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바인 배기열을 이용한 곡물건조 기초연구

콤바인을 이용하여 수확하는 곡물은 일반적으로 저장에 용이한 적정함수율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 이것은 곡물의 수확과정에서 손실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이지만, 수확 후 현장에서 자연건조를 통한 저장 시 필요로 하는 적정함수율까지 낮추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곡물을 수확한 후, 저장 시 필요한 적정함수율을 맞추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화석연료 등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곡물건조기 등에 사용되는 화석연료는 곡물건조 시 온실가스의 배출 등의 환경 문제뿐만 아니라, 농가에서는 경제적인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농업생명과학연구 Vol. 48; no. 5; pp. 171 - 179
Main Authors 진병옥, 이민호, 김치호, 박태종, 김명일, 김현태, Byung-Ok Jin, Min-Ho Lee, Chi-Ho Kim, Tae-Jong Park, Myeong-Il Kim, Hyeon-Tae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1.10.2014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5504
2383-8272
DOI10.14397/jals.2014.48.5.171

Cover

Abstract 콤바인을 이용하여 수확하는 곡물은 일반적으로 저장에 용이한 적정함수율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 이것은 곡물의 수확과정에서 손실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이지만, 수확 후 현장에서 자연건조를 통한 저장 시 필요로 하는 적정함수율까지 낮추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곡물을 수확한 후, 저장 시 필요한 적정함수율을 맞추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화석연료 등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곡물건조기 등에 사용되는 화석연료는 곡물건조 시 온실가스의 배출 등의 환경 문제뿐만 아니라, 농가에서는 경제적인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곡물 건조를 위해서 수확과정에서 콤바인 배기열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콤바인의 선별부와 이송부를 실제 제원과 동일하게 제작한 뒤 배기열을 이용하여서 곡물의 함수율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실험장치에서 평균 0.166, 0.126%의 곡물 함수율이 감소하였고, 전체적으로 약 0.3%의 함수율이 감소되었다. 이는 배기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방법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Grain dryers using oil as fuel raise problems of releasing greenhouse gases and is an economic burden on far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ge of exhaust heat, and for the purpose, fundament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what method to dry grains simultaneously while harvesting by applying exhaust heat to a major part of the combin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duction of the moisture contents in serial should lead to the drop of the amounts of used oil and released greenhouse gases. The sorting and conveying systems of grain drier were manufactured with identical specification with real one and the change rate of moisture contents in serial was measured by using exhaust hea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s in sorting and conveying systems decreased by 0.166 and 0.126%, respectively, leading to a total of 0.3% of decrease in moisture rates.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use exhaust heat in drying grains.
AbstractList 콤바인을 이용하여 수확하는 곡물은 일반적으로 저장에 용이한 적정함수율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 이것은 곡물의 수확과정에서 손실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이지만, 수확 후 현장에서 자연건조를 통한 저장 시 필요로 하는 적정함수율까지 낮추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곡물을 수확한 후, 저장 시 필요한 적정함수율을 맞추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화석연료 등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곡물건조기 등에 사용되는 화석연료는 곡물건조 시 온실가스의 배출 등의 환경 문제뿐만 아니라, 농가에서는 경제적인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곡물 건조를 위해서 수확과정에서 콤바인 배기열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콤바인의 선별부와 이송부를 실제 제원과 동일하게 제작한 뒤 배기열을 이용하여서 곡물의 함수율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실험장치에서 평균 0.166, 0.126%의 곡물 함수율이 감소하였고, 전체적으로 약 0.3%의 함수율이 감소되었다. 이는 배기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방법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Grain dryers using oil as fuel raise problems of releasing greenhouse gases and is an economic burden on far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ge of exhaust heat, and for the purpose, fundament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what method to dry grains simultaneously while harvesting by applying exhaust heat to a major part of the combin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duction of the moisture contents in serial should lead to the drop of the amounts of used oil and released greenhouse gases. The sorting and conveying systems of grain drier were manufactured with identical specification with real one and the change rate of moisture contents in serial was measured by using exhaust hea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s in sorting and conveying systems decreased by 0.166 and 0.126%, respectively, leading to a total of 0.3% of decrease in moisture rates.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use exhaust heat in drying grains.
콤바인을 이용하여 수확하는 곡물은 일반적으로 저장에 용이한 적정함수율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 이것은 곡물의 수확과정에서 손실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이지만, 수확 후 현장에서 자연건조를 통한 저장 시 필요로 하는 적정함수율까지 낮추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곡물을 수확한 후, 저장 시 필요한 적정함수율을 맞추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화석연료 등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곡물건조기 등에 사용되는 화석연료는 곡물건조 시 온실가스의 배출 등의 환경 문제뿐만 아니라, 농가에서는 경제적인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곡물 건조를 위해서 수확과정에서콤바인 배기열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콤바인의 선별부와 이송부를 실제 제원과 동일하게 제작한 뒤 배기열을 이용하여서 곡물의함수율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실험장치에서 평균 0.166, 0.126%의 곡물 함수율이 감소하였고, 전체적으로 약 0.3%의 함수율이 감소되었다. 이는 배기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방법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Grain dryers using oil as fuel raise problems of releasing greenhouse gases and is aneconomic burden on far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ge of exhaustheat, and for the purpose, fundament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what method to drygrains simultaneously while harvesting by applying exhaust heat to a major part of the combin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duction of the moisture contents in serial should lead to the drop ofthe amounts of used oil and released greenhouse gases. The sorting and conveying systems ofgrain drier were manufactured with identical specification with real one and the change rate ofmoisture contents in serial was measured by using exhaust hea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ates in sorting and conveying systems decreased by 0.166 and 0.126%, respectively, leading toa total of 0.3% of decrease in moisture rates.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use exhaust heatin drying grain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김현태
Byung-Ok Jin
박태종
김명일
Tae-Jong Park
이민호
진병옥
Min-Ho Lee
김치호
Chi-Ho Kim
Hyeon-Tae Kim
Myeong-Il Kim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진병옥
– sequence: 2
  fullname: 이민호
– sequence: 3
  fullname: 김치호
– sequence: 4
  fullname: 박태종
– sequence: 5
  fullname: 김명일
– sequence: 6
  fullname: 김현태
– sequence: 7
  fullname: Byung-Ok Jin
– sequence: 8
  fullname: Min-Ho Lee
– sequence: 9
  fullname: Chi-Ho Kim
– sequence: 10
  fullname: Tae-Jong Park
– sequence: 11
  fullname: Myeong-Il Kim
– sequence: 12
  fullname: Hyeon-Tae Ki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2666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stKw0AARQdRsNZ-gZuAGzeJ88o83JXio1AQpPthJp1om5JAgn_gwg9QCmIXBTdCFxEjdKE_lI7_YLSuzuZw79kD22mWWgAOEAwQJZIfT_S0CDBENKAiCAPE0RZoYSKILzDH26CFQin8MIR0F3SKYmwgRIgKLkgLnLivl3X54OYrb12W9ap0s8rN7zw3r9zT6_fjs1e_L9bLz_qtcovS-xWqezcr64_lPtiJm2fb-WcbDM9Oh70Lf3B53u91B37CEPSx5GFkocbMShmSEeLcsFhzAwUyVOqmVkYUj0SkIyMslRLRyMbSGGkZhpa0wdFmNs1jlURjlenxH68zleSqezXsKyYYxbBRDzdqkuVWF9FNNtW5mmS3edoEKiwgw4T8AHITbc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KROLR
ACYCR
DOI 10.14397/jals.2014.48.5.171
DatabaseName Korea Scholar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Basis Study of Grain Drying by using Combine Exhaust heat
EISSN 2383-8272
EndPage 17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686420
280623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KROLR
M~E
ACYCR
ID FETCH-LOGICAL-k610-2975ce0a26e9953d177b6fa7b081b49a1719c42d8cacb8e49914cef9bb9e620e3
ISSN 1598-5504
IngestDate Tue Nov 21 21:34:30 EST 2023
Sun Jun 22 04:11:49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5
Keywords 선별부
Grain drying
Exhaust heat
Moisture content
이송부
Screening device
Conveying unit
배기열
곡물건조
곡물함수율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610-2975ce0a26e9953d177b6fa7b081b49a1719c42d8cacb8e49914cef9bb9e620e3
Notes G704-001926.2014.48.5.010
PageCount 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686420
koreascholar_journals_28062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410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4-10-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0
  year: 2014
  text: 201410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농업생명과학연구
PublicationYear 2014
Publisher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Publisher_xml – name: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name: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SID ssib001148783
ssib008451562
ssib009283157
ssib044743270
Score 1.8888007
Snippet 콤바인을 이용하여 수확하는 곡물은 일반적으로 저장에 용이한 적정함수율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 이것은 곡물의 수확과정에서 손실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이지만, 수확 후 현장에서 자연건조를 통한 저장 시 필요로 하는 적정함수율까지 낮추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곡물을 수확한...
SourceID nrf
koreascholar
SourceType Open Website
Aggregation Database
StartPage 171
SubjectTerms 자연과학일반
TableOfContents 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2.1 실험 장치 2.2 실험 방법 2.3 실험별 기초열량산정 Ⅲ. 결과 및 고찰 3.1 각 장치별 에너지 유출입량 3.2 곡물의 함수율 변화 Ⅳ. 감사의 글 » Literature cited
Title 콤바인 배기열을 이용한 곡물건조 기초연구
URI 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62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26669
Volume 4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농업생명과학연구, 2014, 48(5), , pp.171-179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R1Ni9NAdNhdL15EUXF1lQrOqaTmYzKZ8Za0WVZhPVXYW2jSRLRLC7V78eDJgz9AWRB7WBBE2EPFCnvQP9TG_-B7M0mbUhUVoaSTNy_vY14m8yaZeY-QO5nTAUtj9rJUOAbr8sRAN8SIM5gOYXpb7uEG5_2HfO8Re3DgHmxsfqisWjoaxY3k-U_3lfyLVQEGdsVdsn9h2QVRAEAZ7AtHsDAc_8jGNGzSoEV9RsOABiaVDCGyRQNRL0DwC304VwWo82hQIglWL9E1yKe-pGGLSpfKZl1d51DfQko-MGoqiFVgAzww6yvEoUKIkovm69IituPTUuKACk5Fq0ATLhaEg1IgG19BFGPkp2WRv6AJ94mSBMjoFgAylsIV1HerKIWOwGC3pAtCiyUKkJW46AO1kFi5jqJb2MUalLepWNtUpwIqX5xYrDLi4K2uSNtoJa2nsEodtMJcVUGjNBX7hcIKR5r1_9VgChJQnTS1HIWkMGDqqN-0pAoGrpVjCNtbGbqYqHRRtzIOWTqvTeHSWDpfz9poic6oStNwiIHrLdZgouE2FteuhCHHL_C2s0nO2Z6n1kPsvwiXfjdMqqufgwUDN7kSh1KCE1sJ6sQY-K22SuS4ULWICIYi3V0XCNzC3gB3aeg3PuAI9odZxRFsXyQXihlczdfd8RLZ6A0uk3v5t_fzyet8fFabTyazs0l-PM3HL2v5eJq__fj9zbva7PPJ_PTr7NM0P5nUEGH6Kj-ezL6cXiHt3bDd3DOKtCRGD-YaBm5FT1KzY_NUStfpWp4X86zjxeBcx0x2QFqZMLsrkk4Si5TBk48laSbjWKbcNlPnKtnqD_rpNVLj3JOZ1c26sY3rKlyM1QiYNnc8kVrdzjbZqWodFY-eZ5E2xja5Da0Q9ZInEQaJx__Hg6g3jGAqfD_igjPbvP57EjfI-WXX2CFbo-FRehO87FF8S1n4B1MnnoI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D%A4%EB%B0%94%EC%9D%B8+%EB%B0%B0%EA%B8%B0%EC%97%B4%EC%9D%84+%EC%9D%B4%EC%9A%A9%ED%95%9C+%EA%B3%A1%EB%AC%BC%EA%B1%B4%EC%A1%B0+%EA%B8%B0%EC%B4%88%EC%97%B0%EA%B5%AC&rft.jtitle=%EB%86%8D%EC%97%85%EC%83%9D%EB%AA%85%EA%B3%BC%ED%95%99%EC%97%B0%EA%B5%AC&rft.au=%EC%A7%84%EB%B3%91%EC%98%A5&rft.au=%EC%9D%B4%EB%AF%BC%ED%98%B8&rft.au=%EA%B9%80%EC%B9%98%ED%98%B8&rft.au=%EB%B0%95%ED%83%9C%EC%A2%85&rft.date=2014-10-31&rft.pub=%EA%B2%BD%EC%83%81%EA%B5%AD%EB%A6%BD%EB%8C%80%ED%95%99%EA%B5%90+%EB%86%8D%EC%97%85%EC%83%9D%EB%AA%85%EA%B3%BC%ED%95%99%EC%97%B0%EA%B5%AC%EC%9B%90&rft.issn=1598-5504&rft.eissn=2383-8272&rft.volume=48&rft.issue=5&rft.spage=171&rft.epage=179&rft_id=info:doi/10.14397%2Fjals.2014.48.5.171&rft.externalDocID=28062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550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550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550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