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닝>과 <기생충>의 계급 갈등, 판타지 그리고 아비투스

연구목적: 이창동과 봉준호는 2000년대 한국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감독들로 평가된다. 두 감독의 영화 스타일 사이에 접점은 별로 없었지만,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이창동의 <버닝>(2018)과 봉준호의 <기생충>(2019)은 신자유주의 체제가 초래한 한국사회의 양극화 현상에 대한 문제와 주제 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점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계급 갈등’, ‘판타지’, ‘아비투스’를 키워드로 해서 두 영화를 분석해보려고 한다. 연구방법: 계급 갈등은 토마 피케티, 소스타인 베블런 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제문화예술 Vol. 4; no. 3; pp. 1 - 15
Main Authors 김경욱, Kim Kyoung-wo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예술학회 3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이창동과 봉준호는 2000년대 한국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감독들로 평가된다. 두 감독의 영화 스타일 사이에 접점은 별로 없었지만,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이창동의 <버닝>(2018)과 봉준호의 <기생충>(2019)은 신자유주의 체제가 초래한 한국사회의 양극화 현상에 대한 문제와 주제 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점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계급 갈등’, ‘판타지’, ‘아비투스’를 키워드로 해서 두 영화를 분석해보려고 한다. 연구방법: 계급 갈등은 토마 피케티, 소스타인 베블런 그리고 피에르 부르디외가 논의한 계급 분석을 적용해, <버닝>과 <기생충>의 인물들의 계급을 분석했다. 판타지는 가족 멜로드라마와 로맨스 장르의 이데올로기 연구와 부르디외의 오인과 상징폭력 개념을 적용했다. 아비투스는 부르디외의 주요 개념으로서, 두 편 영화에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버닝>의 벤과 <기생충>의 박 사장은 1980년대 이후 자본소득자의 사회(초세습사회)와 슈퍼경영자 사회의 공존 속에서 등장하는 두 가지 종류의 부르주아이다. 반면, <버닝>의 종수 부자, <기생충>의 기택 가족과 문광 부부는 하층계급에 속한다. 그러나 계급 갈등은 부르주아와 하층계급이 아니라 아이러니하게도 하층계급 사이에서 벌어진다. 가족 멜로드라마와 로맨스 장르의 이데올로기에 의한 계급상승의 판타지가 개입하기 때문이다. 하층계급의 인물들이 아비투스를 통해 계급 차이를 명확하게 인식하게 될 때, 그들의 판타지는 붕괴하게 된다. 결국 하층계급 인물들의 억압된 분노가 분출하고, 폭력적인 수단이 동원되면서 두 영화의 주요 인물들은 파국에 이른다. 결론: <버닝>과 <기생충>은 하층계급 인물들의 고통이 신자유주의의 양극화에서 초래되었으며, 민주주의가 안착한 대한민국에서 ‘법적, 제도적 장치’를 통해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따라서 두 편의 영화는 신자유주의가 초래한 각종 위기가 가속화되어가는 한국사회의 증후로서 의미심장한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Lee Chang-dong and Bong Joon-ho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directors in Korean cinema in the 2000s. Lee Chang-dong’s < Burning > (2018) and Bong Joon-ho’s < Parasite > (2019), which were released around the same time, dealt with the problem of polarization in Korean society caused by the neo-liberalism. In order to examine this point in more detail, I will analyze the two films using the keywords ‘class conflict’, ‘fantasy’, and ‘habitus’. Methods: Class conflict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class analysis discussed by Thomas Piketty, Thorstein Veblen, and Pierre Bourdieu. Through this, I analyzed the classes of the characters in < Burning > and < Parasite >. In fantasy, I applied the ideology of family melodrama and romance genres and Bourdieu’s concepts of misrecognition and symbolic violence. Habitus is Bourdieu’s main concept, and I looked at how it is represented in two films. Result: In < Burning > and < Parasite >, the class conflict is between the lower class. This is because the fantasy of class rise driven by the ideology of family melodrama and romance genres intervenes. When lower class characters clearly recognize class differences through habitus, their fantasy collapses. In the end, the suppressed anger of the lower class characters erupts, and violent means are used, leading to catastrophe for the main characters in both films. Conclusion: < Burning > and < Parasite >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suffering of lower class characters is caused by the polarization of neo-liberalism, and that the problem cannot be solved through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in Korea. Therefore, the two films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texts as symptoms of a Korean society in which various crises brought about by neo-liberalism are accelerating.
Bibliography:Society of International Culture&Art
ISSN:2733-6654
2765-6985
DOI:10.46506/jica.2023.4.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