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 아렌트와 냉전
본 연구는 한나 아렌트의 사상을 냉전이라는 시대적 맥락 속에서 새롭게 조명한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냉전 시기 아렌트 사상을 여전히 전체주의 비판에 초점을 맞추거나 당대 정세와 무관한 철학적 사유로 해석했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냉전이 아렌트의 정치사상 형성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아렌트는 냉전을 이데올로기적 대립이 아닌 세력 현상으로 인식했으며, 냉전의 두 진영을 모두 "사회적인 것"이 발현되는 실패한 근대 정치의 모델로 간주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아렌트는 정당제도 중심의 자유민주주의와 당관료 중심 사...
Saved in:
Published in | 史叢(사총), 0(115) Vol. 115; pp. 137 - 16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30.05.2025
역사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446 2671-583X |
DOI | 10.16957/sa..115.202505.137 |
Cover
Abstract | 본 연구는 한나 아렌트의 사상을 냉전이라는 시대적 맥락 속에서 새롭게 조명한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냉전 시기 아렌트 사상을 여전히 전체주의 비판에 초점을 맞추거나 당대 정세와 무관한 철학적 사유로 해석했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냉전이 아렌트의 정치사상 형성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아렌트는 냉전을 이데올로기적 대립이 아닌 세력 현상으로 인식했으며, 냉전의 두 진영을 모두 "사회적인 것"이 발현되는 실패한 근대 정치의 모델로 간주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아렌트는 정당제도 중심의 자유민주주의와 당관료 중심 사회주의 체제를 넘어서는 평의회체제라는 대안적 정치모델을 구상했다. 또한 핵무기 경쟁으로 인한 전쟁과 폭력의 성격 변화에 주목하며, 권력을 인민의 의지와 합의에 기반한 새로운 개념으로 재정립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냉전 시기 아렌트의 정치사상이 냉전으로 드러난 근대 정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였음을 밝히고, 1960년대 이후 그의 저작과 정치적 입장이 냉전 정세 속에서 대안적 정치를 모색하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This study reexamines the thought of Hannah Arendt, a major 20th-century political philosopher,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Cold War. Unlike previous research that either focused on Arendt's critique of totalitarianism during the Cold War period or interpreted her thought as philosophical contemplation disconnected from contemporary political conditions, this study explores how the Cold War influenced the formation of Arendt's political thought. Arendt perceived the Cold War not as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but as a power phenomenon, and regarded both Cold War camps as failed models of modern politics where "the social" manifested itself. Based on this understanding, Arendt conceptualized the council system as an alternative political model that transcends both party-centered liberal democracy and bureaucratic socialism. Furthermore, by focusing on the changing nature of war and violence due to nuclear arms competition, she sought to redefine power as a new concept based on the will and consensus of the people. This research reveals that Arendt's political thought during the Cold War period w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odern politics exposed by the Cold War, and argues that her works and political positions after the 1960s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seeking alternative politics with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
---|---|
AbstractList | 본 연구는 한나 아렌트의 사상을 냉전이라는 시대적 맥락 속에서 새롭게 조명한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냉전 시기 아렌트 사상을 여전히 전체주의 비판에 초점을 맞추거나 당대 정세와 무관한 철학적 사유로 해석했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냉전이 아렌트의 정치사상 형성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아렌트는 냉전을 이데올로기적 대립이 아닌 세력 현상으로 인식했으며, 냉전의 두 진영을 모두 "사회적인 것"이 발현되는 실패한 근대 정치의 모델로 간주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아렌트는 정당제도 중심의 자유민주주의와 당관료 중심 사회주의 체제를 넘어서는 평의회체제라는 대안적 정치모델을 구상했다. 또한 핵무기 경쟁으로 인한 전쟁과 폭력의 성격 변화에 주목하며, 권력을 인민의 의지와 합의에 기반한 새로운 개념으로 재정립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냉전 시기 아렌트의 정치사상이 냉전으로 드러난 근대 정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였음을 밝히고, 1960년대 이후 그의 저작과 정치적 입장이 냉전 정세 속에서 대안적 정치를 모색하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This study reexamines the thought of Hannah Arendt, a major 20th-century political philosopher,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Cold War. Unlike previous research that either focused on Arendt's critique of totalitarianism during the Cold War period or interpreted her thought as philosophical contemplation disconnected from contemporary political conditions, this study explores how the Cold War influenced the formation of Arendt's political thought. Arendt perceived the Cold War not as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but as a power phenomenon, and regarded both Cold War camps as failed models of modern politics where "the social" manifested itself. Based on this understanding, Arendt conceptualized the council system as an alternative political model that transcends both party-centered liberal democracy and bureaucratic socialism. Furthermore, by focusing on the changing nature of war and violence due to nuclear arms competition, she sought to redefine power as a new concept based on the will and consensus of the people. This research reveals that Arendt's political thought during the Cold War period w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odern politics exposed by the Cold War, and argues that her works and political positions after the 1960s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seeking alternative politics with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본 연구는 한나 아렌트의 사상을 냉전이라는 시대적 맥락 속에서 새롭게 조명한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냉전 시기 아렌트 사상을 여전히 전체주의 비판에 초점을 맞추거나 당대 정세와 무관한 철학적 사유로 해석했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냉전이 아렌트의 정치사상 형성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아렌트는 냉전을 이데올로기적 대립이 아닌 세력 현상으로 인식했으며, 냉전의 두 진영을 모두 "사회적인 것"이 발현되는 실패한 근대 정치의 모델로 간주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아렌트는 정당제도 중심의 자유민주주의와 당관료 중심 사회주의 체제를 넘어서는 평의회체제라는 대안적 정치모델을 구상했다. 또한 핵무기 경쟁으로 인한 전쟁과 폭력의 성격 변화에 주목하며, 권력을 인민의 의지와 합의에 기반한 새로운 개념으로 재정립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냉전 시기 아렌트의 정치사상이 냉전으로 드러난 근대 정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였음을 밝히고, 1960년대 이후 그의 저작과 정치적 입장이 냉전 정세 속에서 대안적 정치를 모색하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This study reexamines the thought of Hannah Arendt, a major 20th-century political philosopher,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Cold War. Unlike previous research that either focused on Arendt's critique of totalitarianism during the Cold War period or interpreted her thought as philosophical contemplation disconnected from contemporary political conditions, this study explores how the Cold War influenced the formation of Arendt's political thought. Arendt perceived the Cold War not as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but as a power phenomenon, and regarded both Cold War camps as failed models of modern politics where "the social" manifested itself. Based on this understanding, Arendt conceptualized the council system as an alternative political model that transcends both party- centered liberal democracy and bureaucratic socialism. Furthermore, by focusing on the changing nature of war and violence due to nuclear arms competition, she sought to redefine power as a new concept based on the will and consensus of the people. This research reveals that Arendt's political thought during the Cold War period w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odern politics exposed by the Cold War, and argues that her works and political positions after the 1960s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seeking alternative politics with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KCI Citation Count: 0 |
Author | 김민수 Kim Minsoo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김민수 – sequence: 2 fullname: Kim Minsoo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566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tjstKw0AYRgepYKx9AbvpWkic_5_7shQvhYIgXbgbJnEiIZpIZuVOtBvFbUHBRR_Dd0r6Dgbr6nyLw-E7JIOqrjwhY6AJSCPUaXBJAiASpCioSICpPRKhVBALzW4GJAJEE3PO5QEZhVCkFEFLIymPyPF2_d2-fE669ardfGzff7qv50n7-tZtVkdkP3f3wY_-OSTL87Pl7DJeXF3MZ9NFXAqh4lSizL1TzjgtvWEsNcp51U-N-a1joJFzNBmAkbkTmehNDk553z_wObIhOdllqya3ZVbY2hV_vKtt2djp9XJugSoQWqpeHu_ksgjBPjbFg2ueLAeFRhv2C_5VUj4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HZB Q5X ACYCR |
DOI | 10.16957/sa..115.202505.137 |
DatabaseName | 한국학술정보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한나 아렌트와 냉전 Hannah Arendt and the Cold War |
EISSN | 2671-583X |
EndPage | 169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715867 4172989 |
GroupedDBID | HZB Q5X ACYCR |
ID | FETCH-LOGICAL-k557-b626fea7a9a86e933b97ae76e982fda31824429c1196fa5c57a941a7ee696ef23 |
ISSN | 1229-4446 |
IngestDate | Sun Jun 01 03:17:04 EDT 2025 Sat Jun 14 02:10:16 EDT 2025 |
IsDoiOpenAccess | true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k557-b626fea7a9a86e933b97ae76e982fda31824429c1196fa5c57a941a7ee696ef23 |
Notes |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History |
OpenAccess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5665 |
PageCount | 33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15867 kiss_primary_4172989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50530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5-05-30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5 year: 2025 text: 20250530 day: 30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史叢(사총), 0(115) |
PublicationTitleAlternate | 사총 |
PublicationYear | 2025 |
Publisher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역사연구소 |
Publisher_xml | – name: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name: 역사연구소 |
SSID | ssib021869604 ssib030194366 ssib044760111 ssib052471820 ssib007556300 ssib022230201 ssib010782664 |
Score | 1.9089519 |
Snippet | 본 연구는 한나 아렌트의 사상을 냉전이라는 시대적 맥락 속에서 새롭게 조명한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냉전 시기 아렌트 사상을 여전히 전체주의 비판에 초점을 맞추거나 당대 정세와 무관한 철학적 사유로 해석했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냉전이 아렌트의 정치사상 형성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
SourceID | nrf kiss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137 |
SubjectTerms | Cold War Council System Hannah Arendt Power The Social Violence 권력 냉전 사회적인 것 역사학 평의회체제 폭력 한나 아렌트 |
Title | 한나 아렌트와 냉전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7298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05665 |
Volume | 115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史叢(사총), 2025, 0(115), , pp.137-169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btNAEF5BuXBBRQXR8qNIsKfIwd4f7-7RSV0VUDgFqTdr7axRFZFUabhwqBD0AuJaCSQOfQzeKek7MLM2jqE9ABdnNZlMdjKrL9_aM7OEPIl4DqSCF4FxRgUizseBlgIzAcS4FCq0zGLt8PBlvP9KPD-QB-s8XV9dssh7xbsr60r-J6ogg7hilew_RLYxCgIYQ3zhChGG61_FmKa71EhqBjTtU82o0V2aDlCkBYqSkOoBKumE9rV_y1Addr06p9qgCJVEm6OiEIwlAxz0BTVNUjBNwQ5a8Mb3aN-raE1NkxD74vBNd4gVZbP2_QQm_aPwsFkB3hLH766mmfj5wmTRduWU8TowCCunFE12f5saSPphrVRJdAwmWjDLmAmEqG8-_sLhSLaQNKp6wVxC-Nj4c4mPbQ_QXvaY53C9WvuP1tkC2JnR5jq5wZTyD_GHJ2mDNsr3RmvQKkKy1Oq17w_ranWuQSIF3LpBQ0BGI_iaDAuB6UVrtJQM__d9X9DG3brtFfrw9LIHwApg03AMLGc6L1ssZ7RJbtXbk05SrbXb5NpktkV2Ls6-Lz987azOTpfnXy4-_1h9e99Zfvy0Oj-9Q0Z76WiwH9RnagQTKVWQw_61dFZZY3XsDOe5UdYpGGpWji0APNA9ZooIgLm0spCgKSKrnIPfwpWM3yUb09nU3SOdMi9EUfIcCDUXY1fm2pQlc5pbo5zQ-TbZQm-yo6prSlYHY5s8Bu-ySXGYYWdzfH09yybzDPZvzzIIQiR1rHau_vB9cnO9ZB-QjcX8rXsIpHCRP_Kx_Qkl9jys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5%9C%EB%82%98+%EC%95%84%EB%A0%8C%ED%8A%B8%EC%99%80+%EB%83%89%EC%A0%84&rft.jtitle=%EC%82%AC%EC%B4%9D&rft.au=%EA%B9%80%EB%AF%BC%EC%88%98&rft.au=Kim+Minsoo&rft.date=2025-05-30&rft.pub=%EA%B3%A0%EB%A0%A4%EB%8C%80%ED%95%99%EA%B5%90+%EC%97%AD%EC%82%AC%EC%97%B0%EA%B5%AC%EC%86%8C&rft.issn=1229-4446&rft.volume=115&rft.spage=137&rft_id=info:doi/10.16957%2Fsa..115.202505.137&rft.externalDocID=4172989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4446&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4446&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4446&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