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밖 청소년 진로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와 관련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과 함께 향후 학문적 및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2014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69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을 선정하는 과정에는 PRISMA 지침을 활용하였고, 논문의 질적 평가를 위해 QualSyt(비뚤림 평가 위험도구)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밖 청소년 진로와 관련된 연구는 2017년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주로 청소년학, 교육학, 상담심리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청소년복지연구 Vol. 27; no. 1; pp. 77 - 98
Main Authors 김나영, Kim Na-y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청소년복지학회 3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705
2466-2348
DOI10.19034/KAYW.2025.27.1.0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와 관련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과 함께 향후 학문적 및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2014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69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을 선정하는 과정에는 PRISMA 지침을 활용하였고, 논문의 질적 평가를 위해 QualSyt(비뚤림 평가 위험도구)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밖 청소년 진로와 관련된 연구는 2017년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주로 청소년학, 교육학, 상담심리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 연구가 55편으로 많았고, 주요 변수는 ‘진로 장애(불안, 장벽)’, ‘진로 성숙’, ‘진로 준비(탐색)’ 등이 많이 활용되었다. 질적 연구는 13편으로 학업중단 계기부터 진로탐색 과정 등이 주요하게 다루어졌다. 연구결과를 통한 제언으로 먼저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연구가 균형 잡힌 시각에서 이루어져보다 다양한 변수를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 지원과 생태체계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 밖 청소년 지원과 관련된 기관에서는 진로탐색 및 체험의 기회를 다양화하여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research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out-of-school youth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suggest future academic and practical directions. A total of 69 domestic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4 and 2021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PRISMA guidelines were utilized in the selection process, and the quality of the studies was assessed using the QualSyt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The findings indicate that research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out-of-school youth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7, particularly in the fields of youth studies,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Among the analyzed studies, 55 employed quantitative methods, focusing on variables such as “career barriers (anxiety, obstacles),”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exploration).” Meanwhile, 13 qualitative studies explored key aspects such as the reasons for school dropout and the subsequent career exploration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 on out-of-school youth's career development should adopt a more balanced perspective and incorporate a wider range of variables. Additionally, customized career support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out-of-school youth and an ecological systems approach should be emphasized. Lastly, institutions supporting out-of-school youth should diversify career exploration and experiential opportunities to better assist their career development.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of Adolescent Welfare
http://dx.doi.org/10.19034/KAYW.2025.27.1.04
ISSN:1229-4705
2466-2348
DOI:10.19034/KAYW.2025.27.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