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여성의 보행 시 정상 집단과 전단계 근감소증 집단의 보행 특성과 하지 관절의 운동역학적 변인 비교
[목적] 보행 시 정상 중년여성 그룹과 전단계 근감소증 중년여성 그룹 간의 시·공간적 보행 변인과 하지 관절의 운동역학적 변인들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방법] 중년여성 24명이 참여하였으며, 사지 골격량 지표(Appendicular Lean Mass Index, ALMI)를 기준으로 정상 집단(12명), 전단계 근감소증 집단(12명)으로 분류하였다. 각 집단은 보행 시 시·공간적 보행 변인과 발목, 무릎, 엉덩 관절의 방향별 최대 모멘트와 순 관절 파워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값은 IBM SPSS 27.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독...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35; no. 4; pp. 644 - 653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1.12.2024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과학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보행 시 정상 중년여성 그룹과 전단계 근감소증 중년여성 그룹 간의 시·공간적 보행 변인과 하지 관절의 운동역학적 변인들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방법] 중년여성 24명이 참여하였으며, 사지 골격량 지표(Appendicular Lean Mass Index, ALMI)를 기준으로 정상 집단(12명), 전단계 근감소증 집단(12명)으로 분류하였다. 각 집단은 보행 시 시·공간적 보행 변인과 발목, 무릎, 엉덩 관절의 방향별 최대 모멘트와 순 관절 파워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값은 IBM SPSS 27.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독립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 비교하였다.
[결과] 보행 시 정상 집단과 전단계 근감소증 집단 간에 시·공간적 보행 변인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보행 시 충격 흡수 구간에서 전단계 근감소증 집단이 정상 집단보다 무릎 관절의 최대 외전 모멘트, 최대 내회전 모멘트와 엉덩 관절의 최대 외회전 모멘트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보행 시 충격 흡수 구간에서 전단계 근감소증 집단이 정상 집단보다 무릎 관절의 최대 순 파워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행 시 추진 구간에서 정상 집단이 전단계 근감소증 집단보다 발목 관절의 최대 순 파워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전단계 근감소증 중년여성은 보행 시 무릎 관절의 부하가 높고, 발목 관절의 추진력이 낮으므로 하지 근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and kinetic variables of lower extremity joints during gait between normal and presarcopenia groups of middle-aged women. METHODS Middle-aged women participants (n=24)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Appendicular Lean Mass Index (ALMI): a normal group (n=12) and a presarcopenia group (n=12). During walking by each group, spatio-temporal gait variables and the maximum moments and net joint power of the ankle, knee, and hip joints in different direction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s with IBM SPSS 27.0 software. RESULTS The normal group and the presarcopenia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atiotemporal gait variables. However, during the shock absorption phase of gait, the presarcopenia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aximum knee abduction, maximum knee internal rotation, and maximum hip external rotation moments than the normal group. Additionally, the presarcopenia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maximum net knee power during the shock absorption phase. Conversely, during the propulsion phase of gait, the normal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maximum net ankle power than the presarcopenia group. CONCLUSIONS Middle-aged women with presarcopenia experienced higher knee joint loading and lower ankle joint propulsion during walking, indicating the need for training to improve lower limb strength. |
---|---|
ISSN: | 1598-2920 2233-79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