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일 돌연변이 후대계통 Namil(SA)-bl5의 단간 및 도열병 저항성에 대한 유전분석

작물학적 특성을 신속히 보완하며 확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는 돌연변이 육종을 통해 육성된 유용형질발현 돌연변이계통들의 다양한 작물학적 특성과 병해충 저항성은 유용한 유전자원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다양한 작물학적 특성 및 병해충 저항성에 대한 돌연변이 계통의 유용형질들을 교배를 통해 고품질 벼의 보완을 위해 이전하는 것이 용이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국내 육성 자포니카 벼품종인 남일에 아지드화나트륨을 돌연변이원으로 활용하여 단간이며 도열병 저항성 돌연변이 후대계통인 Namil(SA)- bl5를 육...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breeding Vol. 46; no. 3; pp. 238 - 249
Main Authors 조성우(Seong-Woo Cho), 정지웅(Ji-Ung Jeung), 신영섭(Young-Seop Shin), 강경호(Kyung-Ho Kang), 이상복(Sang-Bok Lee), 김보경(Bo-Kyeo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육종학회 30.09.2014
The Korean Breeding Societ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250-3360
2287-5174

Cover

Table of Contents:
  •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 및 DNA 추출 작물학적 특성 평가. 도열병 균주 선정 및 공시재료에 대한 친화성 판정 분리후대집단을 이용한 연관지도 작성 도열병 저항성 유전좌위 표지를 위한 유전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남일과 돌연변이 계통 Namil(SA)-bl5의 작물학적 특성 평가 Namil(SA)-bl5의 도열병 저항성 평가 및 검정 균주 선정 Namil(SA)-bl5 x 밀양23호간 후대 F2 집단의 도열병 저항성 평가 Namil(SA)-bl5와 밀양23호간 후대 F2 집단을 이용한 연관지도 작성 연관성 평가에 의한 단간 및 도열병 저항성 유전좌위 표지 적 요 사 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