제도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평가된 내용을 토대로 한국의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문화예술시설의 건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정(가칭), 둘째,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지재생 모형 구축 셋째, 도시재생 거버넌스의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y comparing, analyzing, and evaluating cases of such projects made successful in other countries by using cultural facilities. In order to efficiently achieve this research aim,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scope embraced the period from the 1980s when urban regeneration began to be raised as a social issue to the present.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set to present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y using cultural facilities while spatial subjects had the Republic of Korea and Europe.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research were conducted as for research methods while administrative approaches were applied. As for the analytic methodology, case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from analyses, establishment of (tentatively named) ‘the Act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ultural and Arts Facilities’, a model to construct the urban regeneration model using culture and arts, and finally, the private-public cooperation were found to be necessary. KCI Citation Count: 7
Author 김봉준(Kim, Bong Joon)
윤용건(Yoon, Yong Keon)
이범관(Lee, Beom Gwa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윤용건(Yoon, Yong Keon)
– sequence: 2
  fullname: 김봉준(Kim, Bong Joon)
– sequence: 3
  fullname: 이범관(Lee, Beom Gwa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5329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kD1Lw0Achw9RsNZ-hyziFLjX3GUsxZdCQSjdj-SSSInkoHVxE41TBxXUKqSiUAchQwcFBz9R8-93sFqnZ3l-z_DbQuuZzeI1VKOSMNfzFVlHNUKpcAkWfBM1hsN-iDmXjGNJa6hbXecwKuC5hMsJXJQwvoLJo1PNCnjJq9n74uENxjfO_ON8cV84MJ7NP0vHdarya_F09zvMpzDJHZjewqiE4rt6LbbRRhKcDOPGP-uot7_Xax26naODdqvZcVOPKpcEhAlJY-5xwhmN4shXXMrAD1hkCPMjbpgJImFwKIzCyk8ST8ilEFLBE4ZZHe2ustkg0anpaxv0_3hsdTrQzW6vrblSQi3NnZWZntnQ6tDa1MTZaTzQHBOMqaSepMtHfgDxFXOr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atabaseName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 Study on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 with a focus on cultural facilities
EISSN 2713-6981
EndPage 23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48858
4010027267247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k628-1a13572e4641432ded98477a9a3dc139d4c3cad5c0b5c8089ff65777ab254f303
ISSN 1225-1054
IngestDate Tue Nov 21 21:09:45 EST 2023
Tue Feb 18 15:20:44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8
Keywords urban regeneration project
문화시설
cultural facilities 도시재생사업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28-1a13572e4641432ded98477a9a3dc139d4c3cad5c0b5c8089ff65777ab254f303
Notes G704-SER000009102.2009.27.1.005
PageCount 15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48858
kyobo_bookcenter_4010027267247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9-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09-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09
  text: 2009-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대한부동산학회지
PublicationYear 2009
Publisher 대한부동산학회
Korea Real Estate Society
Publisher_xml – name: Korea Real Estate Society
– name: 대한부동산학회
SSID ssib044734072
ssib009283249
ssib001148863
Score 1.4169531
Snippet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시설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수행한 외국의 사례를 비교ㆍ분석하고 평가하여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함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도시재생사업으로 한정하고, 연구범위로서 시간적범위는 도시재생이 사회적...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21
SubjectTerms 국제/지역개발
TableOfContents 서 론 Ⅱ. 도시재생과 문화시설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도시재생의 개념 2. 도시재생의 필요성 3. 문화시설의 분류 Ⅲ. 문화시설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 분석 1. 사례의 선정 2. 사례분석 3. 평가 Ⅳ. 도시재생사업의 발전방향 1. “문화예술시설의 건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정(가칭) 2. 문화시설을 활용한 도시재생 모형 구축 3. 도시재생 거버넌스 구축 Ⅴ. 결 론
Title 도시재생사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시설을 중심으로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726724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5329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대한부동산학회지, 2009, 27(1), 28, pp.221-235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pR1NaxQxNLQ9eRFFxfpR5mBOZcpMJpkkx5ndKVWoB1mht2HnS2ShC0t7qAcRXU89qKBWYSsK9SDsoQcFD_6ibvoffMmk3VlR_LoM2Zf38r5mkvdmkzcI3WD6n90gC9ySeIVLu7R0u35QuEGeFbq2TBXm-uzw-u1w7S69tcE25uazxq6l7a1sJX_w03Ml_-JVgIFf9SnZv_Ds6aAAgDb4F67gYbj-kY9xEmOxigXFSQuLGMuWbsgER6YhAizbpkEsRHIsmGm0sRTLmj72LFnkmYEMJJI4AYwQR8ySSQ-wIxxTvTVC9zEgW7adQKH7GHBZds2owC4WBk9iOSseMImolUFQMwT8lr5FsoICfcsM5EO7GUEbnVtNKYzMoYEYcwDLWuf4FKdWJ9KEmh3XyHBvEa7LVDVehljWVr7I2AEU80HvKQoApOWmzSGtBsKbGaWtOzUKMQawppt5ySJPdgTax-I_VWusLzB9wspX181eKQ2McD9wQ1l_ueZkHamPjduQhNQVXWarhf-wis_UC-_l99N7_bQ3SCErupnCJM3EPJoPfL0SrD9MpgEzZMOiUYBN6i9XTRNySnmgK-jptxYnkkMW19vpZ30IxjYHVSMY65xDZ20W5UT1I3EezfX6F9CdybOh2h2pd2P1ZF89Hqu9p2r_jTM5HKn3w8nhp-PXH9Xec-fo86PjVyNH7R0efRk7rjMZfz1--1ITDg_U_tBRBy_U7liNvk0-jC6izmrSaa259pMhbi8kwvVhnmGclDSkkAeQoiwkRF-8K7tBkUOuU9A8yLsFy72M5cITsqpCxgEhI4xWEM1dQgub_c3yMnJE5cmKhXlQco9mQOt5VShJF_J1XhaULaIlY4ZUJ8N6I3U5SKmnCxpzEnJC-SJywD7GFb9yyZXfo1xFZ6b34zW0sDXYLq9DGLyVLRlPfgeYx44l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F%84%EC%8B%9C%EC%9E%AC%EC%83%9D%EC%82%AC%EC%97%85%EC%9D%98+%EB%B0%9C%EC%A0%84%EB%B0%A9%ED%96%A5%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EB%AC%B8%ED%99%94%EC%8B%9C%EC%84%A4%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B%8C%80%ED%95%9C%EB%B6%80%EB%8F%99%EC%82%B0%ED%95%99%ED%9A%8C%EC%A7%80%2C+27%281%29&rft.au=%EC%9C%A4%EC%9A%A9%EA%B1%B4&rft.au=%EA%B9%80%EB%B4%89%EC%A4%80&rft.au=%EC%9D%B4%EB%B2%94%EA%B4%80&rft.date=2009-06-30&rft.pub=%EB%8C%80%ED%95%9C%EB%B6%80%EB%8F%99%EC%82%B0%ED%95%99%ED%9A%8C&rft.issn=1225-1054&rft.eissn=2713-6981&rft.spage=221&rft.epage=23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4885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105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105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105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