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의 첨가 형태에 따른 식혜의 품질특성

마늘을 이용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식혜를 제조 조건을 확립하고자 동결건조한 생마늘 분말 및 증숙마늘 분말을 마늘식혜 제조 시 농도별로 첨가하여 당화 1, 3, 6 시간 후 시료를 취해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마늘 식혜의 pH는 당화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을 첨가한 식혜는 대조구에 비해 알칼리화 되는 경향이었고 증숙마늘 분말 2% 첨가군(6.65±0.56)이 가장 높았다. 당화 1시간 후 당도는 1.60±0.10~ 2.03±0.06 brix에서 당화 6시간 후에는 3.60±0.2 brix 이상으로 높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농업생명과학연구 Vol. 47; no. 5; pp. 247 - 255
Main Authors 강민정, 신정혜, 주종찬, Min-Jung Kang, Jung-Hye Shin, Jong-Chan Ju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1.10.2013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5504
2383-8272

Cover

Abstract 마늘을 이용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식혜를 제조 조건을 확립하고자 동결건조한 생마늘 분말 및 증숙마늘 분말을 마늘식혜 제조 시 농도별로 첨가하여 당화 1, 3, 6 시간 후 시료를 취해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마늘 식혜의 pH는 당화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을 첨가한 식혜는 대조구에 비해 알칼리화 되는 경향이었고 증숙마늘 분말 2% 첨가군(6.65±0.56)이 가장 높았다. 당화 1시간 후 당도는 1.60±0.10~ 2.03±0.06 brix에서 당화 6시간 후에는 3.60±0.2 brix 이상으로 높아졌으며, 마늘분말 첨가군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당 함량은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 높았고, 당화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환원당은 총당과 유사한 경향으로 당화 1시간에는 마늘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당화 6시간 후에는 대조군이 7.20±0.10g/100 g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탁도와 착색도는 당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마늘 식혜의 관능평가 결과 당액의 색은 대조군이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마늘냄새는 증숙마늘 첨가군보다 생마늘 첨가군이 더 높았다. 감미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마늘분말 첨가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의 첨가는 식혜의 초기당화를 지연시키지만 무첨가군과 동일한 당화 경향을 나타내며, 6%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관능적인 특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Sikhye added with 2 and 6% of fresh and steamed garlic powder, respectively, at 60℃ for 6 hrs. Each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at 1, 3, and 6 hours after saccharification. The pH of Sikhe were increased by saccharification time longer and it was the highest in steamed garlic powder 2% added group. Also, the brix was increased with the saccharification time longer and significantly higher in garlic powder addition groups than control group. After 1 hr saccharification, total sugar content of control group was 4.03±0.18 g/100 g, garlic addition groups were 8.91±1.39~11.25±0.97 g/100 g and significantly higher, but after 6 hrs saccharification Samples had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moung experimental groups. Reducing sugar content of steamed garlic powder 6% added group(2.97±0.02 mg/mL) was the highest. Turbidity and discoloration degree were increased during saccharificati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ye with 2% garlic powder added group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addition of steamed garlic powder below 6% and fresh garlic powder below 2% has no impact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ye.
AbstractList 마늘을 이용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식혜를 제조 조건을 확립하고자 동결건조한 생마늘 분말 및 증숙마늘 분말을 마늘식혜 제조 시 농도별로 첨가하여 당화 1, 3, 6 시간 후 시료를 취해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마늘 식혜의 pH는 당화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을 첨가한 식혜는 대조구에 비해 알칼리화 되는 경향이었고 증숙마늘 분말 2% 첨가군(6.65±0.56)이 가장 높았다. 당화 1시간 후 당도는 1.60±0.10~ 2.03±0.06 brix에서 당화 6시간 후에는 3.60±0.2 brix 이상으로 높아졌으며, 마늘분말 첨가군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당 함량은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 높았고, 당화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환원당은 총당과 유사한 경향으로 당화 1시간에는 마늘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당화 6시간 후에는 대조군이 7.20±0.10g/100 g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탁도와 착색도는 당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마늘 식혜의 관능평가 결과 당액의 색은 대조군이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마늘냄새는 증숙마늘 첨가군보다 생마늘 첨가군이 더 높았다. 감미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마늘분말 첨가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의 첨가는 식혜의 초기당화를 지연시키지만 무첨가군과 동일한 당화 경향을 나타내며, 6%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관능적인 특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Sikhye added with 2 and 6% of fresh and steamed garlic powder, respectively, at 60℃ for 6 hrs. Each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at 1, 3, and 6 hours after saccharification. The pH of Sikhe were increased by saccharification time longer and it was the highest in steamed garlic powder 2% added group. Also, the brix was increased with the saccharification time longer and significantly higher in garlic powder addition groups than control group. After 1 hr saccharification, total sugar content of control group was 4.03±0.18 g/100 g, garlic addition groups were 8.91±1.39~11.25±0.97 g/100 g and significantly higher, but after 6 hrs saccharification Samples had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moung experimental groups. Reducing sugar content of steamed garlic powder 6% added group(2.97±0.02 mg/mL) was the highest. Turbidity and discoloration degree were increased during saccharificati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ye with 2% garlic powder added group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addition of steamed garlic powder below 6% and fresh garlic powder below 2% has no impact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ye.
마늘을 이용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식혜를 제조하고자 마늘분말의 형태 및 양을 달리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고자 동결건조한 생마늘 분말 및 증숙마늘 분말을 마늘식혜 제조 시 농도별로 첨가하여 당화 1, 3, 6 시간 후 시료를 취해 마늘식혜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마늘 식혜의 pH는 당화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을 첨가한 식혜는 대조구에 비해 알칼리화 되는 경향이었고 증숙마늘 분말 2% 첨가군(6.65±0.56)이 가장 높았다. 당화 1시간 후 당도는 1.60±0.10~2.03±0.06 brix에서 당화 6시간 후에는 3.60±0.2 brix 이상으로 높아졌으며, 마늘분말 첨가군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당 함량은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 높았고, 당화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환원당은 총당과 유사한 경향으로 당화 1시간에는 마늘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당화 6시간 후에는 대조군이 7.20±0.10 g/100 g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탁도와 착색도는 당화 시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마늘 식혜의 관능평가 결과 당액의 색은 대조군이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마늘냄새는 증숙마늘 첨가군보다 생마늘 첨가군이 더 높았다. 감미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마늘분말 첨가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의 첨가는 식혜의 초기당화를 지연시키지만 무첨가군과 동일한 당화 경향을 나타내며, 6%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관능적인 특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Sikhe added with 2 and 6% of fresh and steamed garlic powder, respectively, at 60℃ for 6 hr. Each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at 1, 3, and 6 hours after saccharification. The pH of Sikhe were increased by saccharification time longer and it was the highest in steamed garlic powder 2% added group. Also, the brix was increased with the saccharification time longer and significantly higher in garlic powder addition groups than control group. After 1 hr saccharification, total sugar content of control group was 4.03±0.18 g/100 g, garlic addition groups were 8.91±1.39~11.25±0.97 g/100 g and significantly higher, but after 6 hr saccharification h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moung experimental groups. Reducing sugar content of steamed garlic powder 6% added group(2.97±0.02 mg/mL) was the highest. Turbidity and discoloration degree were increased during saccharificati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e with 2% garlic powder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addition of steamed garlic powder below 6% and fresh garlic powder below 2% has no impact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e. KCI Citation Count: 6
Author 주종찬
Jong-Chan Ju
강민정
신정혜
Min-Jung Kang
Jung-Hye Shi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강민정
– sequence: 2
  fullname: 신정혜
– sequence: 3
  fullname: 주종찬
– sequence: 4
  fullname: Min-Jung Kang
– sequence: 5
  fullname: Jung-Hye Shin
– sequence: 6
  fullname: Jong-Chan Ju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1795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j1Lw0AAxvFDKhhrv0PAxSVwL7nL3ViKL4WCINmPy-VOY0oCCe6CDqEuIkoztKPUsTrpVzLJd7Bap__y4-HZB70sz8wOcDDhxOM4wD3gICq4Ryn098CgLJMIQoR8HnDiAN6sqmZWt8vabT_evte3ble_dHeLdv7oNs_r5vXTbR-WXb34Fd1T1a6qbvbV3r8fgF2rpqUZ_LcPwpPjcHTmTc5Px6PhxEsZEh4nGAsMY2UjS5nhCiJhrKKCBdCHWpiIaB1HWmFsjUDastjXmpCAGYQoDkgfHG1ns8LKVCcyV8lfL3OZFnJ4EY4l44xTsaGHW5rmhVGlvsqnqpDX-U2RbQ5KzCGBPvkBkMhj5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KROLR
ACYCR
DatabaseName Korea Scholar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Prepared wit Garlic Powder and Steamed Garlic Powder
EISSN 2383-8272
EndPage 25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686859
280304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KROLR
M~E
ACYCR
ID FETCH-LOGICAL-k619-8322920dafbf56e8a019efa5967040c9eb3ccdbca22fe91cf6d4cc3376e115273
ISSN 1598-5504
IngestDate Tue Nov 21 21:47:09 EST 2023
Sun Jun 22 04:11:49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5
Keywords Sikhe
Garlic powder
마늘분말
식혜
Saccharification time
관능적 특성
당화시간
Sensory characteristic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19-8322920dafbf56e8a019efa5967040c9eb3ccdbca22fe91cf6d4cc3376e115273
Notes G704-001926.2013.47.5.014
PageCount 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686859
koreascholar_journals_28030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310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3-10-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0
  year: 2013
  text: 201310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농업생명과학연구
PublicationYear 2013
Publisher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Publisher_xml – name: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name: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SID ssib001148783
ssib008451562
ssib009283157
ssib044743270
Score 1.8502841
Snippet 마늘을 이용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식혜를 제조 조건을 확립하고자 동결건조한 생마늘 분말 및 증숙마늘 분말을 마늘식혜 제조 시 농도별로 첨가하여 당화 1, 3, 6 시간 후 시료를 취해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마늘 식혜의 pH는 당화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생마늘 및 증숙마늘...
마늘을 이용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식혜를 제조하고자 마늘분말의 형태 및 양을 달리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고자 동결건조한 생마늘 분말 및 증숙마늘 분말을 마늘식혜 제조 시 농도별로 첨가하여 당화 1, 3, 6 시간 후 시료를 취해 마늘식혜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마늘 식혜의 pH는...
SourceID nrf
koreascholar
SourceType Open Website
Aggregation Database
StartPage 247
SubjectTerms 자연과학일반
Title 마늘의 첨가 형태에 따른 식혜의 품질특성
URI 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30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17952
Volume 4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농업생명과학연구, 2013, 47(5), , pp.247-255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R3BbtMwNNp24oJAgBgMVCR8moISO3btY5J2GkPlVKTdosRN0FSplUZ34YCQ4FCNC0IgetiOaBwHJ_glmv4D7zluExBCgLgk1nvPz-_5JXnvJfGz49yVXia8lAauV0CKEqjcdxVNPdfXqs2LTLHCxwXOvYdi91Gwt8_319Z146-lo0l2Tz_95bqSf7EqwMCuuEr2Lyy7YgoAaIN94QgWhuMf2Zh0IxK2iZTYkCFR0IiJ6kBjG1sRJSGAQhJ5RHoAQgxRHBuSERUb8jZRiIuICpAQeXISVRxkhOxsv7jJHU7UjBwvReigCJEy3YCT34x7jYCCyI4dUXJDxgx3GDA0EOjOSBQb5pwoZYlRKEBxUteJtEqhKtB7x3QCQRBSkxjxAbbErPRokoRs2ZlaqYBvPVDvYOTuwQNx-0Fqfbx9ReKzhm_Bi9qIREnUsZpJfyl1paIwKJiGGP8uqVU0NNYC_2OKDATM5jX9jZIuJInVO5XcwCCIYq6k7R-cVFWW1N6MvOlxLKYKXmhV8_inEuK4AxnWzF1nPrqC3rNuHTFDOtz8kCsDCHAbFSQVhJ-NckxBABEnNVswrkSHkG04xhUU1dsYCNJGh0UjSOtfci7a7KoVVrfKZWdtOL7iyPnZdH48K09nrfLzx2_nz1uL2bvFi5Py_evW_O35_MOXVvnqdDE7QYrFm2l5Nl0cfy1ffrrq9He6_XjXtRuGuEPhKxedk6LeIC2ygotcppC-5EXKlWiDq9Iqz5jWg0ynlBa58nUhBoHWDFxs7uPuzuyaszEaj_LrTosLyGtYkUOEmwZaDNLMZ6IoIDnRaT7gdNPZauqc2IfCk6Sa6k3nDsxBMtQHCZZvx_PjcTI8TCBJvZ8IKSRXN37P4qZzob6Ut5yNyeFRfgvi30l221jwOyPVhL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A7%88%EB%8A%98%EC%9D%98+%EC%B2%A8%EA%B0%80+%ED%98%95%ED%83%9C%EC%97%90+%EB%94%B0%EB%A5%B8+%EC%8B%9D%ED%98%9C%EC%9D%98+%ED%92%88%EC%A7%88%ED%8A%B9%EC%84%B1&rft.jtitle=%EB%86%8D%EC%97%85%EC%83%9D%EB%AA%85%EA%B3%BC%ED%95%99%EC%97%B0%EA%B5%AC&rft.au=%EA%B0%95%EB%AF%BC%EC%A0%95&rft.au=%EC%8B%A0%EC%A0%95%ED%98%9C&rft.au=%EC%A3%BC%EC%A2%85%EC%B0%AC&rft.au=Min-Jung+Kang&rft.date=2013-10-31&rft.pub=%EA%B2%BD%EC%83%81%EA%B5%AD%EB%A6%BD%EB%8C%80%ED%95%99%EA%B5%90+%EB%86%8D%EC%97%85%EC%83%9D%EB%AA%85%EA%B3%BC%ED%95%99%EC%97%B0%EA%B5%AC%EC%9B%90&rft.issn=1598-5504&rft.eissn=2383-8272&rft.volume=47&rft.issue=5&rft.spage=247&rft.epage=255&rft.externalDocID=28030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550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550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550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