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해결 인형치료에 나타난 학교 부적응 아동의 특성 - ‘양떼를 지켜라’ 스토리텔링의 활용

본 연구의 목적은 ‘양 떼를 지켜라’ 문제해결 인형치료에 나타난 학교 부적응 아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들의 문제해결 방식을 이해하여 놀이치료 과정에서 적절한 치료적 개입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 학교 부적응 아동 9명으로 ‘양 떼를 지켜라’ 이야기를 들려주고, 구조화된 8개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였다. 경쟁, 도전, 문제해결 그리고 보상 그리고 동일시라는 4단계의 구조에 따라 참여 아동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참여 아동들의 답변을 중심으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참여 아동들 모두는 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26; no. 3; pp. 291 - 305
Main Authors 최광현, Choi¸ Kwang-hyun, 선우현, Sunwoo¸ Hy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31.08.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0858
2384-0153
DOI10.17641/KAPT.26.3.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양 떼를 지켜라’ 문제해결 인형치료에 나타난 학교 부적응 아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들의 문제해결 방식을 이해하여 놀이치료 과정에서 적절한 치료적 개입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 학교 부적응 아동 9명으로 ‘양 떼를 지켜라’ 이야기를 들려주고, 구조화된 8개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였다. 경쟁, 도전, 문제해결 그리고 보상 그리고 동일시라는 4단계의 구조에 따라 참여 아동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참여 아동들의 답변을 중심으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참여 아동들 모두는 자신들의 문제행동과 반대였을 때 선택받을 수 있다고 답했다. 둘째,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과 방법의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셋째, 대부분은 협력 관계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이야기에 몰입할수록 부정적 정서가 자주 나타났다. 넷째, 보상받지 못하는 상황에 많은 경우 분노하였다. 다섯째, 동일시 과정에서 대부분의 참여 아동들은 늑대를 선택하였는데 강함을 통해 불편했던 감정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놀이치료에서 학교 부적응 아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개입 방법과 전략을 세우는데 ‘양 떼를 지켜라’의 이야기를 활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whist engaged in the “Protect the Sheep” problem-solving figure therapy activity and to understand their problem-solving methods. The ultimate aim of this process is to seek appropriate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s in the play therapy proc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nine maladjusted children in the 4th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participating childre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ur-step structure of competition, challenge, problem-solving and compensation, and identification. First, participants could be selected when they proved to be contrary to their problematic behavior. Second, there was a lack of diversity in strategies and methods to cope with crisis situations. Third, The participating children tried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cooperative relationships. Fourth, Children were found to be most often angry at the situation where they were not compensated for their efforts. Fifth, most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chose the character of the ‘wolf’, which strongly suggests that they want to relieve their uncomfortable feelings through streng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ful to use the storytelling activity of “Protect the Sheep”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in play therapy and to identify and establish better intervention methods and strategies accordingly.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ISSN:1229-0858
2384-0153
DOI:10.17641/KAPT.26.3.6