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민감 학습을 활용한 이륜차 사고 심각도 예측

최근 비대면 서비스의 증가로 이륜차의 이용 및 그에 따른 사고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균형한 사고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륜차의 사고 심각도를 예측하고, 비용 민감 학습을 적용한 심층신경망(DNN)을 활용하여 사고 심각도가 높은 지역을 도출하였다. 서울특별시 내의 2014년부터 2019년의 사고 데이터셋을 구득 하고, 도시계획, 사회통계학, 교통과 관련한 지표를 모델 입력변수로 삽입하였다. 제안하는 방법론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Hyperparameter에 따른 결과를 확인하고 비용 민감 학습과 다른 유사 방법론 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통안전연구 Vol. 42; no. 2; pp. 77 - 94
Main Authors 최준희, Choi Junhee, 함승우, Ham Seung Woo, 강민희, Kang Minhee, 송재인, Song Jaein, 황기연, Hwang Kee-y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도로교통공단 31.12.2023
도로교통공단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8741
2671-6291
DOI10.22940/TSR.2023.42.2.77

Cover

Abstract 최근 비대면 서비스의 증가로 이륜차의 이용 및 그에 따른 사고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균형한 사고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륜차의 사고 심각도를 예측하고, 비용 민감 학습을 적용한 심층신경망(DNN)을 활용하여 사고 심각도가 높은 지역을 도출하였다. 서울특별시 내의 2014년부터 2019년의 사고 데이터셋을 구득 하고, 도시계획, 사회통계학, 교통과 관련한 지표를 모델 입력변수로 삽입하였다. 제안하는 방법론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Hyperparameter에 따른 결과를 확인하고 비용 민감 학습과 다른 유사 방법론 간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이 73%의 정확도와 80%의 F1-score의 성능을 보였다. 제안된 방법론은 기존의 불균형 데이터 처리 기법 및 방법론에 비하여 사고 심각도를 클래스별로 균형적으로 예측한 것을 확인하였다. Random Forest를 활용한 요인의 중요도 분석 결과, 음식점 수, 교차로 수, 인구, 도로 위계, 유년부양비의 비율이 중요도가 높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이륜차의 사교 규모를 모형화하고 국내를 대상으로 그리드별 사고 심각도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사고 규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이륜차 보험 및 안전 정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ddresses the prediction of two-wheeler accident severity, taking into account the challenges of imbalanced data. We employ a deep neural network (DNN) with cost-sensitive weight. Our approach incorporates urban planning, sociodemographic, and transportation indicators as input variables.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our methodology, we systematically evaluate results across various hyperparameters and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against related methodologies. By applying cost-sensitive learning to our DNN model, we identify optimal hyperparameters that achieved positive results, with an accuracy rate of 73% and an F1-score of 80%. Our methodology demonstrates the ability to predict accident severity across different classes with less bias than other sampling and classification methods. The importance of Random Forest analysis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intersections, number of restaurants, population, road hierarchy, and youth dependency ratios in determining accident severity. Our study contributes valuable insights for informing two-wheeler insurance and safety policy initiatives.
AbstractList 최근 비대면 서비스의 증가로 이륜차의 이용 및 그에 따른 사고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균형한 사고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륜차의 사고 심각도를 예측하고, 비용 민감 학습을 적용한 심층신경망(DNN)을 활용하여 사고 심각도가 높은 지역을 도출하였다. 서울특별시 내의 2014년부터 2019년의 사고 데이터셋을 구득 하고, 도시계획, 사회통계학, 교통과 관련한 지표를 모델 입력변수로 삽입하였다. 제안하는 방법론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Hyperparameter에 따른 결과를 확인하고 비용 민감 학습과 다른 유사 방법론 간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이 73%의 정확도와 80%의 F1-score의 성능을 보였다. 제안된 방법론은 기존의 불균형 데이터 처리 기법 및 방법론에 비하여 사고 심각도를 클래스별로 균형적으로 예측한 것을 확인하였다. Random Forest를 활용한 요인의 중요도 분석 결과, 음식점 수, 교차로 수, 인구, 도로 위계, 유년부양비의 비율이 중요도가 높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이륜차의 사교 규모를 모형화하고 국내를 대상으로 그리드별 사고 심각도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사고 규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이륜차 보험 및 안전 정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ddresses the prediction of two-wheeler accident severity, taking into account the challenges of imbalanced data. We employ a deep neural network (DNN) with cost-sensitive weight. Our approach incorporates urban planning, sociodemographic, and transportation indicators as input variables.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our methodology, we systematically evaluate results across various hyperparameters and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against related methodologies. By applying cost-sensitive learning to our DNN model, we identify optimal hyperparameters that achieved positive results, with an accuracy rate of 73% and an F1-score of 80%. Our methodology demonstrates the ability to predict accident severity across different classes with less bias than other sampling and classification methods. The importance of Random Forest analysis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intersections, number of restaurants, population, road hierarchy, and youth dependency ratios in determining accident severity. Our study contributes valuable insights for informing two-wheeler insurance and safety policy initiatives.
최근 비대면 서비스의 증가로 이륜차의 이용 및 그에 따른 사고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균형한 사고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륜차의 사고 심각도를 예측하고, 비용 민감 학습을 적용한 심층신경망(DNN)을 활용하여 사고 심각도가 높은 지역을 도출하였다. 서울특별시 내의 2014년부터 2019년의 사고 데이터셋을 구득 하고, 도시계획, 사회통계학, 교통과 관련한 지표를 모델 입력변수로 삽입하였다. 제안하는 방법론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Hyperparameter에 따른 결과를 확인하고 비용 민감 학습과 다른 유사 방법론 간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이 73%의 정확도와80%의 F1-score의 성능을 보였다. 제안된 방법론은 기존의 불균형 데이터 처리 기법 및 방법론에 비하여 사고 심각도를 클래스별로 균형적으로 예측한 것을 확인하였다. Random Forest를 활용한 요인의중요도 분석 결과, 음식점 수, 교차로 수, 인구, 도로 위계, 유년부양비의 비율이 중요도가 높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이륜차의 사교 규모를 모형화하고 국내를 대상으로 그리드별 사고 심각도 예측을수행함으로써 사고 규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이륜차 보험 및 안전 정책에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ddresses the prediction of two-wheeler accident severity, taking into account the challenges of imbalanced data. We employ a deep neural network (DNN) withcost-sensitive weight. Our approach incorporates urban planning, sociodemographic, and transportation indicators as input variables.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our methodology,we systematically evaluate results across various hyperparameters and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against related methodologies. By applying cost-sensitive learning to our DNNmodel, we identify optimal hyperparameters that achieved positive results, with an accuracy rate of 73% and an F1-score of 80%. Our methodology demonstrates the ability to predictaccident severity across different classes with less bias than other sampling and classification methods. The importance of Random Forest analysis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variablessuch as the number of intersections, number of restaurants, population, road hierarchy, and youth dependency ratios in determining accident severity. Our study contributes valuableinsights for informing two-wheeler insurance and safety policy initiative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Ham Seung Woo
송재인
Song Jaein
황기연
Hwang Kee-yeon
최준희
함승우
강민희
Kang Minhee
Choi Junhee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최준희
– sequence: 2
  fullname: Choi Junhee
– sequence: 3
  fullname: 함승우
– sequence: 4
  fullname: Ham Seung Woo
– sequence: 5
  fullname: 강민희
– sequence: 6
  fullname: Kang Minhee
– sequence: 7
  fullname: 송재인
– sequence: 8
  fullname: Song Jaein
– sequence: 9
  fullname: 황기연
– sequence: 10
  fullname: Hwang Kee-yeo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2568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E9LwzAchoNMcM59APGSs9Ca_JI27XEM_wwGwuw9dE0jpbpJe_Ko7CB60MvASQd6EBQGDlRQ8BOt2XdwOE_Pw8vDu44qvX4vRmiTEhvA52QnOOrYQIDZHGywhVhBVXAFtVzwaQVVKYBjeYLTNVTP86RLOBfMo45bRc3ye2AeXnH59jOb3uH5cGSuP814gOejYrHPhwU244_yuTDTF2wuJ7P3R2xuJrPpRXk7wOb-ynw9baBVHZ7kcf2fNRTs7QbNA6t9uN9qNtpW6ji-FUcq8hTEoeCkq5VHtVaO0A4FT4XCcQXhhJIIIgp-7KtYhV0htOAx6IUwympoe3nby7RMo0T2w-SPx32ZZrLRCVqSEsZcyvxFvLWM0yTP5VmWnIbZueTEZZwz9gsc422e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22940/TSR.2023.42.2.77
DatabaseName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비용 민감 학습을 활용한 이륜차 사고 심각도 예측
Prediction of Severity on Two-wheeler Accident Using Cost-sensitive Learning
EISSN 2671-6291
EndPage 9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336139
4063443
GroupedDBID HZB
Q5X
ACYCR
ID FETCH-LOGICAL-k559-ecdc8d2ea740bfd81ffd57f5128da756704010c2c129e9dedab77f74e2fb77313
ISSN 1225-8741
IngestDate Wed Dec 27 03:12:24 EST 2023
Tue Aug 20 02:41:24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59-ecdc8d2ea740bfd81ffd57f5128da756704010c2c129e9dedab77f74e2fb77313
Notes KoROAD
https://www.koroad.or.kr/main/research/res_safe_list.do
PageCount 1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336139
kiss_primary_406344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3-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3
  text: 2023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교통안전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교통안전연구
PublicationYear 2023
Publisher 한국도로교통공단
도로교통공단
Publisher_xml – name: 한국도로교통공단
– name: 도로교통공단
SSID ssib044738156
ssib051086630
Score 1.8548445
Snippet 최근 비대면 서비스의 증가로 이륜차의 이용 및 그에 따른 사고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균형한 사고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륜차의 사고 심각도를 예측하고, 비용 민감 학습을 적용한 심층신경망(DNN)을 활용하여 사고 심각도가 높은 지역을 도출하였다. 서울특별시 내의...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77
SubjectTerms Accident Severity
Cost-sensitive Learning
Deep Neural Network
DNN
Imbalanced Dataset
Two-wheeler
기술정책
불균형 데이터
비용 민감 학습
사고 심각도
심층신경망
이륜차
Title 비용 민감 학습을 활용한 이륜차 사고 심각도 예측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06344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25681
Volume 4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통안전연구, 2023, 42(2), , pp.77-94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i9NAdNhdL15EWcX1M6BzKq2TyaQzOSZpl3VBD1pxbyHNh7uUbaS2Fw-C0oPoQS8LrnRBD4LCggUVFPxFbfoffDNJ2uyyB_WSTt-8eTPvvXTem-blPYRuEuKzMDCNKpdPWhlhYbVdj1k1NANSb1syIYmKtrhb33jANrfMraXl66WopUG_XQuenvheyf9oFWCgV_mW7D9odk4UANAG_cIVNAzXv9IxbjrYsbBguOliy8Y2nPABZK9jx8VNGzsyigFADWyZ2LIklgCoqdAbMC7rs7DlzikU2G4lx3KYomnmSEDTFqpPUGxn0xjYJhnIKUAEXFQ5Tqxn0wApgYVQFAS29bJTrAYAfSLnFvVigWaOb5OCQy7pZsiLlJGKZLE6m8nQDclCo4Tibic7lc1BdzuKFqMUm7YohGLlEnDIYlPeha0UNsPKwyQp_ztCjSIHY34_z2VWLK4xZ13JTl90HWFSiU42HCW5soWADRBMSJatqzAhjJZ-KrRkD7ISNcfNFKUWk4Gdrfv3anLRNUZrtJaXszma_Rv8LYMxYxmdopyrOIQ7z5rFhskYN2S2n-K7Kctm1VV9nfkysyf5asZbx-cDNwROKU_Arer24pJb1TqLzuTnIc3Obu5zaKmTrCJ3-muYvv-iTb_-nozfarO9_fTVj_RgqM32RwCf7Y209OD79NMoHX_W0heHk28ftPT14WT8fPpmqKXvXqY_P55HrfVmy92o5tU-qh041VajIAxESCOfM9KOQ6HHcWjyGPxREfrcrHOwNjoJaAAOamSFUei3OY85i2gMDUM3LqCVbtKNLiJNUBHovhFGzORMyOLqcRyYeuQLEvPQJ2toVbLtPc7yuXi5jNfQDRCD1wl2PJlzXX4-SrxOz4OT5W1PJ4YBrq916eTBl9Hpxe13Ba30e4PoKrir_fY1pbI_SbFzu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9%84%EC%9A%A9+%EB%AF%BC%EA%B0%90+%ED%95%99%EC%8A%B5%EC%9D%84+%ED%99%9C%EC%9A%A9%ED%95%9C+%EC%9D%B4%EB%A5%9C%EC%B0%A8+%EC%82%AC%EA%B3%A0+%EC%8B%AC%EA%B0%81%EB%8F%84+%EC%98%88%EC%B8%A1&rft.jtitle=%EA%B5%90%ED%86%B5%EC%95%88%EC%A0%84%EC%97%B0%EA%B5%AC&rft.au=%EC%B5%9C%EC%A4%80%ED%9D%AC&rft.au=Choi+Junhee&rft.au=%ED%95%A8%EC%8A%B9%EC%9A%B0&rft.au=Ham+Seung+Woo&rft.date=2023-12-31&rft.pub=%ED%95%9C%EA%B5%AD%EB%8F%84%EB%A1%9C%EA%B5%90%ED%86%B5%EA%B3%B5%EB%8B%A8&rft.issn=1225-8741&rft.volume=42&rft.issue=2&rft.spage=77&rft_id=info:doi/10.22940%2FTSR.2023.42.2.77&rft.externalDocID=406344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8741&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8741&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8741&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